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찰불화 명작강의 - 우리가 꼭 한 번 봐야 할 국보급 베스트 10
강소연 지음 / 불광출판사 / 2016년 10월
평점 :
사찰불화 명작강의
『사찰불화 명작강의』 책을 신청하면서, 사실 많이 설렜다. 절에 가서 보던 그림들, 아주 많은 놀람과 감동, 그리고 신비감을 내게 주었다. 무엇인가 깊은 기원들이 숨어 있는 것만 같아서 꼼꼼히 들여다보지만, 전혀 문외한인 내가 불화에 대해 어찌 알까마는... 책이 드디어 왔다. 과연 어떤 내용이 나를 흔들까?
경주 태생인 강소연 저자님, 문화재를 공부하기 위해 국내의 대학교와 외국의 대학까지 섭렵하며 공부한 인재다. 다양한 국제어를 익혀 국제적 감각을 키운 사람이 쓴 이 책은 어떤 내용들을 풀어놓고 있을까? 홍대 교수로 교편까지 잡았던 그의 경력이 심상치 않다.
불화는 불교에서 절을 아름답게 꾸미는 장식인데 불교에서는 장업이란다. 우리에게 궁극의 행복을 가져다주는 선한 마음을 가지고한 행위를 공덕이라 한다. 그렇다면 불화는 공덕정업이라 말할 수 있겠다. 이 책에서는 국보급 베스트 10을 이야기하고 있다. 아미타삼존도, 관세음보살도, 영산회상도, 극락구품도, 화장칠해도, 노사나불도, 팔상도, 관세음보살도, 삼신불도, 삼불회도, 지자시왕도...를 이야기 하고 있다.
모든 만물은 서로 어우러져 만들어지고 흩어지고 또 변화하는 유동적인 현상 속에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이 세상은 그저 하나의 커다란 연기의 장입니다.
아미타삼존도는 조선에 그린 그림이지만, 협시 관세음보살과 지장보살에서는 고려양식을 계승하고 있고 본존은 조선의 전기 양식을 함께 볼 수 있다. 그림에 대해 하나하나에 풀어놓은 글을 읽고 나서, 다시 그림을 본다. 불화에 대해 전혀 모를 때는 왜 저렇게 화려하지, 화려함에도 불구하고 뭔가 영 마음이 불편했던 그림들, 다시 보니 고개가 끄덕여 졌다. 손에 들고 있는 지물들, 그 의미를 알고 보니 더더욱 깊은 뜻에 감동이 밀려온다.
관세음보살이 들고 있는 정병과 버들가지는 ‘청정한 자비’를 상징한다. 그 청정한 자비로 세상의 혼탁한 번뇌를 맑혀주는 것을 의미한다.
해인사엔 <영산회상도>는 조선시대 제작된 영산회상도 중에서 작품성이 가장 뛰어나단다. 이 셩산회상도를 이해하려면, 불화의 도상학 특징도 알아야하지만, 대승불교의 우주관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주존인 영산회상도지만, 여기에는 대승불교를 대표하는 화엄사상이 반영되어 있다. 석가모니가 눈뜬 세계는 개인을 초월하여 포용하는 한없이 크고 깊은 광명에 의해 비쳐지는 세계다. <화엄경>은 이런 부처님 세계를 그대로 묘사한 경전이다. 경전이 문자로서 부처님의 세계를 나타냈다면, 불화는 그림으로서 부처님 세계를 나타낸 것이다. 평소 <영상회상도> 여러 번 접하였지만, 이런 의미가 담겨있단다. 놀랍지 않은가?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아주 절실히 느껴지던 독서의 시간이었다.
용문사의 <화장찰해도> 같은 경우는 처음 보는 불화이다. 미술심리상담사 공부할 때, 만다라에 대해 공부를 한 적이 있다. 그 만나라와 어딘가 모르게 비슷한 분위기이다. 큰 연꽃 안에 작은 연꽃, 즉 대우주 속에 소우주, 그 소우주 속에 무량한 미진수의 우주가 존재한단다. 화염경에서는 이 세상을 연화장세계로 비유했다. 화장찰해도는 연화장세계를 그림으로 묘사한 것이다. 커다란 원 안에 각양각색의 오묘한 작은 원상들이 대우주 속에 소우주처럼 보였다. 너무 커서, 너무 작아서 우리들이 볼 수 없는 진리의 셰게를 시각화한 그림이란다.
사찰에서 빈번히 만나는 것이 연꽃 문양이다. 부처님이 앉아계신 대좌에서부터 광배문양, 부처님 머리위에 천개의 장식까지 곳곳에서 연꽃을 만난다. 연꽃의 의미는 무엇일까? 연꽃 위에 앉아계신 부처님, 무슨 의미일까? 부처님이 연꽃에서 화생한 것을 표현한 것이란다. 부처님이 태어난 모태가 연꽃이다. 불교에서는 연꽃은 우주 만물의 바탕 또는 원천으로 상징한단다. 연꽃은 진흙 속에서도 청정하게 꽃을 피운다. 연잎에 빗방울이 떨어져도 젖지 않고 도르르 굴러 내린다. 이처럼 무명에 물들지 않는 청정함에 비유되기 때문에, 연꽃이 사찰에서 많이 보인다.
대승불교에서는 어떠한 것에서도 집착함이 없이 베푸는 마음을 ‘무주상보시’라 한다. 불화는 부처와 보살의 공덕장엄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중생의 관점이 아니라 부처의 관점에서 본 세상의 모습이란다.
<사찰불화 명작강의>를 읽는 동안, 불화가 또 다른 차원의 그림으로 보일 때, 그 불화가 담고 있는 의미가 어찌나 심오하던지, 범인으로서 다시 한 번 절에 가게 되면 불화를 찬찬히 들여다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