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레오나르도 다빈치 - 자기 한계를 넘어선 열정과 호기심
이종호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5년 6월
평점 :

평소에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그림을 좋아했던 터라 신청한 책이었다. 신청 댓글에서도 언급했지만, 그림, 화가하면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떠올릴 만큼 딸아이 이름을 다빈치 이름을 따서 지었었다. 그만큼 다빈치를 흠모했다. 책을 받아서 읽는 동안 술술 책장을 넘겼다. 흥미진진한 그에 관한 이야기, 내가 몰랐던 숨은 이야기들이 페이지마다, 행간마다 숨어 있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인물과 사상사』는 르네상스 시대의 상징이자 인간 지성의 정점에 있었던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삶, 업적, 그리고 사상적 영향력을 과학적 시각에서 조명하는 교양서다. 저자 이종호는 공학자이자 과학저술가로서, 다빈치의 삶을 단순한 예술가가 아닌 기계공학자, 해부학자, 건축가, 발명가로서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이 책은 다빈치가 남긴 수많은 노트와 스케치, 당시 이탈리아 도시국가의 역사적 맥락, 예술과 과학이 교차하던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며, 그의 사상이 어떻게 현대 과학과 공학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설명한다. 특히, 《모나리자》나 《최후의 만찬》 등의 예술작품 이면에 숨은 과학적, 수학적 접근을 흥미롭게 풀어낸다. 그뿐만 아니라, 비행기, 잠수함, 로봇 등에 대한 다빈치의 상상력이 얼마나 앞서 있었는지를 실제 설계도와 함께 해설해 주어, 인문학적 인물 이해를 넘어서 과학사적 인물로서 재조명한다.


이종호의 『레오나르도 다빈치, 인물과 사상사』는 단순히 르네상스의 천재를 찬양하는 책이 아니다. 이 책은 다빈치를 과학과 예술, 철학과 기술의 경계를 넘나든 위대한 지식인으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살아있는 사상가로 되살려낸다.
많은 사람에게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모나리자의 미소로 대표되는 ‘예술가’로만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책은 그의 진정한 위대함이 ‘융합의 사상’에 있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다빈치는 회화 속 인체 묘사를 위해 해부학을 연구했고, 물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수학과 물리학을 탐구했다. 그는 자연을 예술로 옮기는 과정에서 자연법칙을 꿰뚫어 보았고, 이 법칙은 현대과학의 기반이 되었다.
저자는 이런 다빈치의 업적을 방대한 사료와 함께 흥미롭게 구성해 나간다. 예를 들어 다빈치가 고안한 비행기나 잠수함, 회전식 대포, 자율주행 로봇 등은 놀랍게도 오늘날 기술과 유사한 원리로 설계되었다. 물론 당시에는 현실화하지 못했지만, 그의 상상력은 인간 지성의 미래를 예감하고 있었던 셈이다.


또한 이 책은 르네상스라는 시대적 배경 없이 다빈치를 이해할 수 없다는 점에서, 메디치 가문, 피렌체의 문화적 역동성, 교황청과 밀라노 공국 등 역사적 맥락을 풍부하게 설명한다. 그 과정에서 다빈치가 예술가로서 얼마나 외롭고 불안정한 삶을 살았는지도 짚어낸다. 그는 수많은 아이디어를 기록했지만, 끝내 완성하지 못한 채 죽었고, 후대의 해석으로 비로소 그 천재성이 조명되었다.
특히 인상 깊었던 점은 저자가 다빈치의 업적을 ‘인류 전체의 사유 자산’으로 바라본다는 태도다. 저자는 그를 '과학적 사유의 선구자'로 보며, 현대인이 그의 정신을 계승하는 데 필요한 것은 박제된 경외심이 아니라, 끊임없는 탐구심과 통합적 사고임을 설파한다.
결국 이 책은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통해, 인문과 과학, 기술과 예술이 분리되기 전 인간 정신의 통합성을 되돌아보게 한다. 다빈치를 읽는 것은 과거의 한 인물을 기리는 일이 아니라, 미래로 가기 위한 사상적 훈련이 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