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에게 차려주는 식탁 - 어른이 되어서도 너를 지켜줄 가장 따뜻하고 든든한 기억
김진영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딸에게 차려주는 식탁

 

 

 

딸에게 차려주는 식탁을 받아들고서, 나는 어떻게 딸에게 밥과 반찬을 만들어주는지 생각하며, 이 책을 읽어 내려갔다. 책 내용은 엄마가 아닌 아빠가 아내의 밥상을 차리다가 딸의 밥상을 차리게 되고, 그것이 발전해서 식품에 대한 MD까지 되는 아빠의 밥상 이야기라 심심치 않게 읽었다.

 

도시락 리뷰 전문가가 처음에는 편의점에서 삼각 김밥을 먹다가, 더 맛있는 삼각 김밥을 찾다가 도시락리뷰까지 하게 되어 결국 도시락에 대한 전문가가 되었듯이, 이 책의 저자도 결국 밥상을 차리다가 식품에 대한 일을 하게 되었다는 이야기, 이 둘의 공통점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먹고 먹이다가 전문가가 되어가는 이야기이다.

 

아내의 입맛에 따라, 딸아이의 입맛에 따라 식재료를 구하고 음식을 조리하는 그, 결국 맛있는 식재료, 다양한 맛을 위해 전국을 떠돌며 음식을 먹어보기도 하고 식재료를 구입하기도 하던 이야기들을 저자는 구수하고 새콤쌉싸름하게 우리들 밥상 이야기에 깨소금을 뿌리는 방법, 인생의 밥상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이 책에 나오는 재료 구입에 대한 이야기, 쌀을 도정한 날짜를 알았다가 구입하는 이야기, 등등 삶에서 묻어나는 노하우들을 우리들에게 들려준다. 여성인 나도 미처 모르던 노하우를 그는 술술 풀어놓고 있었다.

 

요리를 만들 때 어떤 재료로 어떻게 만들면 맛을 낼 수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그에게서 나는 식재료 고르는 방법을, 그 재료가 맛을 내는 고유의 맛내는 법을 알려주고 있어서 한 번 나도 구입해서 해 먹어볼까하는 생각들이 들 정도로 입담 있게 그는 풀어놓고 있다.

 

그의 이야기를 듣는 동안, 시골에서 어머니가 밥상을 차려주시던, 기름 잘잘 흐르던 흰쌀밥이 두 눈에 선하게 떠올랐다. 가마솥에다 쌀을 안쳐서 해주는 어머니가 해주시던 밥이 왜 떠오르는지, 내가 잘 먹지 않으면, 그것을 어떻게 서라도 조리법을 바꾸어 내 입맛에 맞게 만들어주시던 어머니 손길이 저절로 떠올랐다. 저자가 나누는 딸과의 대화에서 나는 어머니와 나누던 이야기들이 떠올랐다. 수많은 추억들을 음식과 함께 나누었던 어머니, 봄에는 산에서 이런 풀은 나물이고, 이곳은 독초라 말씀하시고 가을에는 낙엽 속에서 자라는 버섯을 가리키며 독버섯과 식용버섯을 가르쳐주셨으며, 싱싱한 산밤을 주어다 삶아서 간식거리로 주시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게 떠오른다.

 

입맛이 까다롭지 않던 나는 어머니가 만들어주시던 버섯찌개, 버섯볶음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 해마다 보내주시던 버섯 말린 것들이 어느 시점부터는 뚝 끊어졌을 때, 어머니는 아주 많이 연로한 몸이 되셨다. 그 추억들 하나하나 떠오를 때 살아가면서 힘이 되곤 했다.

 

이런 밥상과의 추억을 나도 딸아이와 나누면서 추억을 공유하려고 하지만, 일을 하느라 외식으로 적당하게 딸아이에게 식사를 대접하는 추억의 날들이 과연 얼마나 오래 엄마를 기억해줄까……. 이 책을 읽는 내내 내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오늘은 어떤 것을 만들어 먹일까 내 어머니가 고민을 하듯이, 나 역시 주방에서 냉장고를 뒤적이다가 오늘은 라면과 떡볶이에다 치즈를 넣어서 맛있는 치즈라뽂기를 만들어줘야지...라 생각한다. 오늘은 뭘 우리딸에게 해줄까? 고민을 하고 있는 아빠의 이야기, 같은 주부로서 상당히 깊은 공감이 갔다.

 

나도 책 한 권을 쓸 만큼 딸아이와 많은 음식에 대한 추억을 쌓아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까다로운 딸 입맛을 어떻게 잡을 수 있을까? 퇴근도 하기전에 벌써 고민은 시작된다. 아이가 나만큼 어른이 된 후에도 든든한 추억이 아이의 힘든 나날을 지켜줄 수 있기를 바래보면서, 오늘 저녁은 저자가 풀어내놓는 음식 중에 하나 골라서 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