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레소시지 - 27일 간의 달콤한 거짓말 풀빛 청소년 문학 6
우베 팀 지음, 김지선 옮김 / 풀빛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오랜 만에 독일소설을 접한다는 생각, 여러 수상 경력 그리고 '청소년문학'이란 말에 가볍게 설레는 마음으로 책을 집었다. '소시지'하면 독일 아닌가? 그런데 '카레'소시지?  그리고 ' 달콤한 거짓말'이 하나로 연결되지 않았다. 하지만 카레의 매콤 쌉쌀함처럼 머리가 확 트이면서, 뭔가 뒤통수를 크게 얻어맞은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청소년문학'이라 한정하는 것이 커다란 아쉬움으로 남는 책, 그만큼 누구나 읽어 볼 만한 책 <카레소시지>였다.

 

처음에는 이야기 전개가 만만하지는 않다. 이야기 형식면에서 기존의 틀을 크게 벗어나있었다. 자꾸만 끼어드는 무엇인가-세 사람의 주인공의 서술는 '내'가 되었다가 '그'가 되고, 불쑥 주인공의 회상 장면에 현재의 내가 끼어들어, 그 간격이 모호했다.-가 있어, 흐름을 놓칠까 노심초사한 점에서 소설의 처음은 낯선 형식면에서 집중의 어려움이 있었다. 옮긴이는 이 또한 소설적 장치였다는 설명을 곁들여주고 있지만, '거짓말'과 '카레소시지'가 하나로 연결하고자 하는 성급한 마음에, 많은 부분을 놓치기도 하였다. 이 점은 독자로서 이 책을 너무 만만하게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청소년문학'이니깐.

 

허름한 길거리 식당의 '카레소시지'를 즐기던 '나'는 '카레소시지'를 발명한 사람이 그가 자주 찾았던 노점의 주인 '브뤼커'아주머니라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밝히고자 '브뤼커'를 찾아나선다. 그리고 어느 양로원에서 그녀는 만나 '카레소시지'의 발명 일화를 듣게 되는데, 그것은 그녀의 짧았던 27일간의 사랑 이야기였다. 우연하게 만났던 스물네살의 해군상사 '브레머'와 마흔세살의 '브뤼커'의 사랑, 그리고 시작된 '브뤼커'의 거짓말, 1945년 즈음의 독일의 모습을 만날 수 있었다.

 

다세대주택의 꼭대기 브뤼커의 집에 숨어 살게된 탈영병인 '브레머'는 무의미한 전쟁이 싫어 탈영은 강행했지만, 전쟁 중, 탈영병은 총살형이기에 숨어지낼 수 밖에 없었다. 한정된 공간 안에서, 브뤼커 이외에는 소통의 여지가 없다. 종전이 되고, 항복을 선언한 상황 속에서도 그 소식을 알 수가 없다. 브뤼커의 거짓말이 시작되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창 밖 풍경의 변화를 느끼게 되고, 아우성치지만, 그에게 돌아온 것은 미각의 상실뿐.

 

'브레머'를 사랑하게 된 '브뤼커'는 강한 여성이었다. 그 주류에 흔들리지 않는 강한 의지도 있었고, 종전후 폐허 속에서 호색한인 남편을 내쫓고, 혼자 힘으로 남매를 뒷바라지하는 강한 어머니이기도 하였지만, 그는 한 사내를 열렬히 사랑했던 비련(?)의 여인이기도 하였다. 27일간의 짧은  그러나 그 삶에 단 하나였던 불꽃같은 사랑, 그 사랑을 조금만 더 연장하고 싶은 마음에 시작된 그녀의 거짓말은 불안불안한 마음과 함께, 그녀의 가상하고 헌신적인 노력 앞에 쉽게 동요되고 만다. 그리고 '유태인'에 대한 만행을 접하고, 격화된 감정에 진실을 말하는데, 하지만 사랑이 떠난 뒤, 종전 후 그녀의 생동감 넘치는 삶의 이야기가 박진감있게 전개된다.

 

전쟁 속, 1945년 무렵의 독일의 모습을 보면서, 그 당시 우리의 모습은 어떠했는지 생각해본다. 아니, 그 전 식민지 상황도 떠올리게 된다. '브뤼커'주변은 다양한 사람들, 권력에 아첨하고, 앞장이가 되었던 이웃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립을 꿈꿨던 독립투사들, 그리고 묵묵히 자신의 삶을 견뎌야했던 뭇사람들의 이야기를 만나게 된다. 또한 혼란과 폐허 속에서 강인하고 생동감 넘치는 한 여인을 만나게 된다. 독립과 6·25를 겪으면서, 허리끈 질끈 동여메고 동분서주 삶의 현장을 누볐던 우리들의 어머니, 할머니를 만나게 될 것이다.

 

40년 후, '카레소시지'의 발명 일화를 찾아 나섰던 '나'는 전혀 생각지도 못한 전후의 이야기를 만나게된다. 단지 '카레소시지'가 궁금했을 뿐이었던 '나' 그리고 그 속에 놀라운 삶의 이야기, 역사의 생생한 체험, 그리고 그 혼란 속에서도 꽃을 피웠던 사랑, 폐허 속에서도 '식탁'위 꽃을 놓는 독일인의 모습을 보면서, 그건 비단 독일만의 이야기가 아니었다. 바로 우리들의 이야기였다. 전혀 생각지도 못한 이야기를 만나면서 절로 흥미진진해진다. 천천히 고조되며 절정에 이르는 순간, 그 충격과 명쾌함은 이루말할 수 없다. 고생스러웠던 산행 후, 탁 트인 시야 속 예기치 못한 풍경과 마주하게 되는 그 시원함과 흐뭇함 그 이상이었다. 입 안, 매콤한 카레맛이 입맛을 절로 돋우며, 꼴깍꼴깍 침이 절로 넘친다. 그 '브뤼커'할머니의 카레소시지가 참으로 먹고 싶은 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