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대한 치유력 셰익스피어 인문학 - 셰익스피어, 삶의 무대에서 치유의 깃발을 올리다
최용훈 지음 / 페르소나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셰익스피어 인문학
왜 셰익스피어를 우리들은 읽는가? 그것은 우리가 끊임없이 추구해온 영원한 질문에 답을 얻기 위해서이다. 인간은 무엇인가? 나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그 모든 질문에 대한 대답을 우리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통해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그 해답이 든 상자를 열 열쇠를 손에 쥐기 위해 셰익스피어를 읽는다. 우리가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통해 현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인문학적 상상력과 창조의 영역을 발견할 수 있으리라 믿는 것은, 그가 우리의 열망, 희망, 사랑ㅇ, 동경을 통찰력 있게 그려내고 있기 때문이다.
셰익스피어의 <페리클레스>는 다양한 장소에서 상당한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이야기를 전개 되는데, 특히 작은 이야기들을 주요 사건의 주변에 병렬적으로 배치시키는 소위 서브플롯(subplot)을 구사함으로써 고전주의의 원칙에서 벗어나 당시의 새로운 극작 경향을 뚜렷이 반영하고 있다.
당시 <페리클레스>는 고전적 극작 기법으로부터 완전히 탈피하지는 못한다. 극의 결말 부분에서 다이아나 여신이 페리클레스의 꿈에 나타나 갈등 해소의 동기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는 구성상의 복잡함을 신의 등장으로 풀어내는 고대 그리스의 데우 엑스 마키나의 기법이기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셰익스피어는 중세와 르네상스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이유로 셰익스피어의 극이 시대를 초월하고 보편성을 획득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셰익스피어는 마치 알레고리의 수법을 이용하듯 등장인물들의 면면에 숭앙되어야 할 가치를 부여하고, 그 가치의 추구가 올바른 삶의 방향이며 그것을 지키는 것이 시적 정의를 구현하는 것임을 묘사하고 있다. 폘리클레스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은 우리가 지켜야할 중요한 가치들을 상징한다. 셰익스피어는 작품을 통해 인간이 얼마나 위대하며 얼마나 존중되어야 할 존재인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이성을 인정하고 인간을 세상의 중심에 놓았던 르네상스시대으 정신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페리클레스>는 가족애, 우정, 충성, 사랑 등 다양한 가치들이 열거되고 있다. 셰익스피어의 인간 본성에 대한 통찰력이 두드러진다.
오늘날 페리클레스들의 불안은 근원적으로 어디에서 오는 것들일까? 존재론적 불안감, 실존적 불안감에서 벗어날 길은 없는 것일까? 오늘날 페리클레스들이 안식할 곳은 어딘 인가? 셰익스피어의 해답은 따뜻한 인간애와 헌신적인 사랑과 현명함으로 빛나는 고귀한 인간성이다.
구체적으로 세부적으로 들여다본 셰익스피어의 작품 속에 나타난 인문학 지식들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절대적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자본주의 물질만능주의에서
점점 사막화 되어가는 인간 세계에 꼭 필요한 가치 있는 메시지들을 발견하고, 속으로 옳거니 했다. 왜냐하면 살아가면서 느끼었던 점들을 속 시원하게 풀어주는 작가가 대단하다. 한 번쯤 읽어들 보셔도 후회는 결코 없으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