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가는 길 - 고3 아들과 쉰 살 아버지가 함께한 9일간의 도보여행
송언 지음, 김의규 그림 / 우리교육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고3 아들과 쉰 살 아버지가 함께한 9일간의 도보여행'이란 문구에 한 눈에 들어온다. 과연 어떤 이야기가 숨어있을지 기대되고 설레고, 괜시리 부러움에 책을 읽었다. 머리 굵은 아들이 함께 여행을 가자고 한다면, 그 자체만으로도 어찌 흐뭇하지 않을 수 있을까? 서로 바빠 함께 식사할 여유조차 없는 현실을 보면, 그런 마음만으로도 이미 훈훈한 이야기가 가득할거란 기대를 갖는다. 그리고 충분히 만족했다.
 

국토 순례를 가겠다는 아들 이야기에 일단 반대부터 했던 아버지(물론 어머니도 마찬가지)는 함께 하자는 말에 승낙한다. 그리고 한 달여를 앞두고 걷기 연습을 하며, 외가집으로 예행 연습도 한다. 그리고 12월 31일 국토 순례의 도보 여행을 출발한다. 수원에서 출발하여 해남 까지 부자의 9일 간의 여행이 펼쳐진다. <해남 가는 길>은 선생님인 아버지가 아들과 함께 했던 여행의 추억을 담고 있다. 대학생이 된 아들의 이야기는 끝에서 살짝 맛보기 할 수 있다.

 

추운 겨울, 배낭을 메고 호젓한 길을 걷는 부자를 상상하는 것만으로 흐뭇한데, 책 속엔 또다른 이야기가 숨어있다. 반향기 살짝 묻어나는 아들, 아들 발톱 깎아주는 아버지, 그 곳에 묻어나는 부자간의 애뜻한 정을 느끼며, 여행에서 만났던 사람들의 이야기와 우리 땅에 숨어있는 옛사람과 역사, 문화유적을 만날 수 있었다. 홍성의 만해 한용운 동상, 예산의 수덕사(요즘 가장 가보고 싶은 곳이다), 수덕여관 앞 너럭바위에 새겨진 고암 이응로의 그림, 명창 김창진의 이야기, 온 가족이 함께 간 해남 대흥사 대웅전 현판의 원교 이광사추사 김정희의 일화, 똥치는 일을 하는 니다이 등 다양한 이야기들로 풍성하였다.

 

"차를 타고 가는 사람은 길을 따라 달려가며 휙휙 스쳐 가는 주변 풍경을 보지만, 도보순례를 하는 사람은 자신을 밟고 가기 때문에 내면을 들여다본다는 게 다른 점이 아닐까?" (16)

 

어느 사찰을 며칠 전에 다녀왔다. 차를 타고 '씽~' 하고 다녀온 것이 몸내 아쉬웠던 차에, 그 아쉬움은 더욱 배가 되었다. 배낭 짊어지고 산새소리, 풀내음 맡으며 여유롭게, 다리품 팔아가며 걷고 싶은 마음이 오히려 간절해졌다. 또한 '손전화'라 표현하는데, 그 어감이 어찌나 정겹던지~. <해남 가는 길>에 담긴 부자간의 국토 순례이야기는 아주 훈훈하게, 내 마음을 따스하게 해주었다. 그리고 나 역시 부모님과 함께 걸으며 여행하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