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톨스토이에 열광하나 [05/02/02]
 
[왜 톨스토이에 열광하나]전쟁의 상처 어루만진 글…읽을수록 빠져들어

막스 베버의 유명한 연설 ‘직업으로서의 학문’의 말미에는 혼란스러운 당대의 사회현실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의 답변으로 톨스토이의 도덕적 삶이 제시되고 있다. 부연 설명 없이도 톨스토이의 도덕적 숭고함에 대한 당시의 청중들 사이의 암묵적인 수긍과 이해가 가능하였다는 것은 서구의 지성인들 뿐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톨스토이의 일생과 사상이 각인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톨스토이 사상의 핵심이 되었던 종교적 박애주의와 평화주의, 더 나아가 아나키스트적 사상의 편린들은 무엇보다 톨스토이의 삶 그 자체에 의해서 평가되어질 수 있다. 더욱이 유럽을 양분하여 상호 반목과 자기 파괴적인 증오의 감정만을 팽배하게 만들었던 세계대전의 광폭함이 남긴 너무나 깊은 상처에 신음하던 대중들에게, ‘사랑은 죽음을 없애고 죽음을 헛된 환영으로 만든다.

사랑은 무의미한 인생을 의미 있는 그 무엇으로 탈바꿈 시키고, 불행을 행복으로 만든다’는 톨스토이의 경구는 마치 복음서와도 같은 깊은 마력을 지니고 있었다. 가령 다른 동시대의 젊은이들과 마찬가지로 이유도 모른 채 살육의 전장으로 내몰린 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은 참혹한 진지 속에서 톨스토이의 사상과 철학만이 유일한 위안이라는 점을 자신의 종군 일기에 여러 차례 적고 있다.

전통적인 서구의 문화세계는 그 자체를 구성하고 있는 구조의 불가피성에 너무나도 깊이 뿌리를 박고 있기 때문에 논쟁적 태도 이외의 방법으로 이들 구조에 마주 서서 대항할 능력을 가질 수가 없었다. 반면에 19세기의 러시아 문학은, 그것의 이념 및 형식의 근간이었던, 유기적이고 자연적인 원초적 상태에 보다 가까이 접근해 있었다. 때문에 톨스토이의 사상에서와 같은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창조적 논쟁이 가능할 수 있었다.

물론 루소의 사유체계에 많은 부분을 빚지고 있지만, 톨스토이의 문학에서 삶이란 자연과 공동체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자연의 커다란 리듬에 깊이 적응하는 것이며 나아가서 일체의 사소하고, 해체적이고 경직된 것, 즉 자연적인 것이 아닌 모든 구조를 배제하는 것이 삶이라는 것을 전파하고 있다. 톨스토이의 사상은 베버적인 의미에서 ‘탈마법화’ 되어 버린 서구의 산업화 과정이 잉태한 여러 사회적 갈등과 사상적 혼란을 무마시킬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였다.

‘인텔리적인 구원에의 열망’이라는 테제로 일컬어지는 이러한 러시아 문학과 톨스토이에 대한 열광적인 숭배의 흔적으로는 무엇보다 헝가리 태생의 미학자 루카치의 초기 저작들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뿐만 아이라 톨스토이의 새로운 복음서 해석들은 20세기 초반의 신학자들에게 많은 교감을 제공하였다.

톨스토이의 종교적 이념들은 프리드리히 리텔마이어(1872∼1938)와 같은 보수적인 종교지도자들에게 뿐 아니라, 구스타프 란다우어(1870∼1919)와 같은 진보적인 유태계 지식인들에게도 각인되어 실천적인 반향을 낳았다. 니체의 ‘신은 죽었다’라는 정언적인 외침은 모더니즘적 사유 체계의 시작을 알림과 동시에 ‘신이 떠나 버린, 예측불허의’ 삭막한 세상에서 우리는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지식인들의 탄식의 소리를 자아내게 하였던 것이기에 새로운 구원의 불빛을 저 멀리 동방의 톨스토이에게서 찾고자 하였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궁핍한 시대를 살아가야만 하였던 서구의 지식인들에게 톨스토이의 삶은 그 자체가 하나의 정전적인 가치를 지닌 것이었다. 짜르 치하의 제정 러시아의 열악한 정치적 상황 하에서도 국가와 종교적인 막강한 권력에 굽히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설파하고 몸소 실천하는 삶을 마다하지 않은 톨스토이야 말로 사회적으로나 정치적으로 항시 주변부만을 맴돌아야 하는 지식인들에게는 자신들의 실존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살아있는 본보기였다.


(김영룡 문학평론가)=파이낸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5-02-03 1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톨스토이가 두 명이란 사실을 얼마 전에 알았습니다...

찬타 2005-02-03 1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요? 난 아직도 모르고 있는뎅...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