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 『죽음의 수용소에서』빅터 프랭클과의 대화
이시형.박상미 지음 / 특별한서재 / 2020년 5월
평점 :
이시형 박사님이야 원래 유명하신 분이고, 책도 많이 쓰신 분이고, 쓰신 책 중에 몇 권은 읽어본 적이 있어서 이 책을 받자마자 좋은 책이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삶의 의미라니..... 흔하지만 어려운 주제인데 두 저자는 이 주제를 어떻게 풀어냈을까?
의미치료라는 건 정신보건 쪽에서 일을 하고 있지만 생소하다. 어떤 건지 궁금했다. 어쩌면 내가 이미 하고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우울증, 자살위험성이 있는 대상자에게 계속 자신에 대한 의미를 생각하게 하고, 어쩔 때에는 내가 모티브를 주면서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런 걸 의미하는 걸까?
첫번째는 우리가 혹은 우리 주변에서 느낄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 간단하게 문답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깊지 않게 하지만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것을 보니 인생을 앞서간 선배의 느낌에서 읽을 수 있다. 천근의 무게가 실린 의미 있는 말하기에서 나의 말하기를 돌아볼 수 있었다. 저자는 말이 많은 사람은 믿음이 잘 가지 않는다고 한다. 오히려 과묵한 사람에게 믿음이 간다고. 나 또한 그렇다. 하지만 일상에서는 말을 아끼면 뭔가 꿍꿍이가 있다고 생각하거나 무시당하기 일쑤다. 해야할 때에는 정확히 나의 의사를 전달하고 남의 이야기를 경청해야 할 때에는 그 사람의 말이 끝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이 기본이 나에게는 참 어렵다.
상담을 하는 사람은 쉽게 만나는 의미치료 강의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실제 사례를 생각보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어떤 식으로 상담을 이끌어 가야 하는지, 어떤 질문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배울 수 있다.
의미치료의 창시자, 빅터 프랭클의 이야기에서는 두 저자가 이야기하는 걸 읽고 나서 나의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된다. 저자는 말한다. 인생엔 의미가 있다. 누구의 인생이든 의미는 반드시 주어진다. 당신이 뭘하든. 뭘하지 않든 당신 인생엔 이미 의미가 주어져 있다고. 삶의 의미가 없다고, 인생이 힘들다고, 앞으로 희망이 없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이 책을 읽으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을까?
우울증 진단을 받는 사람이 늘어난다고 한다. 약에만 해답이 있을까? 물론 증상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이젠 약만 복용하면 된다는 건 설득이 좀 힘들다. 상담자와 혹은 내가 믿을 수 있는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나의 삶의 의미를 찾는 것, 내가 혼자가 아니구나, 내가 최악이 아니구나, 내 옆에는 나를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이 있구나..... 이런 생각이 조금씩 그 사람을 일으켜세울 것이다.
내 문제 하나도 힘든 삶이지만 우리는 원하든 원치 않든 누구에게 의미가 되고 있고, 누구에게 도움을 주고 도움을 받는 삶을 살고 있다. 또한 내가 죽어야 하는 이유보다 내가 살아야 하는 이유를 생각한다면 우린 분명히 삶을 살아갈 수 있다. 우린 어쩌면 스스로 의미치료를 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도 살아가고 있는 게 아닐까? 그 의미치료를 좀 더 강화하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끝까지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p.313 요약
직장을 생각하면 스트레스가 생긴다. 출근하고 있는데 출근하기가 싫다. 직장은 스트레스가 있는 곳이다.
직장이 재미있는 곳이면 사장이 입장료를 받지 월급을 주겠냐? 직장이 있어 월급이 생기고 그로 인해 내가 생활할 수 있다. 이것이 직장의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