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방으로 들어간다
니콜 크라우스 지음, 최준영 옮김 / 민음사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남자, 방으로 들어간다. 상반신의 한 남자가 방문을 열고 있는 것일까? 단순한 색의 표지에서 쓸쓸함이 묻어나는데 '방'의 의미는 무엇일까? 알 수 없는 의문투성이들이다.

'기억을 잃어버린 남자' '영원한 사랑을 믿는 여자' 그리고 '추억 없이도 그들은 여전히 사랑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에 책을 들었다. 그리고 이 뒷표지의 글을 보고 전에 보았던 드라마가 떠올랐다. "추억을 공유할 수 없다"는 것의 의미를 뭣 모른 채, 상실의 아픔이 무엇인지 모를 때 봤던 드라마!

 

 

이 책의 첫번째 화두(추억의 상실, 그리고 사랑)에 몰두한 탓일까? 크게 3부로 나뉘어진 글에서 1부는 가볍게 읽어나갈 수 있었다. 36살의 영문학교수인 '샘슨'은 기억을 잃은채 사막에서 발견되었다. 그리고 실종상태에 있던 그를 찾은 아내 '애나'와 함께 뉴욕으로 돌아간다. 하지만 샘슨은 낯설기만 한 아내 곁에 머무는 것이 힘들기만 하다. 그리고 그를 여전히 사랑하는 '애나' 역시 지쳐갈 뿐이다. 이러한 사랑의 불균형, 지난 사랑했던 기억을 잃어버린 한 남자는 자신보다 자신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아내에 대한 낯섦과 배신감 등등으로 혼돈에 휩싸인 상황은 냉정하고 담담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두번째 화두(과학과 고독, 외로움의 관계)는 너무도 낯설고 혼란스러웠다. 책을 읽으면서, 어쩌면 나 역시 샘슨처럼 단기기억상실에 걸린 것은 아닐까? 하며 나 자신과 싸워야했다. 그러면서 작가의 의도는 아닐까? 스스로 달래야만 했다.

'레이'의 전화를 받고 어느 연구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상실과 낯섦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 무리 속에 속하고자 하는 욕망이었을까? 그런데 그 연구프로젝트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수가 없고, '도널드'라는 한 인물이 등장한다. 그리고 이해할 수 없는 상황들이 펼쳐진다. 도널드와 샘슨의 이야기! 이것이야말로 이 책의 묘미일 것이다.

또한 '레이'는 인간의 외로움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그리고 인간의 고통, 그리고 공감, 공유에 대하여 이야기를 한다. 그렇다!. 도널드의 잔인한 기억을 샘슨이 갖게되는 것이다. 인간의 고독, 고통은 공유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너무도 잔인할 뿐이다. 공감과 공유의 차이일까? 아니면 인간의 한계일까? 작가는 너무도 철학적인 질문을 마구 쏟아내고 있었다.

 

세번째 화두(상실의 치유는 회귀, 어머니 그리고 사랑?)를 통해 비로소 혼란 속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었다. 샘슨이 처한 상황의 잔인함과 그로 인한 (기억)상실보다 더한 좌절, 절망 - 샘슨의 기억 속에 '다른 누군가의 악몽이 들어 있다'(260쪽) - 의 끝에서 그는 '어머니'란 존재를 찾아나선다. 아픔과 고통의 언저리에 언제나 우리는 포근히 감싸안아줄 어머니에 대한 자연(인간)의 본능일까?

 

 


니콜 크라우스의 처녀작 '남자, 방으로 들어간다'는 3부로 구성된 이야기 속에서 각기 다른 화두를 던지고 있다. 그런데 책을 읽고 난 후지만, 여전히 남자가 들어가는 '방'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모르겠다. 그냥 모호하게나마, 모성, 어머니, 더 나아가 과연 '사랑'일까? 자꾸 의구심만 든다.

 

사람들 속에서 살아가며, 함께 나누는 것(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고통, 고뇌, 상실 등등)의 가치를 높게 평가한다. 그리고 '나를 이해하는 것' 같은 사람에게 큰 동질감과 위안을 얻곤 한다. 그런데 '공감'과 '공유'의 차이가 선명하게 들어나는 책이었다. 충격적이고 잔인하였다. 기억을 잃어버린 남자의 방황 속에서 내가 본 것은 가히 아름답지만은 않았다. 상실과 외로움에 몸서리치며 방황하는 한 남자가 있었다. 그럼에도 그가 돌아가고자 했던 '어머니'의 품! 을 통해 '사랑'과 '가족'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었다.

 
익숙한 것이 한 순간, 낯설고 두려운 것으로 변한 상황 속에서 자아를 찾아가는 힘겨운 여정을 통해 잃어버린(또는 잊어버린) 것으로 인한 아픔과 고통 그리고 우리 삶의 소중한 가치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