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입은 봉황 선덕여왕
김용희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선덕여왕' 관련 책이 봇물 터지는 밀려오고 있다. 그리고 나는 그 흐름에 휩쓸려 마냥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다. 이번에도 역시 즐거운 선덕여왕과의 만남이었다. 붉은 책 표지가 내 눈을 사로잡으면서 '상처 입은' 봉황이란 제목이 인상적이었다. 역사상 아직 풀리지 않은 많은 미스테리가 많다. 그리고 그 중에 하나가 '선덕여왕'일 것이다. 생물연대 조차 정확하지 않으면서, 최초의 '여왕'이란 굴레 속 많은 지탄을 받으며, 홀연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처음 '선덕여왕'에 대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신라인 이야기, 서영교, 살림>이란 책을 통해서였다. 남성중심의 역사 속, 김춘추, 김유신을 중심으로 신라 격변기를 이해해왔다. 하지만 그 시대를 이끈 주역은 바로 '선덕여왕'임에도 그의 성과는 빛을 바라고 퇴색된 실정이었다. 그러한 역사적 충격이 이처럼 '선덕여왕'에 빠져들게 하였다. 과연 그는 어떤 삶을 살았고, 그의 최후에 관한 미스테리를 어떻게 풀고 있을까? 풀리지 않는 의문들, 내가 결코 풀 수 없는 많은 의문들을 여러 책을 통해 풀고자 한다.

 

이번에 읽은 <상처입은 봉황 선덕여왕>은 국문학은 전공한 한 여학자의 책이다. 저자는 한 명의 여성이자 어머니로 살면서 역사 속 많은 여성들(황진이, 이매창 등)에 대해 관심을 쏟던 중, '선덕여왕'에 남다른 애정을 보인다. 그리고 그 결과물이 바로 <상처입은 봉황 선덕여왕>이다. 저자의 이력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역사학자의 관점에서는 조금 벗어날 수도 있다. 하지만 충분한 사료와 유물사진을 통해, 그리고 여성다운 섬세함으로 '선덕여왕'이 진실에 다가가고자 노력한 흔적을 곳곳에서 느낄 수 있었다. 13개의 소제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소제목들도 나의 흥미를 이끌어냈다. 각각의 목차가 무슨 이야기를 할까? 괜시리 기대되면서 인상적이었다.

 

저자는 말한다. <화랑세기>의 진위 여부를 떠나서, 충분한 역사적 사료로 가치있다고, 그래서일까? 필사본 <화랑세기>의 이야기가 중심을 이루며 전개되었다. 진평왕의 딸 덕만, 천명 그리고 선화공주까지 이야기하고 있다. 잠시 선화공주를 잊고 있었다. 진평왕의 셋째 딸이였다니! 물론 선화공주의 실존 여부조차 많은 논란의 와중, 얼마 전에 발견된 "금제사리봉안기"의 내용까지 다루고 있어, 더욱 흥미진진하고 참신했다. 김부식의 <삼국사기>를 속 폄하된 선덕여왕의 많은 업적들 - 대민 구휼 활동, 불교 진흥 정책, 각종 문화 정책(사찰 건립)-의 정치, 사회, 역사적 의도를 명쾌하고 규명하고 있다. 

 

" 선덕여왕 대의 사찰 건립은 씨족· 부족 사회가 국가 사회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질감을 막는 자연스러운 통치 행위임과 동시에 시장을 활성화시켜 신라 백성들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는 수단이 되었다." (190)

 

이 책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선덕여왕'의 최후에 대한 이야기다. '비담과 염종의 난' 와중에 선덕여왕은 세상을 떠났다. 실제 어떤 암살기도에 의한 것인지? 지병에 의한 것인지 확실하지 않은 가운데, 김유신과 김춘추의 숨겨진 정치적 의도를 파헤치고 있다. 그리고 선덕여왕의 유폐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이 가장 흥미로웠다. 선덕의 최측근 용춘, 자장, 염장의 최후, 그리고 진덕여왕의 즉위와 관련하여 많은 의문점을 제시하였다. 선덕의 최후의 이야기가 가장 궁금하던 중에 전혀 새로운 논의에 깜짝 놀라고 다른 책들과 달리 단연 인상적이었다.

 

"나라나 임금을 배반하여 군사를 일으켰던 사람은 비담과 염종이 아니다. 그들이 주장한 여주불능선리의 여주는 선덕여왕이 아니라 느닷없이 나타난 진덕을 말한 것이다. 따라서 비담의 모반 운운은 역사의 비극이라 할 수 있다." (260)

 

지난 책들과 비교를 하면서 어떤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는지가 책을 읽는 즐거움이었다. 뜻밖의 가능성에 놀라면서, 기존에 접하지 못했던 '선덕여왕'을 만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었다. 이 다음의 또다른 '선덕여왕'의 이야기가 더욱 기대되고 설렌다. 국문학자인 여성에 비친 선덕여왕은 다부진 지도자로서의 면모를 잃지 않고 있었다.  이 작은 책 <상처입은 봉황 선덕여왕>은 화려하게 신라 부흥기를 이끈 위대한 지도자였으며, 그녀의 삶의 이면을 다각도로 보여주고 있다. 역사의 주류에서 벗어나, 오랜 시간 방황했을 '선덕여왕'의 이야기가 더 많이 알려졌으면 좋겠다.

 

"진흥왕은 .... 고구려와 연합하여 한강 이남을 차지했으며 불교를 진흥시켰다."(236)란 내용에서 '고구려'와 연합하였다는 것이 언뜻 이해되지 않았다. 백제와 연합해서 한강 이남을 차지하고 배신하지 않았던가? 그 배신의 배후에 '고구려'와의 연합이 있었나? 오타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