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가 만드는 제4차 산업혁명 - 개인과 기업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김진호 지음 / 북카라반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빅데이터가 만드는 제4차 산업혁명

 

 

 


『빅데이터가 만드는 제4차 산업혁명』를 받아들고 4차 산업, 사물인터넷이란 단어들이 내 머릿속에 각인된다. 사실 단어 의미는 알고 있지만, 그것이 몰고 올 미래를 어떻게 대응하겠다는 대안이 내 머릿속에 확실한 그림으로, 명쾌한 해답으로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다.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겼다고 세상이 떠들썩할 때 사실, 나는 알파고가 이길 것이라고 예측했다. 왜냐하면 알파고는 수많은 경우의 수를 계산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 알파고 같은 로봇들이 인간을 지배한다는 생각은 꿈에도 하기 싫다. 그러나 세상은 점점 그렇게 인공지능을 탑재한 인간보다 훨씬 뛰어난 능력을 가진 로봇들이 세상을 지배할텐데... 우리 인간들을 과연 어떻게 해야 이 총체적 난국을 헤쳐 나갈 수 있을까? 나는 책장을 넘기면서도 궁금해진다. 빅데이터 시대의 화두는 기계학습을 통해 데이터 속에서 Insight를 찾아내는 비전을 갖고 있다. 인공지능은 컴퓨터공학을 넘어 생명과학과 뇌과학등 여러 분야가 동시에 이뤄져야 한단다.


허버트 웰스는 숫자를 올바로 이해하는 능력이 있는 사람이 쓰기나 읽기처럼 유능한 시민이 되는데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보화 시대인 현대, 사실 대부분 정보는 결국 숫자로 요약되어진다. 현대를 숫자정보사회 혹은 숫자화사회라고 말하는 것이 적절하단다. 현대인이 가장 많이 쓰는 숫자 정보 중 확률은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한다. 선험적 확률, 경험적 확률, 주관적 확률로 확률은 나뉜다. 선험적 확률은 경험하지 않아도 미리 알 수 있다. 경험적 확률 개념은 선험적 확률 개념이 적용되지 않을 때 사용한다. 오랜 기간 에 걸쳐 동일한 상황이나 조건하에서 어떤 사건이 일어나는 상대적 비율로 확률을 해석하는 것을 말한다. 조사한 자료가 많을수록 경험적 확률을 그 신뢰성이 높아진다. 어떤 사건이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면 경험적 확률을 구할 수 없다. 이때 주관적 확률을 사용한다. 주관적 확률 개념, 즉 한 개인이 어떤 사건이 일어날 것으로 믿는 정도가 그 사건의 확률이 된다.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들을 대부분 확률적 선택의 문제이다. 이 선택이 대부분 주관적 확률 계산에 바탕을 둔다.


그러고 보면 세상은 그야말로 숫자로 길들여진 세상이다. 숫자를 외면하고 사는 현대인은 아무도 없다. 날씨, 기후의 변화, 주가지수, 물가지수, GNP, IQ, ... 끝없는 숫자의 홍수 속에 산다. 일례로 대화를 할 때 똑같은 사실을 말해도 숫자로 된 통계수치로 말하면 더 과학적이고 정확한 것처럼 느껴진다.


그 숫자를 사용해 대단한 효과를 만들어냈던 사례가 매카시즘이라는 용어까지 만들어낸 미국 조지프 매카시이다. <<옥스퍼드 영어사전>>에서 매카시즘은 1950~1954년 사이에 일어난, 공산주의 혐의자들에게 반대하는 떠들썩한 반대 캠페인으로, 대부분 경우 공산주의자와 관련 없는, 많은 사람들이 블랙리스트에 오르거나 직업을 잃었다고 설명한다. 1950년 초, 매카시는 경력 위조, 상대방에 대한 명예훼손, 로시스트에게서 금품 수수, 음주 추태등 정치적으로 사면초가에 몰린 상태였다. 그의 정치생명은 끝난 것으로 여겨졌다. 그때 그가 “미국에선 공산주의자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나는 297명의 공산주의자 명단을 갖고 있다”라고 주장해 미국사회를 엄청난 충격에 빠뜨렸단다. 숫자 297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그 명단을 갖고 있다고 하자 사람들은 메카시의 폭로를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신문들은 헤드라인으로 삼았다. 신문이 불티나게 팔리면서 메카시에게 동조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297이란 명단 속에 반드시 포함된 사람>이란 제목 하에 수많은 기사가 쏟아져 나왔다. 그때부터 매카시즘 시대라 불리는 4년 동안 매카시는 미국에서 가장 유력한 인사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무고한 사람들이 조사를 받는가 하면, 실제로 공산주의 사상을 갖고 있거나 관련되어 있어서 위협이 되는지에 대해서도 크게 부풀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많은 사람이 직장을 잃고 경력을 망쳤으며 투옥되기도 했다. 그에 의해서 기소되었던 사람들 대부분 평결이 나중엔 번복돼 유죄판결을 받은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었다. 1954년 매카시에 대한 청문회를 열면서 지식인들인 변호사들은 집요한 비평과 질문에 매카시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더는 사람들의 믿음을 얻을 수 없었다. 그 후 그는 알코올중독으로 사망했다. 여기서 보듯 숫자는 합리성과 비합리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숫자에 대한 해석이 해결하려는 문제에 적절한지 항상 의심하고 질문해야 한다.


따라서 일상에서 대화나 토론 혹은 회사 업무 보고에 들어 있는 숫자는 매우 중요하다. 그 숫자 속에는 상대방이 무엇에 대해서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떻게 생각하고 있느냐가 함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 숫자를 대하는 데 자신이 없어 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터무니없는 어림수에도 반박은커녕 주눅이 들기도 한다. 빅데이터 시대에 자신만의 경쟁력을 갖추려면 숫자에서 올바른 판단을 끄집어내거나 이러한 숫자에 기초해서 다른 주장을 반발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창의성이나 영감, 직관 등 어느 날 불현 듯 발현되는 것처럼 보이는 역량은 모두 분석을 토대로 한다. 앞으로 비즈니스모델을 세울 때, 빅데이터와 4차 산업은 모든 산업과 경영의 기능을 변형시킬 것이다. 기업은 혁신의 기회로 삼아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경영한다는 마인드로  빅데이터와 4차 산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책장을 넘기는 동안, 빅데이터를 분석해 통찰을 얻는 일, 창의성을 개발하는 일이 현대와 미래에 중요한 과제로 내게 다가왔다. 옆에 두고 읽어야 할 책이 또 하나 생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