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큰비 - 2017년 제13회 세계문학상 우수상 수상작
정미경 지음 / 나무옆의자 / 2017년 9월
평점 :
'큰비'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모여 도성으로 올라갔다.
석가의 세계가 아니라 미륵의 시대를 열겠다고 작정한 이들은 신통한 무녀가 용의 힘을 빌어 큰비를 부를 것을 믿었다.
그래서 같은 길을 함께 가기에 주저하지 않았다.
같은 길을 걷는 그들이 모두 같은 결국을 바라는 듯 보였지만, '큰비'라 여기는 것의 실체는 각기 달랐다.
누군가는 양반이 상놈되고, 상놈이 양반되어 떵떵거리기를 바랐고
하늘의 뜻보다는 칼의 힘을 빌려 세상을 새로이 하길 바랐다.
누군가는 절연한 하늘과의 끈을 다시 잇기를 바랐고
또 다른 누군가는 새로운 세상이 오기 전에 청산해야 할 한을 먼저 풀고자 하였다.
도성을 쓸어버릴 큰비를 기다리는 마음은 매 한가지였으나, 무엇을 큰비라 여기는지는 각자의 몫이었다.
정미경 작가의 소설 [큰비]의 무게 중심은, 그래서 역모 그 자체에 있지 않다.
그것이 성공하였는가 아닌가 혹은 그들은 어떤 방편과 술수로 역모를 꾀하였는가. 이런 것은 이 속에서 이야기가 될 수 없다.
여기서 이야기되는 것 단 한 가지는, 새로운 세상을 열고자 하는 자들의 마음이다.
이야기 초반부터 칼의 힘(술과 고기와 색이 초록의 동색처럼 따라 붙는 이것)으로 세상을 뒤집으려는 사람들과 신의 뜻으로 세상을 재편하려는 사람들이 계속 부딪힌다.
칼의 힘에 기대는 자들은 '제 아무리 신의 힘이라 하나 인간 세상에서의 일을 어찌 신의 힘만 가지고 하려는가'라고 묻고
신의 힘을 업은 자들은 '칼의 힘은 부정한 것이고 새 세상을 세우려는 것은 정한 것이기에 정한 일에 부정한 것이 끼어들게 된다면 필시 망할 것'이라고 답한다.
이 대립은 묘하게도 각기 남성과 여성의 두 무리로 나뉘어 시종 갈등을 이어간다. 그리고 이 대립은 그 어떤 화해나 중재 없이 영원한 평행선이 되어 이야기는 끝난다.
조선시대 무속 문화를 잘 그렸다는 점에서 이 소설은 흥미롭다.
하지만 그것 외에, 여성주의의 입장이라든가 신앙(혹은 신)적 측면이라든가 하는, 이 작품이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 특징이 흥미롭거나 매력적이라고 느껴지지 않는다.
무녀와 신령 사이에 오고가는 혹은 그들이 독백하는 이야기들은 나에게는 진지하고 흥미롭게 다가오지는 않았다. 판타지 소설 같았달까....
원향의 독립성, 주체성을 보여주려는 의도였는지 모르겠지만 아이의 생물학적 아버지는 따로 두고, 신의 뜻이라며 결혼을 한 상대자는 또 따로 두어 이야기를 풀어나간 부분에서는 많은 의문이 들었다. (황회만 의문이 든 게 아니라 나 역시도 너무나 많은 의문이 들었던 것. 하지만 그의 입장과는 좀 다르다. 그는 여환을 위하는 마음으로 그랬지만 나는 혼인이라는 가치 그 자체 때문에 의아함과 거부감이 쉬 가시지 않았다.)
조선시대 무녀의 이야기, 무녀의 생활상이나 당시의 시대상을 엿보고 싶은 이들에게는 충분히 볼만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