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 - 드라큘라 사진관으로의 초대
김탁환.강영호 지음 / 살림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과연 이 책을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 일단 '김탁환'이란 이름 석자에 기대를 걸고 책을 손에 쥐었다. 약간 기대에 못 미쳤다는 뉘앙스가 느껴질까? 어쩌면 그 어떤 기대도 하지 않았던 것 같다. 무의식적 선택일 뿐이었다. 그리고 살짝 엿보았을 때 기괴한 사진들에 멈칫했다. 솔직히 속이 거북했다. 그의 '창조적' 상상력에. 그래서 나는 '대'낮에 책을 펼쳤다. 어둠이 스밀 틈조차 없을 때. 강영호란 사진작가에 대해 나는 모른다. 그러다가 '춤추는' 사진작가라는 말에 얼핏 스치는 영상들이 있었다. 그렇다 연애프로에서 슬쩍슬쩍 보았던 기억이었다.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는 식의 혼란이 책을 휘감고 있다. 즉 사진과 글의 상호작용이 완벽에 가까워, 어느 것에 우선순위를 매겨야할지 어려웠다. 어느 누가 먼저 서로의 상상력을 자극하였을까? 하는 식상한 호기심이 부끄러웠다. 기괴한 사진에 글이 살이 된 것인지, 글에 사진이 피가 되고 있는지, 살과 피를 불리하고, 그 속에서 소설가 또는 사진작가의 정체성을 찾아나서는 것은 아니 '소설가 김탁환'만을 탐한다는 것은 부질없는 일이었다. 그렇게 사진과 이야기는 완벽한 하나였다. 사진작가와 소설가의 만남 그리고 그들의 기괴하고 충만한 상상력이 총합이 바로 <99 _ 드라큘라 사진관으로의 초대>이다.

 

주인공 '강 작가'를 둘러싼 기괴한 사건들 7편이 펼쳐진다. 기괴함에 압도당하며, 으스스한 기운이 감돌아, 왠지 우리 주위를 배회하고 있을 괴물이 찾아 두리번거리게된다. 두 작가의 상상력에 기댄 이야기는 그러나 상상 이상의 실제 풍경을 담고 있는 듯하다. 그리고 책은 말한다. 우리 안에 웅크리고 있는 괴물과 만나라고. 그 중에 가장 압도적인 것은 '인간인간인간'이란 두 번째 이야기였다. 지하철 기관사 T의 배에 새겨진 죽은 사람의 얼굴, 그것은 죽음의 암시였다. 그리고 해설이 덧붙여지면서 이야기는 더욱 잔혹하게 생생해졌다.

 

어떤 공포, 괴기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에 섬뜻하지만, 그 속에서 우리의 모습을 발견하는 것만큼은 피하고 싶었다. 그래서 때로는 이야기를 걷돌기만 했던 것 같다. 두려워 외면하고 싶었다. 극한의 욕망이 스믈스믈 기어오르는 것을 억제하기 바빴고, 때론 소스라치게 놀랐다.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잔인한 드라큘라 사진관에 갇힌 느낌이었다. 결코 기분 좋지 않다. 바로 이 느낌이 그들이 원했던 바일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