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래된 길, 우즈베키스탄을 걷다 - 실크로드 1200km 도보횡단기
김준희 글.사진 / 솔지미디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키스탄'이란 낯설기만 한 그 땅을 걸었다니, 마냥 신기하고 호기심이 일었다. 실크로드 1200km의 도보횡단기! - 정말 주변 도움의 손길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묵묵히 걷는 그 모습이 의젓하고 멋졌다 - 익숙하지 않은 나라 속 사막을 횡단했다는 것, 어찌 그런 고행을 자처할 것일까? 그 숭고한 여행에 동행하고 싶다는 생각에 책을 들었다. 그런데 글을 읽으면서, 저자의 기억 속 많은 추억과 이야기를 몽땅 훔쳐오고 싶었다. 고스란히 내 기억으로 옮겨놓을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간절해진다. 결코 쉽지 않은 여행이었을텐데 끝까지 임했다는 것, 그리고 이렇게 책으로나만 나 역시도 경험할 수 있게 해주어 고마운 책, <오래된 길, 우즈베키스탄을 걷다>였다.
소비에트 연방에서 독립한 나라, 그리고 한 번쯤이야 들어본 나라이지만, 그곳에 대한 관심은 다 한 번도 없었다. 하지만 티무르 제국이 남겨놓은 세계문화유산 '사마르칸트'에 대한 호기심도 일었다. 많은 길과 그 길위에서 만난 다양한 사람들, 그곳의 현지인들은 정말 너나없이 친철하다는 것을 느꼈다. 괜시리 내가 뿌듯한 이 기분은 뭘까? 1박 2일을 함께 술 마시며 보낸 이야기, 먼저 집에 가자며 잠잘 곳과 먹을 것을 제공해 준 사람들, 한국에서 일했다면 한국말을 하는 두 명의 알리, 다섯 번이나 만난 사막의 운전사 '일홈' 등등 그의 여행 속에 친절하고 소박한 사람들로 가득 넘친다.
<오래된 길, 우즈베키스탄을 걷다, 김준희, 솔지미디어>을 통해 '우즈베키스탄'이란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알 수 있었다. '빨리비나(절반)'라는 음식 문화, 볶음밥을 안주 삼아 마시는 '보드카' 그리고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언어도 공존하고 곳, 우리처럼 나이의 서열을 중시하는 문화, 한국 드라마(가을연가, 대장금, 장보고, 주몽)의 유행하는 나라, 한국을 친구의 나라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사는 나라였다. 또한 멋지고 광활한 자연 경관도 머리 속에 그려졌다. 목화 생산량이 4위인 나라, 국유지 목화밭과 관개사업으로 말라가는 '아무다리야 강'을 보면서, 보호와 개발 사이의 첨예한 갈등을 여지없이 확인할 수 있었다.
다 닳고 헤진 운동화도 인상적이었다. 그 어떤 말보다도 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운동화였다. 힘든 여정인만큼, 충분히 행복한 시간들이었으리라 생각하니, 왠지 부럽다. 낯설고 물설은 곳, 메마른 땅을 여행했지만, 그 어떤 곳보다 풍요로웠을 것이다. '우즈베키스탄'이란 나라가 더욱 가깝게 느껴지면서 더욱 궁금해진다. 또한 그의 다음 여행에 왜 내가 더 설레고 기대될까?
"거기에는 오래전에 전성기를 누렸던 실크로드를 직접 걷는다는 기쁨도 있다. 낙타를 몰고 터벅터벅 걸어갔던 상인들처럼 나도 걷는다. 그 길에서 변해가는 풍경과 조금씩 기울어져가는 태양을 바라본다. 멀리서 불어오는 바람에 몸을 맡기고 저 길의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를 상상한다. 그러다보면 하루 이틀 쉰다는 것은 생각도 못한다. 쉽게 말해서 길에서 느끼는 즐거움과 길에서 생기는 호기심이 나를 계속 걷게 만드는 것이다. " (178)
-그의 즐거움을 따라, 그의 호기심을 따라
나 역시 쉼없이 즐기차게 읽어내렸다.
짧은 길일지언정
걷는 즐거움을 느끼고 싶다.
홀로 한적한 길 위에 서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