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최저점을 읽는 핵심 수업 - ‘부동산발 대공황’ 시장의 재편과 투자 전략
박감사(박은정) 지음 / 체인지업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 Intro


요즘 부동산 시장이 그야말로 폭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권이 바뀐지 불과 3~4개월밖에 되지 않았는데, 벌써 세 번째 부동산 규제 정책이 발표될 정도로 정부가 진화에 나서고 있지만 부동산 시장은 그 약발이 잘 듣지 않는 모습입니다.


한편, 이런 급등세 속에서도 “이거 거품 아닌가?”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함께 들립니다. 불과 4년 전에도 유동성 확대로 집값이 급등했다가, 미국의 금리 인상 여파로 최고가 대비 약 30% 이상 하락했었죠. 만약 그때 하락기에 매수하신 분들은 지금쯤 꽤 높은 평가수익을 보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번에 소개할 책 “부동산 최저점을 읽는 핵심 수업”은 바로 이런 시점에서 주목할 만한 책입니다. 부동산 폭등기가 끝나갈 가능성에 대비해 하락 시그널을 읽고, 시장의 흐름을 냉정하게 바라봐야 하니까요. 여태까지 부동산 투자에 관한 책을 많이 봤었는데, 이렇게 부동산 하락을 대비하는 관점을 다룬 책은 처음이라 신선하게 다가왔습니다.




※ 저자


이 책의 저자는 박감사(박은정)님입니다.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를 졸업하고, 건국대 부동산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후 한국감정원에서 14년간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 컨설팅, 재건축 부담금 산정 및 보상, 담보 평가, 택지비 산정 등 다양한 감정평가 업무와 부동산 공시/조사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현재는 하나감정병가법인에서 감정평가사로 재직 중이며, 구독자 11.5만명인 유튜브 채널 “박감사리얼아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자 유튜브: https://www.youtube.com/@realeyepark




※ 구성 및 줄거리


이 책은 총 7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1장. 현실을 직면하고 신호를 파악하기

2장. 첫 번째 신호, 사라지는 매수자

3장. 두 번째 신호, 멈출 수 없는 공급

4장. 3번째 신호, 불안한 약한 고리

5장. 4번째 신호, 정책과 심리의 한계 상황

6장. 5번째 신호, 통제할 수 없는 외부 충격

7장. 최고의 매수 타이밍


1장에서는 정부의 유동성 확대 정책과 사람들의 심리적 기대가 만든 버블, 거래 절벽과 경매/미분양 증가, 인구 구조 변화 등을 통해 현재 한국 부동산이 조용한 붕괴 한가운데 있다고 진단합니다.


2장은 출산율 감소와 이미 소진된 미래 부동산 수요 등 인구 구조적 요인을 중심으로 부동산 수요 측면에서 위험 신호를 살펴봅니다.


3장은 공급을 멈출 수 없게 하는 PF 구조, 2기 신도시의 미분양, 2차 베이비붐 세대의 매도 시기 등 공급 측면의 과잉 현상을 분석합니다.


4장은 가계 부채, 금리 인상, 내수 침체, PF구조와 유동성 고갈로 인한 좀비 기업 확산 등 리스크 현황을 알아봅니다.


5장에서는 과거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시장 심리의 한계를 분석하며, 소수 고가 거래가 만들어낸 환상의 가격을 경계합니다. 이러한 ‘닿을 수 없는 가격’은 결국 심리가 떠받치던 마지막 지지선이 무너졌음을 보여주는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6장은 글로벌 변수들에 대해 알아봅니다. 미국 금리 고착화, 중국의 부동산 침체와 경기 둔화, 환율 불안정성으로 인한 외국인 투자 이탈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7장은 매수타이밍 전략을 다룹니다. 유주택자는 하락을 대비해서 버틸 수 있는지를 점검해야 하고, 무주택자라면 하락기에 기회를 잡아 최저점 매수해서 내 집 마련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 총평


"부동산 최저점을 읽는 핵심 수업”은 단순히 하락장을 경고하는 책이 아닙니다. 데이터와 현장 경험, 저자의 냉정한 분석을 바탕으로 부동산 시장의 사이클을 읽고 대비하게 도와주는 실전 부동산 책입니다.


특히나 불안정하고 변동성이 심한 지금의 부동산 시장에서 불안한 독자들이 냉정하게 판단하게 도와주고, 데이터와 지표를 읽게 도와줍니다.


아무쪼록 이 책을 읽고 준비된 자가 되어 부동산 최저점 매수하는데 도움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