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떨어진 해와 달 이야기
발리스카 그레고리 지음, 스테파노 비탈레 그림, 김경연 옮김 / 풀빛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하늘에서 떨어진 해와 달 이야기>는 완전히 상반된 두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 하나는 해 이야기고, 또다른 하나는 달이야기다. 그리고 작가는 어느 이야기가 진짜냐고 물으며 이야기는 시작된다. 땅이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새까만 먹물 같은 하늘에서 해와 달이 떨어졌다. 칠흑같은 어둠이 지배하던 먼 옛날, 빛을 내는 해와 달은 하나의 축복이자, 행운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 해와 달을 두고, 동물들 세계는 서로 다른 양상이 전개된다. 이는 "이 이야기는 이름을 바꾸면 여러분 이야기다"라는 호라티우스의 격언이 시사하듯, 축복과 같은 기회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하늘과 땅 차이만큼 벌어지는 것이다. 해와 달 그리고 동물들의 판단과 행동들은 바로 우리들의 선택과 비교될 것이다.

 

해 이야기

구름에서 떨어진 해가 나뭇가지에 걸렸다. 그 해를 처음 발견한 여우는 커다란 보자기를 만들어 덮어버린다. 그리고 낮과 밤을 결정하게 된 여우에데 다른 동물들은 보물을 갖다주었다. 그런데 족제비가 오려 낸 조각에서 빛이 새어 나오며 그림자들이 동물들을 감시하게 되자, 족제비가 낮과 밤을 결정하게 이른다. 그러자 다시 까마귀가 천 조각을 훔쳐내자, 동물들 사이에서 전쟁이 발생하자 상처만 남긴 채, 모든 것이 무의미하듯, 해의 기억조차 모두에게 사라져버린다.

 

달 이야기

모두가 잠든 사이, 작은 구멍으로 달이 빠져나왔다. 그리고 이를 곰이 발견한다. 달의 둘러싸고 모든 동물들이 저마다의 의견을 내지만, 옛날 이야기를 잘 알고 있던 곰은 달이 우리 모두가 돌봐야 하는 것이라며, 거미가 은빛 그물을 짜서 매가 하늘에 달길로 결정을 내린다. 여러 날 동안 은빛 그물을 짜는 동안 거북, 너구리에 대한 옛날 이야기를 듣고, 매가 하늘 높이 달을 옮기는 동안 무지개, 뱀에 관한 옛날 이야기를 듣는다. 그리고 마침내 돌아온 매는 동물들이 환영 파티를 하고, 매의 여행이야기를 듣고, 보석처럼 빛나느것 달빛 아래서 함께 귀 기울이며, 옛 이야기를 나눈다.

 

양분된 해와 달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탐욕과 전쟁' 그리고 '평화와 협력'이 가져온 결과는 우리가 너무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선택은 우리의 몫, 여전히 탐욕과 전쟁으로 피폐해진 곳이 있는가 하면, 평화와 협력을 피어나는 곳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또한 우리에게 '해'와 '달'이 비유하고 상징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어느 것이 참 이야기일까?

때로는 해와 달은 '자연'에 대한 이야기일 것이다. 요즘 논란의 중심에 있는 4대강 역시 마찬가지일 것이다. 4대강은 우리에게 생명의 젖줄이요 희망이다. 이를 해석하고 다루는 방식에 잇어 상반된 견해, 누군가에게만 혜택이 집중되는 탐욕의 상징일지, 우리 모두의 아름다운 강으로 후세에게 전해질지 중요한 기로에 서 있는 것 같다. 또한 권력에 편승하여 아부하는 동물들과, '기는 놈 위에 나는 놈이 있다'는 옛 속담을 절로 떠오르기도 하면서, 기회주의와 위선까지도 동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들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그와는 반대로 땅, 바다, 하늘 등의 다양한 동물들의 형상을 찾는 재미와 빛(해, 달)과 그림자, 무지개, 비, 구름, 강(뱀이 강한 바위를 뚫고 노래의 길을 만들었다는 이야기 속, 산과 계곡, 폭포 등의 자연물은 은유하고 있기도 하다) 등의 자연현상을 이야기에 함축하고 있어, 무시무시한 이야기  혹은 훈훈하고 정감있는 이야기 속 또다른 재미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

<하늘에서 떨어진 해와 달 이야기>를 통해 엿보는 이야기는 아주 단순 명료한 해와 달 이야기다. 그러나, 그 속에 숨은 상징과 비유는 결코 만만한 것이 아니다. 하지만, 그림과 이야기가 주는 즐거움이 평화와 협력이 온 세상을 밝혀주는 지름길이길 고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