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1 (무선) ㅣ 해리 포터 시리즈
조앤 K. 롤링 지음, 김혜원 옮김 / 문학수첩 / 199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영국에서 잠깐 머문적이 있는데다가 어릴적 작은아버지께서 보내주신 책들의 영향덕에 영국의 문화는 낯설지가 않다. 해리 포터를 읽는 내내 흩어져있던 구슬들을 잘 꿰어내 이토록 정교한 세공품으로 만들어낸 작가에게 감탄에 마지않았다.
잘 엮어진 소재뿐 아니라, 이야기에 이토록 심취되는 또하나의 이유는, 헤리포터와 읽는 우리 독자들이 함께 마법의 세계를 탐험할수 있다는 것이다.
흔히 환타지 소설이나 추리소설등에서 가장 언쨚은 것은, 우리는 모르고 주인공들만 아는 그 세계만의 질서나 법칙, 상식, 언어들이 너무 복잡다양해서, 쉽게 주의력이 상실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해리포터는, 마법학교 입학통지를 받기전까지는 그 자신에 대해서도, 마법의 세계에 대해서도 아무런 지식이 없었기 때문에, 소설의 출발부터 우리 독자들과 호흡을 맞추어 동질감이 쉽게 형성이 되었다. 해리나 우리나 낯선 세계 그러나 그 소재의 친숙함 때문에 그리 낯설지만은 않은 세계속에 같이 한발한발 걸어들어가는 재미! 그것이 가장 큰 매력일것이다.
물론, 영국과 유럽의 사상과 문화, 마법세계를 다루었기때문에 그들만큼 우리에게 진중하게 다가서지 못하는 소재들도 있다. 학교생활과 숲속에 기생하는 여러가지 상상의 동물들도 그중 하나이다. 또한 마법세계를 다루면서도 크리스마스 휴가라든지 마법과는 전혀 상관없는 몇가지소재들이 당연한듯 그려지고 있는것을 보면, 작가는 소재 하나하나에 철학적인 의미를 담기보다 주인공 해리와의 연계성쪽으로만 소재를 활용한 듯한 인상이다.
예전에는 영화첫장면이나 소설의 서두는 그리 큰 비중을 가지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의 영화들은 영화의 첫장면을 놓친다면 후미의 반전이나 연출자가 감춰놓은 복선을 알아챌수 없다. 해리포터역시 별 특별한 일 없이 서술되어진듯한 서두를 쉽게 생각하고 넘어간다면 두고두고 책 전체를 소화하기가 힘들것 같다.
마법사의 돌을 읽기전에 영화를 먼저 보았다. 자막없는 원작이었는데 도저히 내 실력으로는 전체를 소소히 이해할수가 없어서 책을 구해읽었다. 영화에서 다 담을수없는 내용들을 한밤에 다 읽어내려가면서 역쉬 책을 능가하는 영화란 나올수 없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다. 특히나 , 세 주인공이 친구가 되어가는 과정, 결속력, 용기와 비밀을 풀어가는 순수한 열정과 지혜들속에 깊이 빨려들어갔다.
다만, 나는 왜 부모들이 해리포터를 아이들에게 읽히는지 아직은 이해가 되지않는다. 저자가 밝히듯이 이책은 어른들을 염두에 두고 썼다. 과도한 폭력이나 섹스가 나오지않는다고 해서 어린이책으로 적절한지 모르겠다. 너무 무시무시한데다가 별세계의 압도하는 힘이 너무 강렬해서 제법 큰 아이들이 아니라면 이해하기도 쉽지않고 이겨내기도 쉽지 않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