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역 이정표 도난사건
이세벽 지음 / 굿북(GoodBook)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참 별난 소설 하나를 만난 느낌이다. 소설을 읽으면서도 내가 무엇을 읽고 있는 것인지 자꾸 의심이 드는 참 희아한 소설이란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는 길을 잃어버리고 헤맬 때의 막연한 두려움과 짜증이 밀려오기도 하였다. 철물값이 뛰어오르자 길 위의 맨홀 뚜껑 도난 사건을 뉴스를 통해 보았지만 지하철역 이정표가 도난 되는 사건 자체도 참 별스럽다. 그리고는 정말로 이정표가 사라진다면 어떨까? 상상해본다. 그런데 이정표가 있어도 그것을 보지 못하면? 이런 상상과 함께 책을 들었다.

 

이야기는 엄마를 잃어버린 아니, 엄마에게 버림 받은 철수라는 아이가 등장한다. 그리고 동대문운동장역에서 7년간의 노숙생활이 시작되었다. 다행스럽게도 그를 돌봐주는 노숙자 '송 이사'가 있고, 그는 철수를 '작은 황금쥐'라 부른다. 황금쥐는 세계적인 부자이지만 지하철역 이정표를 탐하고 지하세계를 건설할 음모를 갖은 자이다. 철수와 주변인들의 지하철역 노숙생활이 실감나게 그려지고 있다. 그런데 갑자기 '황금쥐'의 이야기가 등장하면서 전혀 다른 이야기로 변모한다. 황금쥐와 최측근 은색쥐와 중역 회색쥐들의 등장과 고양이들이 등장한다. 황금쥐가 지하철역 이정표를 탐하면서 도난 사건이 계획되고 실행된다. 그런면서 또다른 인물 부장판사가 등장하고 꿈인지 현실인지를 판단하지 못한 채 부장판사와 철수의 길고긴 여행이 시작된다.

 

황금쥐와 고양이들의 이야기는 상징적 장치일 뿐인지 아닌지가 순간 아리송해진다. 무슨 판타지 에니메이션을 보는 느낌들이 가득하다. 지하세계 건설을 꿈꾸는 황금쥐의 음모를 막아야하는 철수와 부장판사의 대립과 또한 부장판사의 배신과 말하는 우체통과 절망의 계곡에서 꿈과 희망의 발전소를 재가동 임무 등등이 판타지를 불러일으키며, 돈과 권력만을 추종하는 인간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함께 꿈과 희망을 이야기한다. 한편으론 선택의 문제임을 강조하기도 한다.

 

"뭐든지 맛있게 먹지만 너무 살이 쪄서 아무 일도 못하고 잠만 자는 남자가 있다. 무슨 음식을 줘도 맛있다며 먹어치우는 그 남자의 입은 축복 받은 것이냐 아니면 저주 받은 것이냐."

" 절제를 선택하면 축복 받은 입이고 포기하면 저주 받은 입입니다."

'...... 저주와축복이 절제와 무절제로 선택되듯이 운명도 그럴 것이다. 만약 운명이 있다면 내가 선택하거나 포기한 그것이 운명이다. 나는 늘 뭔가를 선택하거나 포기해왔다. 탄생 이전부터 그래왔다. 지금 꿈은 희망을 선택할 때이다. 절대 포기해서는 안 된다. 그것이 내가 결정한 운명이다.'

 

딱히 어떤 소설이라 규정하기가 힘들다. 현실과 환상의 세계를 자유스럽게 오가면서 철수와 부장판사의 모험이 그려진다. 부장판사의 갈등과 혼란 역시 지금 우리들의 모습일 아닐까? 엄마에게 버림 받은 철수는 그래도 엄마를 그리워하며 끊임없이 엄마와의 만남을 희망한다. 절망의 계곡에서 꿈과 희망의 발전소를 재가동해야한다는 특명은 철수와 부장판사가 아닌 우리들의 사명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