그녀에 대하여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엔 누군가의 죽음에 그저 무덤덤하니, 어떤 느낌조차 없이 어떤 아픔을 느껴본 기억조차 없다. 숱하게 보았던 뉴스 속 대형사건, 사고 속 아수라장의 혼란, 애끓는 눈물들조차 순간의 이미지처럼 나 몰라라 도망쳐버리고 흩어져버렸다. 그렇게 아무리 아픔을 토해내는 열띤 목소리에도 하나의 이미지로 각인될 뿐, 나 그저 여전히 밥 잘 먹고 열심히 떠들었다. 그런데 이젠 가슴 속 깊은 곳에서부터 꾸역꾸역 슬픔, 애처로움이 차올라 눈시울을 붉히며 굵은 눈물 방울방울을 툭툭 떨어뜨리게 되었다. 나이가 든다는 것은 무척이나 무뎌지는 것인 줄 알았는데 오히려 그렇지 않았다. 어떤 계기가 있어 이렇게 마음의 변화를 겪게 된 것인지 모르겟다. 막연하게 죽음에 대한 두려움, 서서히 옥죄어오는 죽음의 실체 때문일까? ‘요시모토 바나나’의 이번 신작 <그녀에 대하여>는 그렇게 ‘죽음’을 이야기한다. 그것도 갑작스럽게, 예고도 없이 찾아든 죽음이란 소재를 신비하면서도 미스터리하게, 흥미진진하면서 진중하게 은근 슬쩍(?) 던지고 있었다.

 

'요시모토 바나'나는 ‘치유’와 ‘위안’을 자연스럽게 흡수하게 하는 특별한 이야기에 신비함이라는 비장의 무기로 무장한 작가다. 이젠 결코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그녀의 또 다른 이야기를 기다리게 되었다. 그러나 솔직히 말하면, 요즈음 그녀에 대한 나의 맹목이 잠시 주춤했다. <그녀에 대하여>를 통해 더욱 시들해지나 싶은 순간, 놀라운 반전으로 예상치 못한 죽음처럼 예상치 못한 반전이 숨어있다. 그렇고 그런 이야기로 사랑스럽게 끝날 거란 우려는 우려에 지나지 않았다. 뭔가 새롭고 상상하지 못한 이야기가 무척 새롭가 흥미로웠다. 

 

그렇다면 찰라지만 그녀에게 품은 반감은 왜일까? <그녀에 대하여>에 대한 기대와 설렘으로 들떠 책을 들게 되었지만, <왕국>과 <키친>속 이야기가 하나로 연결되었다. 가족의 죽음(또는 헤어짐)과 뜻밖의 인연으로 치유의 과정이라는 기본 맥락-상실과 치유는 그의 오랜 주제임에도-이 반복되는 탓에 다소 식상해진 것일까? 아니면, 그녀(유미코)의 트라우마의 실체를 확인하고픈 호기심과 미스터리한 전개 구조에 정신을 빼앗기기도 잠시, 예상치 못한 반전에 흡사 ‘요시모토 바나나’가 유미코의 엄마(마녀 학교 출신으로 강령회를 진해하다 뭔가에 씌어 남편을 찔러 죽이고 자살한다)처럼 어떤 오컬트적인 힘으로 나를 잠식해 들어온 것같은 석연찮음이 느껴져 나도 모르게 두려움에 휩쓸린 탓일까? 그만큼 그녀(유미코)에 대한 이야기 <그녀에 대하여>는 강했다.

 

주인공 유미코는 자신의 과거의 기억을 찾아 떠난 여행을 통해 진실과 마주하게 된다. 물론 사촌 쇼이치가 있어 가능한 일이었다. 그리고 결코 인정할 수 없었던 진실! 그래서 그렇게 애타게 떠돌 수밖에 없었던 방랑자의 삶, 그것은 우리의 또 다른 자화상은 아닐까? 진실을 거부한 채 변두리만을 헤매는 떠돌이같은 인생! 참으로 암담하고 우울한 분위기가 감돌기까지 한다. 그럼에도 여전히 차분하면서도 무척 특별한 관계를 통해 인물들이 각자의 상처를 어루만지고 보듬어주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은 언제나 스스로를 포근하게 감싸주는 듯해 기분 좋은 착각에 빠지고, 행복감이 몰려드는 묘한 마력을 지녔다. 그것이 여전히 ‘요시모토 바나나’의 이야기를 좋아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평범한 나의 일상이 그네들의 일상에 감도는 기분 좋은 활력과 긍정의 에너지가, 넘치도록 나를 일으켜 세워주었다. 그렇게 뭔가 내 안에 숨어있던 어떤 상처와 아픔을 이내 씻어버렸다. 그리고 그 누구도 빗겨갈 수 없는 숱한 죽음 -특히, 천안함 사건 같은 애잔하고 애처로운-들을 떠올리며, 마음속으로 그들의 명복을 빌어본다. 저 세상에서 마음의 안식과 평안을 얻기를 간절히 바란다.

 

 

문득, <어쩌자고 우린 열일곱>(이옥수, 비룡소)의 책이 떠오른다. 예기치 못한 죽음이 가져온 혼란과 상처 그리고 치유라는 공통된 소재가 어쩐지 하나로 연결되기 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