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은 자란다 - 아라이 연작 소설
아라이 지음, 양춘희 외 옮김 / 아우라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라이!' 티베트 출신의 작가란다. 제목, 표지, 작가 그 무엇보다도 '티베트'라는 세 글자가 가장 눈에 띄었다. 그 세글자엔 많은 것이 담겨있고, 그 자체로 많은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다만 기존, 머릿 속에 있던 티베트는 와그르 무너진 느낌이라 할까? 작가 스스로도 우려했던 부분이지만, 티베트 자체의 이야기보다는 인간 본연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느낌이었다. 단지 공간적 배경이 티베트(그 중에서도 '지촌'이란 곳)일 뿐이었고, 인물들은 장족, 티베트인일 뿐이었다. 그들 또한 우리내와 다르지 않은 사람일 뿐이고. 티베트의 정치적 상황의 갈등을 낱낱이 고발하는 이야기를 기대한다면(솔직히 그랬다), 이 책과는 거리가 상당할 것 같다. 그런데 책을 덮고 나니, 은근히 그러한 정치적 상황들을 은근히 비꼬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또 무엇일까? 작가의 고도의 전략?

 

<소년은 자란다>는 한국의 독자들에게 쓴 아라이의 글로 시작된다. 중국에서 성공한 티베트 출신의 작가 '아우라'에 대한 선입견 같은 것이 있었을까? 왠지 일제 식민지 시대, 일본에 전향한 작가들을 생각하며 편협했던 마음이 없지는 않았지만, 그의 서문을 읽으면서, 이 작가 참으로 따뜻한 사람이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그의 글 속에서 인간에 대한 애잔한 사랑이 뚝뚝 떨어진다고 할까? 한 글자 한글자 힘주어 썼을 그의 굳건함 같은 것도 느껴지면서, 애뜻함이 몸에 벤 사람은 아닐까하는 느낌이 온 몸으로 전해졌다.

 

<소년은 자란다>는 아라이의 13개의 단편들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인 인상은 중국에 강제 통합(?)된 이후의 변화를 이야기하고 있다. 정치경제적 변화 속에서 개인들의 삶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 모습은 때론 새마을운동이 한창 전개되던 우리의 모습과 비슷하다고 할까? 왠지 티베트인들만의 이야기가 아닌, 격동의 시절 속에서 우리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는 느낌, 그래서 아라이의 이야기에 공감하고, 때론 씁쓸함을 맛보게 되는 것일까? 눈으로 뒤덮인 산야, 양떼와 목동들이 티벳만의 풍경을 제시하고 티베트 불교와 라마승 이야기가 독특한 소재라 할 수 있지만, 때론 속화되는 종교인의 모습, 점점 물질화되어가는 모습, 티베트인들의 정체성이 자꾸만 퇴색되어가는 현실이 자꾸만 비춰지는 듯하였다.

 또한 너무 순박해서 오히려 어리석게 보이는 인물들, 그들은 척박한 자연환경 속에서도 그 자연에 순응하며 순수하게 살아왔던 티베트인들의 전형적인 모습이 아닐까? 그것이 때론 어리석어 보이는 것은 그만큼 우리가 때묻지 않은 인간의 순수성을 잃고 살아가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때론, 글의 속도감을 즐기는 면에서는 이야기에 쉽게 몰입하기 힘들었다. 그런데, 자꾸만 스물스물 뭔가가 올라오는 느낌이다. 아직 채 정리되지 않은 머릿속에 깊은 여운이 감돈다. 이것이 티베트만의 정신, 문화인 것일까? 진실, 그 어떤 본질에 다가가고자 하는!

 

<소년은 자란다>를 검색하다가, 우연히 같은 제목으로 '채만식'<소년은 자란다>를 발견하였다. 해방 뒤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라 하는데, 문득 이 책이 궁금해진다. 그런데 왠지 맥이 하나로 연결될 것 같은 느낌, 해방 후의 격동기와 티베트의 격동기(물론, 해방과 속박의 상반된 )의 모습이 어떻게 같고 다르게 느껴질지 상상의 나래를 펼쳐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