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 영화를 만나다
김영욱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그림책’이란 아이들의 전유물로만 생각했다. 그리고 아이에게 읽히기 위해 열심히 그림책을 선별하였다. 그 선별이란 것도 지극히 주관적인 것으로 내 눈에 예쁜 그림(파스텔톤의 부드러운, 조잡하지 않은 깔끔한 느낌의 그림 등)과 아름답고 밝은 이야기가 주를 이루었다. 때론 아이도 호기심을 반짝이며 호응할 때 재밌게 듣고 보는 모습에 어떤 희열을 느끼지만 항상 어떤 숙제의 압박을 느꼈다. 어떤 책을 선택해야 하는지, ‘그림책’을 읽는 방법론까지 또 다른 고민들도 깊어졌다. 그렇게 아이로 인해 새롭게 ‘그림책’에 주목하였지만, 많은 난관에 부딪힌 상황에서 <그림책, 영화를 만나댜>는 무척 기발하게, 호기심을 채워주었다.

 

일단 그림책을 보는 것이 왠지 어색하고 버거운 내게, 그림책과 영화의 만남이란 무척 획기적이고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어떤 연결고리로 이야기를 풀어갈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최근 ‘책과 명화’를 잇는 여러 다양한 책들은 만나봤지만 ‘그림책’에 한정하여 저자 ‘김영욱’은 음악(<그림책 음악을 만나다>)에 이어 영화를 소재로 그림책, 그리고 그 속의 삶의 다채로운 이야기를 풀어놓았다.

 

기존엔 눈여겨보지도 않았을 각양각색의 그림책들 만날 수 있었다. ‘아~ 그림책 속엔 이런 이야기가 숨어 있었구나!’하는 감탄이 수없이 터졌다. 때론 숨바꼭질을 하듯 요리조리 꼭꼭 숨어 있던,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삶(사랑, 우정, 그리움, 고통 등 인생의 갖은 희로애락)이 그림과 영화로 어우러져 풍성한 이야기들로 가득하였다. 그림책에는 ‘삶’ 자체가 투영되어 있었다. 그림책을 열린 마음으로 다가가는 것이 일단 중요했다. 아이의 시선이 아닌 바로 ‘어른의 시선’에서. 뒤돌아보니, 그림책을 한창 즐겼던 때가 떠올랐다. ‘크빈트 부흐홀츠’의 그림말이다. 책장이 고이 꽂혀 있는(최근 관심을 두지 않아 먼지가 켜켜이 쌓여 있지만) 그의 그림책들이 다시 눈에 띄었다. 아이책이란 이유로 눈길조차 주지 않았던 <그림 속으로 떠난 여행>의 진정한 가치를 발견하기도 하였고, 머릿속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영상(하나의 실체적 꿈인)이 그림책과 영화로 되살아났다.

 

그림책에 대한 무지와 편견을 깨고, 어른들 역시 그림책을 통해 충분히 다양한 사고와 사색의 시간이 될 수 있다는 것, 그 때 비로소 아이도 공감하고 부모와 아이가 공유할 수 있을 거란 생각이 스쳤다. 그래서 그저 아이에게 읽힐 목적에 국한한 그림책이 아니, 스스로 생생하게 느끼고 감동하면서 그것으로 인해 아이와 더욱 즐거운 그림책 읽기를 위한 하나의 도화선이 되었으면 좋겠다.

 

잊고 살았던, 잊고자 했던 삶의 소중한 가치들이 여기저기에서 되살아났다. 그림책과 영화가 절묘하게 어우러지면서 더욱 흥미진진하고 풍성한 삶을 만난 듯하다. <그림책, 영화를 만나다>를 통해 그림책이 품고 있던 사랑, 추억, 만남, 이별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소중한, 많은 것을 듣고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그림책의 또 다른 세상, 그 드넓고 광활한 세계 속으로 즐거운 모험을 떠나보자! 무한 상상의 날개 활짝 펼쳐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