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야? 토끼야? 생각쟁이 그림책 1
에이미 크루즈 로젠탈 지음, 서연 옮김, 탐 리히텐헬드 그림 / 아이맘(전집)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의 교육 현실을 벌써부터 운운하기가 왠지 먹젆기도 하다. 이제 겨우 3살인 아이에게 왠지 '입시지옥'의 수령으로 몰고 가는 것 같기도 하고. 아이의 '창의력'을 내 손으로 키워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일까? 처음 <오리야? 토끼야?>를 보았을 때, 엄청 신선하고,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것 같아, 굉장히 흥분했던 기억이 있다. 같은 그림을 두고 서로 다른 말을 하면서 입씨름을 하는 상황! 그리고 서로의 시각을 인정하는 이야기는 완전 대박 느낌!

솔직히 그림을 보았을 때, 토끼라 생각했다. 오리치고는 부리가 왠지 길어 결코 오리를 상상할 수 없었다. 그렇게 딱딱해진 머릿 속이 찰랑찰랑해지는 느낌이랄까? 아이의 생각 또한 물흐르듯 유연해 질 수 있다면, 그렇게 다양한 생각과 마주하면서 유쾌하게 이야기하고 서로의 다양한 가치를 인정하며 포용할 수 있는 아이로 자란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바람을 싣고 책을 펼친다.

속 표지부터 흥미로웠다. 파란색 하늘 위, 둥둥 떠다니는 구름의 형상이 다양한 동물의 모습을 담고 있었다. 구름의 모습을 보면서 무엇 같다는 상상의 날개를 펼칠 수 있는 세심한 배려는 뒤표지에까지 이어지고 있어, 마지막 장까지 흥미를 더하고 있었다.

단순한 그림의 반복 속 오리와 토끼의 생태를 통해 서로의 의견을 펼치고, 서로를 인정하는 모습, 그리고 마지막 또다른 하나의 그림이 아직 이야기가 끝나지 않은듯 깊은 여운을 남긴다. 개미핥기와 브라키오사우르스라고? 잠깐 멈짓하며 그림을 살펴보게 된다. 모래언덕을 주시하고 있는 개미핥기의 얼굴? 푸른 나무잎에 고개를 내밀고 있는 브라키오사우르스?

책읽기가 단순한 활자에 그치지 않고 생각의 나래를 활짝 펼치며 하나의 놀이가 되는 그림책이었다. 관찰력, 창의력 그리고 포용력까지 아우를 수 있는 좋은 그림책이다. 시원시원하게 생각의 틀을 드넓혀주는 그림책, 생각쟁이 그림책의 다음 그림책들이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