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여왕 2 - 사랑과 권력을 가슴에 품은 최초의 여왕
한소진 지음 / 해냄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덕여왕1>에서의 용춘, 용수 그리고 덕만과 천명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덕만이 왕이 되기까지의 과정들이 어떻게 묘사될지 궁금증을 참을 수가 없었다. 역사적 지식이 전무한 상태이기에 덕만이 왕이 되는 과정이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다. 분명 순탄하지는 않았을 것을 짐작하면서도 좀처럼 예측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권력투쟁의 정치이야기인듯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람냄새 물씬 풍기는 애절한 사랑, 사랑이 넘치는 심리묘사들이 이 책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이끈다.

 

덕만과 천명의 엇갈린 운명이 이미 예고되었기에 그 이야기에 초점이 맞추며 읽었다. 천명은 왕이 되기위해 마지막 성골 남자 중 장자인 용수와 결혼하게 된다. 하지만 차남이 용춘은 마음에 두었던 천명이기에 결혼생활을 삐그덕거리면서 용수와 천명의 그릇된 행동으로 결국 옥새를 빼앗기에 출궁하게된다. 그리고 진평왕(백정)은 덕만과 용춘을 결혼시켜 덕만에게 왕위를 물려주려 한다. 하지만 여전히 덕만에게는 시련이 끊이지 않는다. 덕만을 암살하려는 시도, 지귀의 죽음, 그리고 용춘과의 어쩔 수 없는 이혼(?) 그리고 친숙부 백반과의 결혼 등 실타래는 얽히고 얼힐 뿐이다.

 

대홍수 이후, 덕만은 왕위승계자로서 점점 자리를 잡아가지만 '여자'라는 것, 최초의 여왕이 된다는 것이 가진 한계와 맞부딪히며 극복하는 과정에서 용수와 미실, 보종(미실의 아들) 그리고 용수와 천명의 화해 등등 또다른 인간관계의 갈등와 용서, 화해가 이어진다. 그 중에서, 미실에 대한 복수, 그리고 미실의 개과천선(?) 그리고 용춘과 덕만의 애절한 사랑이 흥미로웠다. 골품제도 속 성골의 순수혈통 유지를 위한 근친상간에 대한 반감은 너무도 쉽게 사라졌다. 따지고 보면 용춘과 덕만의 관계도 근친이지만 너무도 자연스럽게 그들의 안타까운 사랑에 빠져들었다. 여왕이기에 인간의 기본적인 욕망마저 절제해야 했던 선덕, 그리고 그런 그에게 힘이 되주는 연인 용춘 그리고 주변 사람들의 충성(지귀, 두풍, 비형)은 그 문란함이라는 오늘날의 잣대를 말끔히 지워준다.

 

<선덕여왕1,2>를 통해 신라의 역사를 세세하게 만날 수가 있었다. <선덕여왕 1>이 미실을 중심으로 한 권력 암투 속 인물들간 갈등를 다루었다면 <선덕여왕 2>는 덕만을 중심으로 권력 속 화해와 사랑 이야기에 더한 무게감이 실린 듯하다. '사랑과 권력을 가슴에 품은 최초의 여왕, 선덕을 만나면서, 역사 속  인간의 애처로운 삶을 만날 수 있었다.

선과 악의 극명한 대립은 여전히 중요하지 않았다. 아니 악은 없는 듯, 오히려 그런 선악은 너무도 무력하게 느껴졌다. 인물들간 갈등은 너무도 쉽게 용서하고 화해하는 듯한 인상이었다. 출생의 비밀을 알게되면서 용수와 용춘의 다른 태도(용춘을 순순히 받아들이지만, 용수는 그렇지 못한다.)도 많은 생각을 갖게하지만, 미실에 대한 복수를 꿈꾸는 용수는 나약한 한 인간, 미실 앞에 금세 연민을 느끼고 용서하는 과정이 한편으론 맥없이 느껴지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는 다사로움으로 인간 하나하나를 안고자 했던 작가의 마음이라 여기며, 가우뚱 거리면서도 환하게 밝아지는 마음을 읽을 수 있었다. 용수와 천명의 화해, 미실과 덕만의 화해 등등의 과정 또한 그러하였다. <선덕여왕1,2> 속 많은 인물들은 권력이 아닌 끊임없이 사랑을 갈구하고, 애절한 사랑에 아파하는 모습들로 한 가득이었다. 

 

이번에 만난 <선덕여왕1 2(한소진)>을 통해 기존에 이미 '선덕여왕'을 소재로 한 역사소설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다른 선덕여왕의 이야기들도 궁금해지기 시작하였다. 다른 선덕여왕은 어떻게 다뤄지고 있을지 은근 기대된다. 또한 춘추와 유신의 이야기 그리고 진덕여왕의 이야기들이 궁금해졌다. 점점 삼국시대의 이야기가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더 많은 이야기들이 있을터인데 나는 아직 모른다.

 

 

"....... 어차피 사람이란 각기 처한 상황에서 언제나 최대한의 이익을 보기 위해 사랑가는 동물이 아닌가. 어떤 일에서도 손해는 보지 않으려 애썼고, 비록 손해를 본다 해도 반드시 더 큰 것으로 보상받을 것이라 믿고 싶어 하는 것이 인간이었다. ....." (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