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장이라는 자리 - 누구도 그 외로움을 짐작할 수 없는
유선영 지음 / 청림출판 / 2016년 12월
평점 :
사장이라는 자리
자신과 대면한다는 것, 진실하게 자신을 들여다본다는 것, 경영자로서 늘 필요한 덕목이다. 회사를 키우고 싶고 부하 직원을 키우고 싶은 것이 오너의 공통된 마음이다. 그 리더가 사사로움에 사로잡히거나 작은 공로에 연연하면서, 큰 그림을 그리지 못한다면 리더로서 자격 미달이다. 더불어 일할 줄 아는 사람이 혼자 그리는 그림보다 함께 그리는 그림이 크고 튼튼하다는 것을 안다.
협업보다 본인 위주의 업무 스타일을 상대에게 강요하는 사람이거나 아예 혼자 하는 것이 편하다고 어울리지 않는 사람이라면 배제하는 것이 좋다. 부정적인 상호작용은 긍정적인 상호 작용보다 훨씬 강력하게 전염된다. 업무적인 소양을 기본으로 갖추고 있는 후보군이라면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사람이어야 한다. 리더의 기본 소양과 인격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리더가 구성원들의 몰입을 통해 그들의 성과를 극대화해야 하는 역할이라는 것을 생각한다면 더욱 그렇다.
리더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는 외부에서 경영과 철학을 공유할 수 있는 조력자를 모셔와야 한다. 이때 조력자의 인격, 경영과 철학이 갖추졌는지가 상당이 중요하다. 이때 조력자에 대한 확고한 기중이 있어야 한다.
리더가 가져야할 원칙, 즉 이 시대 우리가 원하는 리더는 더는 연극처럼 꾸며진 얼굴을 보여주는 리더가 아닌 삶으로 증명하는 리더십을 기대한다. 성과 창출의 결과뿐만 아니라 삶의 과정에서도 실망시키지 않겠다는 진심을 리더에게서 전달받고 싶어 한다.
리더는 자신에게 관심을 갖고 잘 알기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리더 자신을 제대로 아는 것에서부터 나다운 진짜 리더십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자기보다 현명한 사람들을 곁에 모아둘 줄 아는 사람이 리더이다. 그러기 위해선 그들과 신뢰를 쌓는 관계가 필요하다. 신뢰가 두텁게 쌓였을 때 비로소 팀은 힘껏 내달려 목표를 달성하며 승승장구 성과를 낼 것이다.
리더는 나무를 보던 시각을 전환해서 전체의 숲, 더 넓게 보는 시야가 필요하다. 기업의 문제는 소통이 잘 안되었을 때 생긴다. 정제된 목소리로 불편한 얘기를 리더가 정중하게 전달하고, 부하 역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데 익숙해질 수 있도록 분위기 조성이 된다면, 이 소통의 회로는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소통의 질이 높아져 얻게 되는 혜택은 리더뿐만 아니라 팀원 모두 차원 높은 팀으로 성장해나가는 혜택을 받을 것이다. 팀의 내부 소통의 회로를 리더는 점검하며 팀원들의 회신의 방해하는 장애물은 무엇인지 유심히 관찰해야 한다.
불편한 얘기가 편하게 오가는 문화, 신나는 소통의 문화가 드러나는 그날, 소통의 질이 높아질 때 수혜자는 팀원과 리더라는 것을 잊지 말자.
리더라는 자리는 참으로 어려운 자리다. 리더가 가져야할 소양과 원칙들에 대해 읽는 동안, 리더로서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깨닫게 된다. 자기개발서로 적극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