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륜의 왕실사 - 베개 밑에서 발견한 뜻밖의 역사
이은식 지음 / 타오름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 <불륜의 한국사>를 재밌게 읽었다. '불륜'이 갖는 또다른 의미를 되새기며, 역사를 만났던 기분 좋은 기억에 두번째 이야기를 기다리던 참이었다. 그리고 이렇게 <불륜의 왕실사>를 만났다. 저자는 말하였다. 삶에 지친 우리들에게 단순한 흥밋거리만을 제공하기 위한 기획이 아니라고, 그보다는 더 뜻깊은 의도를 담고 있다고, 그리고 나는 그 의도를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역사를 통해, 우리의 삶을 경계하고, 좀더 나아질 수 있는 발판이 마련하고 있었다.

 

<불륜의 왕실사, 이은식, 타오름>는 크게 1부 '욕망'에 흽쓸린 고려와 2부 '본분'을 망각한 조선으로 구성되며, 크게 6개의 사례로 이야기하고 있다. 근친혼이 성행했던 고려의 불륜은 시대상을 반영하더라도 상상 이상의 도덕, 윤리적인 문제를 파헤치고 있으며, 조선의 불륜 역시 피비린내 나는 권력 투쟁 속 불륜 이야기를 담고 있었다. 그 중에서 '천추 태후'와 '김치양'의 이야기와 조선 건국 초, 세자빈 유씨와 이만 그리고 방원과 충심의 이야기가 기억에 남는다. tv 드라마 속 '천추 태후'의 이야기가 겹쳐지면서, 얼마나 많은 역사 왜곡이 있는지 어렴풋이 알 수 있었다. tv속 머리에 박힌 이미지와 실제 역사의 간극은 너무도 컸다. 그리고 제대로된 역사 알기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불륜의 왕실사>는 권력욕에 사로잡힌 음흉한 '김치양'의 속내를 샅샅이 파헤치면서, <불륜의 한국사>에서처럼 저자의 상상력에 의한 '대화' 형식은 생생함과 긴장감을 느끼게 해주었다. 거란 침입의 구실이 되었던 '강조의 난'의 실체를 알 수 있으면서, 거란 성종 앞에서도 당당함을 잃지 않았다던 강조의 마지막 이야기가 궁금해졌다. 세자 방석의 탈선, 왕비 강씨의 시종인 '춘심(방원이 왕이 된 후 '효빈 김씨'에 봉해지고 그 사이엔 경녕군이 있다.)'과 방원의 불륜 그리고 세자빈 유씨의 간통 사건의 파장은 지금껏 몰랐던 역사로 흥미진진하였다.

 

각각의 이야기별로 저자는 역사의 자취를 찾아 나서며, '기행문'의 형식으로 그 뒷이야기를 들려준다. 그 뒷이야기 역시 여전히 흥미로웠다. 죽은 역사가 저자의 이야기를 통해 생생하게 되살아났다. 적막한 묘소 앞에, 심드렁한 나완 달리, 속삭이듯 대화를 나누는 점은 언제나 신기하면서도 더 많은 지혜와 교훈을 남겨준다.

 

본분을 잃고, 욕망에 사로잡힌 옛사람들, 특히 왕실이란 제한된 공간 속, 역사에 오명을 남긴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삶의 지혜를 배운다. 역사는 살아 있는 인생 교육서란 말처럼, 끊임없이 사람 된 도리, 본분을 생각하게 하는 책 <불륜의 왕실사>였다. 저자의 뜻대로, 단순한 흥밋거리가 아닌, 사람답게 사는 법, 내가 속한 자리의 소중함을 깨닫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 탐욕에 사로잡힌 결말은 끔찍하고 암담한 비극이었다. 그리고 그런 역사의 비극이 오늘도 여전히 진행중이라는 것이 안타까웠다. '본분'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고, 사람 사는 세상 속 '사람됨'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하며, 지금의 나를 되돌아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갖게 하는 책, <불륜의 왕실사>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