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기술 - 바로 써먹는 논리학 사용법
코디정 지음 / 이소노미아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혹시 회사나 학교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아이디어가 톡톡 튀는 사람을 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저는 살면서 그런 사람을 딱 2명 본 적이 있는데요. 신기하게도 둘 다 학창 시절에 철학책을 즐겨 읽었다는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그걸 보고 저도 따라 철학책을 읽어보려 했지만, 어려운 용어와 무슨 말을 하는지 몰라 몇 장 넘겨보다가 그만두곤 했는데요. 이번에 <생각의 기술>을 읽으면서 다시 한번 도전해 보려고 합니다.




※ 저자

이 책의 저자는 코디정 님입니다. 에디터, 언어활동가, 변리사,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 활동하셨고, 다른 저서로는 “괘씸한 철학 번역”, “논증과 설득” 등이 있습니다. 또한 숭실대학교 국제법무학과에서 겸임교수로 지식재산법을 가르치며, 아이들의 논리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창의교육그룹 에이젯과 함께 <레토리카 프로젝트>를 개발하셨다고 합니다.


유튜브로는 “코디정의 지식 채널”을 운영하고 계십니다. 유튜브의 내용을 책으로 엮은 만큼 읽다가 모르는 것이 있으면 영상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직접 들어가 봤는데, 아무래도 영상인만큼 조금 더 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codyjeong




※ 구성 및 줄거리

이 책은 17강에 걸쳐서 논리학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모든 장이 다 좋았지만, 그중에서 제가 열심히 봤던 연역법과 귀납법을 다룬 부분만 뽑아서 보려고 합니다.


8강에서는 연역법에 관한 내용이 있습니다. 저자는 연역 추론에 관한 대표적인 모델로 삼단논법(Syllogism)을 소개하는데요. 대전제: <모든 사람은 늙는다> 소전제: <나는 사람이다> 결론: <그러므로 나는 늙는다> 이렇게 연역법이 대전제, 소전제, 결론으로 구성된다는 것과 대전제 혹은 소전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결론, 오류가 왜 나는지 등에 대해 다양한 사례를 제시해서 이해하기 쉽게 가르쳐줍니다.




9강에서는 귀납법에 관한 내용이 있는데요. 귀납추론의 정확한 정의와 귀납추론에서의 대전제, 대전제가 오류일 때 어떻게 정정하고 업데이트할 것인지, 어떻게 연역법을 보충하는지 등에 관한 설명을 마찬가지로 이해하기 쉬운 사례를 들어서 설명해 줍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좋았던 점은 그림을 통해 이해를 돕는다는 것인데요. 말로만 하면 아무래도 이해하기 어려운 설명들을 그림을 통해 구조화하면서 이해를 도와줍니다. 이런 것들을 통해 이제는 연역법과 귀납법이 뭘 의미하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실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 읽고 나서

대부분 논리학, 철학책을 접하지 않던 사람들이 겪을 난관이 어휘와 그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이들 실수하는 것이 애매한 단어도 많이 접해는 봤으니 아는 것으로 착각하고 다음 장으로 넘어가는 것일 텐데요. 이 책만큼은 애매한 단어가 나올 때마다 그 뜻을 찾아가면서 읽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의 또 하나의 장점으로는 그 단어가 나왔을 때, 영어로 어떤 뜻을 번역한 것인지 명확하게 제시한 것이었습니다. 보통 서양철학책을 접할 때, 번역본을 보기 때문에 어떤 개념을 번역했는지 잘 모르고 보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 책에서는 그런 리스크를 원천차단하고 있습니다. 추론(reasoning), 이성(reason), 귀납추론(Inductive Reasoning), 가면(Persona), 인격(Person) 등 별 거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이렇게 영어 단어를 같이 보니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이 되는 것 같았습니다.


책을 많이 접하지만, 논리학, 철학책은 이제 한걸음 내디딘 상태입니다. 처음 읽을 때는 단어를 찾아보고 이해하느라 시간이 오래 걸렸는데요. 여러 번 읽어서 익숙해지고 이해하게 되면, 다른 철학책도 곧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생각을 잘하고 싶으신 분, 기발한 아이디어를 내고 싶으신 분들에게 이 책을 권해드립니다.




<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