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취인 : 자본주의, 마르크스가 보낸 편지 비행청소년 12
강신준 지음, 신병근 그림 / 풀빛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취인 : 자본주의, 마르크스가 보낸 편지

 

수취인 : 자본주의, 마르크스가 보낸 편지책을 받아든 순간, 제목을 보면서 마르크스에게 보낸 편지인가? 언뜻 그런 생각을 하면서 책장을 넘겼다. 저자는 묻는다. 사람이 아프면 누구를 필요하지? 질문으로 시작해서 스토리를 풀어간다. 이야기 골자는 아플 때 우리는 답을 의학에서 찾듯이 경제가 아프며 경제학에서 찾아야한다는 이야기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헬조선이라는 말을 들을 만큼, 살기가 척박한 나라가 되었다, 헬조선을 치유하겠다고 공양을 내걸던 이명박 후보나 박근혜후보, 이 두 사람 시절에 헬조선의 상태는 좋아지기는커녕 더 나빠졌다. 다시는 위정자에게 우리의 경제적 운명을 맡기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 무한반복하고 있는 노예생활에서 우리는 어떻게 하면 벗어날 수 있을까?

 

저자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르러 어떻게 경제사가 발전해왔는지 우리들이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게 경청하게 만든다. 마르크스는 천재적인 경제학자였다는 생각이 든다. 자본주의는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처음에는 인간에 의해 하나하나 생산하다가 점점 시간이 흐를수록 기계들을 사용하면서 잉여시간이 인간에게 남아돌게 돈다. 이제 상인들은 어떻게 하면 이익을 극대화할까 시대의 흐름에 따라 진화하기 시작했다.

 

상인들은 이제 신자유주의라는 흐름을 따라 무한경쟁을 만들어내고 있다. 무한경쟁으로 경제적인 부는 갖추게 되었을지 모르지만, 인간성 사실시대를 겪고 있고, 빈익빈 부익부로 달려가는 현 상황속에, 경제학자 마르크스의 예언이 무섭게 들어맞는다.

 

그래서 우리는 마르크스의 이론을 다시 한 번 들여다보고 이 어려운 난관을 벗어나야하지 않을까? 지옥의 땅 조선이란 불명예를 우리는 깨끗하게 벗어나기 위해 있는 힘껏 일하고, 있는 힘껏 촛불 들고, 있는 힘꺼 살아가야 한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일하고 토요일, 일요일은 쉬는 현대시대, 노동시간은 줄어들고 여가시간이 늘어났다. 그렇다면 그것을 누리는 사람들은 대체 누구인가? 솔직히 돈 없는 사람은 그런 특혜조차 불편할 수 있다. 여유가 있는 사람이나 여가를 즐기지... 그 외에 사람들은 쉬는 날은 다른 아르바이크 자리라도 찾아서 간다. 그러지 않고서는 먹고살기 힘드니까 말이다.

 

어느 사회던 마찬가지이다. 자본주의가 너무나 극단적으로 치닫으면 사회주의 이론이 고개를 들고, 사회주의가 너무나 극단적이면 자본주의가 고개를 든다. 왜 그럴까? 이 둘은 뗄레야 뗄 수 없는 서로 가깝게 이웃하여 세상이 돌아가는 이치를 만들어내기 때문일 것이다. 경제학에 의지해서 우리 서민들은 다시 일어나 행진해야할 것이다.

 

이 책은 그런 의미에서 우리들의 아픈 곳을 차분하게 조곤조곤 위로를 해준다. 당장 눈앞에 닥친 어려움들을 이겨내야만 했기에, 이 책은 나름 명분과 설득력이 강력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