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여성 No.1 신사임당
안영 지음 / 동이(위즈앤비즈)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오만원권 화폐 인물로 '신사임당'이 선정되고, 드디어 세상에 나왔다. 여러 여성 인물들 중 '신사임당' 선정을 두고 말이 많았던 것이 새록새록 떠오르면서(나는 사실 조금 다른 인물이길 바랐다. 무엇인가 더 혁신적인 인물이길 바라는 마음이 컸다), 새 화폐에 대한 은근한 기대, 설렘을 갖으며, 이렇게 책을 통해 '신사임당'을 만났다. 내가 조금은 부정적으로 생각했던 마음이 괜시리 미안하고 죄스러웠다. 시대, 사상을 망라하고, '효(孝)'의 중요성을 체득할 수 있는 기회였다. 단지, 율곡 이이와의 연관성, 바람직한 어머니상에 국한하여 생각했던 나의 어리석음, 하지만, 자애로운 마음으로 용서해주실거라 믿어 의심지 않는다.

 

이 책, <대한민국여성 No.1 신사임당>은 조금 새화폐에 편승한 상업적인 냄새가 물씬 풍기는 제목이다(표지의 그림은 살짝 급조한 듯 영 마음이 편치 않다). 2004년 신사임당 탄신 500주년을 보내면서, 작가 '안영'이 '신사임당'을 소재로 쓴 소설 <그 영원한 달빛, 신사임당>이란 제목이 훨씬 마음에 와닿기에, 조금은 아쉬움이 남는다. 달빛의 은은함, 부드러움 애잔함은 소설 속 등장하는 달빛과 신사임당의 이야기가 너무도 절묘하게 들어맞으면서, 넒은 신사임당의 품에 안기는 듯한 착각을 갖기 때문에 숨겨진 제목 '그 영원한 달빛 신사임당'이 나는 참으로 좋다.

 

신사임당이 열아홉인 무렵부터 이야기는 시작된다. 아버지 '신명화'가 그녀의 결혼을 서울러 준비하고 치마폭에 그린 포도넝쿨 일화를 생생하게 들려준다. 그리고 결혼, 임신, 육아가 일상이 되는 삶 속에서 끊임없이 그림, 시, 자수 등의 예술활동을 하는 모습, 잠을 아까워하며, 열심히 성실하게 사는 그녀의 모습이 생생하게 펼쳐진다. 그리곤 '이'가 장원급제 소식을 들은 날, 갑자기 정신이 혼미해진다. 그리고 유년기로 거슬러 올라, 그녀의 어린 시절, 성장 과정을 들려주었다. 어찌하여 어머니가 '단지'를 하였는지, 외할아버지와의 추억, 떨어져 살았던 아버지 등등 어린시절의 사임당(인선)을 만날 수 있었다.

 

각각의 차례마다 신사임당의 그림 한 점이 소제목과 함께 다음 이야기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킨다. 지나치기 쉬우면서도, 그림에 생명력을 더하는 흥미로운 이야기가 담겨 있어 다시 한 번 그림을 살펴보게 된다. 예술가의 진면모를 살짝 느낄 수 있었다. 한 번 직접 그녀의 그림을 찾아나서고 싶다는 생각이 스친다. 육아에 전면하면서도 예술에 대한 끊없는 갈망, 그리고 '임신'에 대한 불평과 이내 반성하는 모습이 참으로 인간적이었다. 그래서인지, 많은 어려움 삶 속, 귀한 보배인 그녀의 그림을 감상할 수 있다는 것이 더없이 값진 일인 듯하다. 

 

내게 있어, 가장 크게 와닿았던 것은 효성스러운 딸의 모습이었다. 반성하고 또 반성하고 깊이 깨닫게 되는 책이었다. 문학의 즐거움에 '교훈성'이 특별히 강조된 것은 그다지 거북스럽지 않았다. 끊임없이 '배움'의 의욕을 놓지 않으며, 항상 성실하게 살았던 사람, 그리고 사람다움의 근본에 '효(孝)'에 두고, 시작과 끝을 맺었던 사람이 바로 '신사임당'이 아닐까? 나 역시 그녀의 발치라도 따라간다면~~~

 

참으로 앞선 여인이었다. 조선시대를 생각하면서 '정말일까?' 의심을 품게된다. 당연하게 시집살림을 살았어야할 때, 그년 친정에 머물며, 홀로 남겨진 친정 어머니를 모시고, 아이를 키우고 집안 살림을 꾸려간다. 현명한 아내, 지혜로운 어머니, 그리고 효성스러운 딸, 그리고 예술혼을 불태우던 한 여인인 '신사임당'을 만날 수 있었다. 절로 본받고 싶은 삶의 표본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