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시계공 1
김탁환.정재승 지음, 김한민 그림 / 민음사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과 기계가 몸을 섞었다! 가장 먼저 떠오른 이미지는 어린 시절 흥미롭게 보았던 외화 ‘6백만불의 사나이’였다. 하지만 김탁환과 정재승의 만난 아니던가! 좀더 기발하고 참신한, 더욱더 획기적인 이야기를 기대할 수밖에 없었다. 기상천외한 2049년의 서울, 그곳의 풍경이 과연 어떤 모습일지, <눈먼 시계공>이란 타임머신을 타고 미래로 훌쩍 떠나보면 어떨까! 그렇게 올 여름 무더위를 시원하게 날려버리고 싶었다. 책이 풀어낸 이야기에 빠져 온갖 시름을 잊을만했다. 물론 이야기가 제기하는 다른 문제들이 머릿속을 휘젓고 다니지만, 그 어떤 놀이보다 즐거운 유희였다.

 

이미 신문연재를 통해 드문드문 접한 적이 있던 <눈먼 시계공>, 내심 다음의 책 출간을 기다렸던 마음과 달리, 두 손 위에 올리기까지 꽤나 시간이 걸렸다. 전체적인 책의 외적 분위기가 그다지 호의적으로 와 닿지 않았다. 경계의 눈빛으로 멀리했던 것이 책을 펼쳐든 순간, 내친걸음을 재촉하고, 쉼 없이 달리게 하였다. 굉장한 흡입력에 압도당했다. 사건들과 인물들 간의 얽히고설킨 관계와 바로 그다지 머지않은 미래의 모습이라곤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변화된 세계가 낯설면서 상상력의 언저리를 자극하며, 긴장의 연속이었다.

 

시체의 단기 기억을 영상으로 재생하는 획기적인 기술 ‘시트머스’를 이용하는 특수 수사대와 뇌를 탈취한 살인사건 그리고 로봇을 위한 방송국 ‘보노보’ 그리고 로봇들의 격투기 대회를 둘러싼 음모가 과연 무엇일지 흥미진진하게 전개된다. 무법자로 대표되는 제노사이보고의 존재, 그리고 자연인 희망 연대로 대표되는 자연인과의 갈증 그리고 로봇과 인간의 공존을 꿈꾸는 미래 사회의 모습이 오늘의 또 다른 모습을 반추하고 있었다. ‘나라’의 경계가 허물어진 미래사회, 그 속에서 우뚝 선 서울을 배경으로 벌어지는 사건사고 등의 설정은 새로울 것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그 어떤 것보다 새롭게, 다채롭게 다가왔다.

인공 생체가 70%를 넘어서면 ‘인권’을 박탈당하는 상황, 인간과 로봇의 사랑, 거꾸로 오늘이 역사가 되어 미래의 시선으로 뒤돌아볼 때, 오늘의 다시금 돌아보면 과연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에 대한 의문을 던지게 된다.

 

책을 읽는 내내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뇌>가 수없이 떠오르며, 많은 이미지가 겹쳐지기도 하였다. 과학 기술의 발전이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과연 이상적 세계에 대한 환상일지 의문들이 스멀스멀 떠올랐다. 과연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눈먼 시계공 2>을 기대해본다. 1권에서 풀어놓은 사건들과 수없이 머릿속을 헤집었던 의문들이 해답을 찾을 수 있을지, 일단 펼쳐볼 일이다.

 

 

모든 열정은 집착을 동반하지만 모든 집착이 열정인 것은 아니다!

(10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