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중원 1 - 이기원 장편소설
이기원 지음 / 삼성출판사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독특한 소재의 역사소설이 나왔다. '역사소설' 그 자체로도 충분히 흥미,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데, 어느 정도의 윤곽을 확인하니, 더없이 흥분되고 안절부절이었다. 나의 그런 기대와 설렘을 책을 읽자마자 더욱 고조되어, 쉽게 책을 놓을 수가 없었다. 구한 말, '백정'이란 하찮은 신분에서 '의사'가 되는 과정의 빠른 전개와 선과 악의 대립 구도의 암시(1권에서 특별하게 대립되는 상황이 전개되지 않고, 그런 대립의 설정이 우세하다)가 2권의 이야기의 호기심을 부채질하면서 술술 읽힌다. 거기에 역사적 사건이 맛깔스런 양념이 되어, 역사적 진실과 작가의 상상력 사이에서 왔다갔다 쉴 새 없이 읽기 바빴다. 

 

'황정'이란 주인공이 만주로 떠나면서 '제중원'에서의 이별장면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연인이었던 '유석란', 백정시절 친구 '이곽', 그리고 철천지원수에서 둘도 없는 친구가 된 '백도양'을 소개하면서 어떻게 '백정'이었던 '소근개(한자어를 풀어하면 '개새끼'가 된다. 백정이란 신분의 한계를 적나라하게 드러난다)'가 '의사'가 되었는지 '황정'의 인생역전기를 만날 수 있었다. 죽음이 임박했던 어머니, 그 어머니를 살리기 위한 고군분투 속, 밀도살과 시체해부 그리고 쫓기는 신세가 되어 고향을 떠나게 된다. 총을 맞고 쓰러지지만 알렌의 치료를 통해 회복하고, 알렌의 조수가 되어 제중원에서 일을 하게 되는 것이 <제중원 1>권의 전체적인 흐름이다. 그 속에서 '석란'과의 만남, 그리고 그녀에 대한 연정과 '도양'과의 잘못된 인연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무척이나 기대된다.

 

<제중원>이란 역사소설 속에서 소설의 모티브가 된 '황정'의 실제 인물 '박서양'에 대한 궁금증과 흥미로운 역사 읽기의 시작이었다. 일단 '백정'이란 신분의 한계가 어디까지였는지를 속속들히 알 수 있었다. 사람취급하지 않는 '백정'의 신분과 '소'를 중시하면서, '소'를 도살하는 의식 그 속에 담긴 뜻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한말의 시대상황 특히 '광혜원->제중원'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고, 갑신정변의 역사 현장 속 생생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었다. '황정'이란 인물이 어떤 난관에 부딪히며,  도양의 일방적인 복수과 화해, 석란과의 사랑이 어떻게 전개될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