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기억은 왜 그토록 불안정할까 과학과 사회 3
프란시스 위스타슈 지음, 이효숙 옮김 / 알마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기억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를 위해 존재한다'는 정재승의 추천글로 <우리의 기억은 왜 그토록 불안정할까>는 시작한다. 즉, 기억은 마음 내키는 곳에 드러눕는 개와 같아(심리학자 다우베 드라이스마의 말이란다), 인간의 기억은 과장되고 왜곡되고 대부분이 잊혀진다는 것이다. 매순간 변화는 현재와 다가올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경험의 질료'라는 기억! 그 기억이 그토록 불안정한 이유는 무엇일까?에 대해 저자 '프란시스 위스타슈'는 신경심리학적 접근을 하면서, 기억 관련 질환(기억상실증, 알츠하이커병)을 통해 면밀하게 '기억'의 본질을 파헤치고 있다.

 

"기억은 불안정하다. 왜냐하면 기억은 자앵를 일으키기 쉬우며, 특히 기억과 관련된 질환의 틀 속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상적인 기억도 근본저긍로 불안정하다. 왜냐하면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 사건에 대한 표상은 시간이 흐르면 주체의 경험과 바람에 따라 변화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74쪽)

 

기억에 관한 신경심리학적 연구의 황금기를 세 부분으로 나누는 1장의 내용은 코르사코프의 견해를 빌려 '기억' 성격(특징)을 소개하고 있다. 즉 <모든 모든 것을 알고 있다>라는 요시모토 바나나의 소설 제목처럼 기억을 끌어내는 고유한 매커니즘(기억의 '명시적' 발현)과 그 이면엔 영혼 또는 무의식에 의해-이는 체득된 경험의 기억, 몸, 육체에 의한 기억 같은 것으로 이해했다- 기억이 표출되는 현상(기억의 '암묵적' 발현)을 설명하는 것이 가장 흥미로웠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는 기억에 과한 신경심리학적 연구가 시작되고, 어느 정도의 성과를 이룬 시기라면, 1차 세계대전 이후 50여년간의 암흑기를 깨고 1960년대 두 번째 황금기를 맞게 된다. 이 때, 여러 병리현상을 통해 기억에 대한 분류(단기 기억과 장기 기억, 그리고 단기 기억은 역사적 의미만 있을 뿐, 지금은 '작업 기억'이란 용어가 통요되고 있다)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장기 기억에 대한 상세한 분석(일화적 기억과 의미적 기억, 서술적 기억과 절차적 기억, 명시적 기억과 암묵적 기억)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기억 질환의 유형과 사례를 설명하고, 건강한 뇌를 통한 뇌 기능 영상 연구를 소개하면서, 뇌의 기능, 아니 '기억'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다.

 

"기억은 사건을 지속적으로 기록하지 않는다. 심지어 우리의 관심이 우리 인생의 어느 순간에 초점을 맞춘다 해도 그 순간은 똑같이 보존되지 않는다. 그 사건의 흔적을 우리의 기억과 이미 존재하는 우리의 지식뿐만 아니라 미래의 계획 전체에 통합되어야 한다."(111)

 

솔직히, 손에 쥐어지는 무게감에 비해, 단숨에 읽기엔 버거운 책이다. 때론 스스로가 단기기억상실증 환자는 아닐까 할 정도로, 머릿속이 과부하로 아우성치기도 하였다. 하지만 기억이란 것이 불완전한 것이라는 작은 위로를 삼으며, 끝까지 책의 향한 열의을 놓치 않았다. 알마의 과학과사회시리즈를 보면 앞 또는 뒤, 책에 대한 요약 설명을 통해 이해를 돕고 있었는데, 이 책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는 아쉬움을 핑계삼아 나의 무지를 달래본다.

 

책을 읽는 내내 <남자 방으로 들어간다>라는 소설이 자꾸만 떠올랐다. 12살 이후의 기억을 모두 잃어버린 한 남자와 연인 사이의 갈등, 그리고 그 속에 과학적 혁식으로 '또다른 기억'의 삽입이 가져온 혼란을 이야기하던 책, 잃어버린 기억을 되찾고자 노력하는 남자와 그 현실을 외면하고자 하는 남자 내면의 갈등과 혼란을 통해 '기억'의 또다른 이면을 살펴볼 수 있었던 책이다. 때론 잊고자 노력할수록 더욱 선명하게 자리하는 기억, 그 기억이 얼마나 불안정한 것인지, <우리의 기억은 왜 그토록 불안정할까>를 통해 그 기억의 실체를 확인함으로서 '기억'으로 인한 고통에서 조금은 자유로워질 수 있을 것 같다는 희망을 품어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