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들의 사회 : 사자, 개미, 마모셋원숭이 과학과 사회 6
기 테롤라즈 외 지음, 이수지 옮김 / 알마 / 2009년 6월
평점 :
절판



'알마'의 과학과 사회 시리즈 5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이미 만난 적이 있었다. 조금은 색다른 경험을 통해 신선하면서 좋은 기억(내용 자체는 만만하지 않았지만, )이 남아 있었고, 또다른 여러 시리즈의 책이 궁금하였다. 그리고 <동물들의 사회>라는 또다른 책을 만나게 되었다. 사회와 동물 기존의 지식으로는 뭔가 아귀가 맞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면서, 사자와 개미, 그리고 마모셋원숭이가 흥미를 끌었다. 특히, 표지의 사납게 생긱 작은 몸체의 마모셋원숭이는 생소하여 더욱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다. 

 

인간을 사회적 동물이라 하지 않던가! 그리고 이 때의 '사회'는 동물과 구별되는 특징 중 하나로, 행동생태학적으로도 '군집생활'은 동물의 세계에서 하나의 기현상이라 한다. 그런데 동물이 '사회'를? 지극히 자기중심적인 생각에서 비롯된 작은 오해이기도 하지만, 함께 살아가는 '사회적' 동물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동물들의 사회>란 이 책은 동물들의 사회를 면밀히 관찰하고, 행동양식과 생태 환경을 통해 '사회성의 진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총 3개의 장으로 각자 다른 저자(프랑크 세지이/ 뤽 알랭 지랄도/ 기 테롤라즈)는 '군집, 집단'에 대한 다른 접근을 하면서 이를 종합하고 있다. 한 마디로, '동물들의 사회성'이란 것은 '집단' 차원이 아닌 '개체'중심으로 파악하면서, 동물들의 사회적 행동을 '자기조직화''자연선택'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동물이 무리를 짓는다는 것은 크게 두가지(익명집단과 사회)로 분류할 수 있다. 행동생태학의 방법론을 택해 분석하면서 군집 생활의 이점을 크게 두 가지-'보호하기'와 '자원찾기'-로 설명한다. 그리고 그 중에서 '먹이자원'에 초점을 맞추고, 게임이론을 동물 행동 연구에 적용하여 '진화 게임'을 설명한다. '생산자-좀도둑 게임'이론은 더없이 흥미로웠다. tv를 통해 보았던 장면들-수사자가 잡은 먹이를 하이에나 무리가 접근하여 빼앗는 장면이었다. 하이에나의 수를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지만, 숫적 우세를 앞세워 사자의 먹이를 빼앗고, 사자는 눈치보다 포기하는 장면이었다.-들이 겹쳐지면서, 훨씬 흥미진진한 동물의 생태를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흡협박쥐'들의 협동 생활-이것도 tv를 통해 본적이 있는데, 피를 먹지 못할 경우에는 서로 나눠 먹는데, 이를 이타주의가 동물에게도 진화할 수 있다고 추측한다-은 언제나 신기한 이야기인 것 같다. 군집 생활을 진화적 측면(자연 선택)에서 해석하고, 이에 또다시 경제학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 1장의 이야기였다.

 

동물들의 '짝짓기 체계'를 하나의 '군집'생활, '사회성'으로 파악하는 것이 2장의 전체적인 내용이다. 여기서 말하는 '짝짓기 체계'는 조금더 광범위하게 적용(생식, 번식, 양육(?)의 일련의 과정 모두를 내표한다)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암컷과 수컷의 관계를 일부일처, 일부다처, 일처다부(동시적 일처다부와 협동적 일처다부로 세분화), 다처다부와 난교로 분류하면서 이론이 전개된다. 또한 이런 분류 속에서도 다양한 유형의 암컷과 수컷의 결합을 이야기한다. 번식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동물의 세계에서 암컷과 수컷의 역할관계는 그들이 처한 환경에 따라 다르고, 그것은 고정불변은 아니라는 것이 흥미로웠다. 그리고 다양한 동물들의 사례를 통해 쉽게 접근하는데, 사자의 이야기-일부다처의 사자 세계가 수사자들이 영아 살해 행동(특히, 수컷)을 조장한다는 것과, 이를 최대한 방어하기 위한 수단이 암컷들의 집단 형성이라는 것 그리고 이러한 선택은 자연선택의 결과-가 특히 흥미로웠다. 또한 (협동적) 일처다부의 예로 '마모셋원숭이'의 이야기-쌍둥이 탄생의 비율이 높은 마모셋원숭이에게 일처다부는 필연적인 어쩔 수 없는 선택이란 것-도 인상적이었다.

 

곤충들의 집단 생활, 특히 '개미'를 통해 본 동물들의 '단체행동'에 대한 이야기가 3장의 이야기다. 곤충의 생태는 지금껏 가장 많이 접할 수 있었던 이야기였지만, '자기조직화'란 이론을 통해 곤충들의 집단 생활을 분석하는 것이 생소한 이야기이면서 더욱 흥미로웠다. 동물들의 자극과 반응의 개체들간의 행동이 축적되고, 이는 집단 전체를 움직이며서, 사회를 조직한다는 이야기였다. 집단의 행동을 결정하는데 있어, '자기조직화'된 정보는 일종의 자연선택의 산물로 보고, '자기조직화 과정'의 다양한 정보를 상호작용하고 집단의 선택, 결정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지만 만만하지 않은 내용임을 부인하지 않겠다. '동물'들의 이야기가 더욱 실감나고 생생하게 읽히면서, 더욱 흥미를 불러일으키지만, 동물 생태 속에서 '사회성'의 진화 과정을 밝히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결코 쉽지만은 않았다. 다만, 책의 내용을 정리하고 최대한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럼에도 <동물의 사회>는 참 착한 책이다. 앞선 이론을 설명하고 다시 '맺음말'을 통해 정리하고, 3가지의 접근을 통해 동물의 '사회성'을 이야기하면서, '총체적 결론'으로 마무리하고 있어, 3번의 반복학습을 할 수 있었다. 또한  다소 적은 분량이란 점이 이 책이 착한 또다른 이유다. 적은 분량으로 어려울 수 있는 과학지식을 조금은 여유있고 부담없이 접근할 수 있게 돕는다. <동물의 사회- 사자, 개미, 마모셋원숭이>는 가볍게 들리면서, 심오한 동물의 세계를 엿볼 수 있도록 안내자 역할을 충실히 하였다. 그리고 점점더, '알마'의 '과학과사회 시리즈'의 다른 책들이 궁금해진다. 다음엔 어떤 책을 또 읽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