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리
나카무라 후미노리 지음, 양윤옥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표지가 인상적임에 분명하지만, 내겐 뭔가 쉽게 다가가기엔 잠깐의 머뭇거림이 있었다. 저자 ‘나카무라 후미노리’의 전작인 <모든 게 다 우울한 밤에> 때문이었다. 물 흐르듯 유쾌하게 전개되는 이야기는 분명 아니었다. ‘사형제’ 논란의 핵심을 관통하는 묵직함이 분명 낯설고 조금은 어려웠던 것이다. 그럼에도 그 묵직함이 여전히 가슴 속에 남아있어, 문득 문득 질문들을 내던지고 한다. 그래서 또다시 '나카무라 후미노리‘의 이야기를 만나고 싶어졌다. 과연 <쓰리>는 어떤 화두를 던지며 대면하게 될지, 기대 반 설렘 반, 떨리는 마음을 안고 손에 쥐었다.

 

<쓰리>는 천재적인 소매치기인 ‘나(니시무라)’가 중심이 되어 이야기는 전개된다. 분명 눈뜨고 코베이는 식의 소매치기를 업으로 하는 사내 역시 분명 ‘악’의 화신일 것이다. 그런데 그의 목숨, 운명을 손에 움켜지는 또 다른 절대적 악의 화신 ‘기자키’의 존재로 인해 나도 모르게 동정하게 되고 동조를 하게 되는 것이 거부할 수 없는 유혹으로 다가왔다. 분명하게 ‘범죄’라는 것을 인식하면서도 ‘홍길동’에 동조하고 희열을 느끼게 되는 것처럼 천재적인 소매치기에게 매료되었다. 또한 그가 돌보게 되는 묘한 인연의 아이가 존재하고, 더 이상의 악의 수렁으로 빠져들지 않도록 어떤 행동을 하려한다는 점, 그것이 거부할 수 없는 선택에 이르게 한다는 점에서 흥미진진하다. 과연 어떤 결말에 이르게 될지, 더 이상 내려갈 곳조차 없는 밑바닥 인생의 그렇고 그런 이야기 속에서 과연 어떤 희망을 발견하고 어떤 위안을 삼게 될 지 호기심을 갖고 끝을 향해 내달렸다. 거부할 수 없는 운명에 휩쓸린 그처럼 말이다.

 

타인의 운명을 손에 거머쥐고 뒤흔들어버리는 소설 속 ‘운명의 노트’ 이야기가 주인공과 겹쳐지면서 ‘운명’, ‘절대자’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또한 ‘악’과 ‘선’이라는 것의 딜레마에 빠져 들었다. 과연 우리는 무엇을 악하다 말하고, 선하다 말할 수 있을까? 분명히 선의 경계를 넘볼 수 없는 절대적 악의 존재 속에서 ‘악’의 정의를 무너뜨리며 혼란에 빠뜨렸다. 손 끝으로 전해지는 악의 쾌락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주인공의 모습이 마냥 애처롭게 다가오면서, 그 속에서 발견되는 인간적인 고뇌와 외로움이 가슴 속에 잔잔한 파문을 일으키는 동요하게 되는 묘한 마력을 지는 책 <쓰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