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다빈치코드’ 개봉을 앞두고 원작소설 판매가 크게 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재작년 이맘때 국내에 번역출간된 지 5개월 만에 100만부 판매를 돌파하면서 돌풍을 일으키더니, 이젠 영화 덕까지 톡톡이 볼 태세다.

책 판매가 영화 덕을 보는 것은 사실 새삼스러울 것도 없다. 영국 작가 제인 오스틴(1775∼1817)의 소설 ‘오만과 편견’도 이를 다룬 영화가 국내에 개봉되면서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르기도 했고, 재일교포 작가 가네시로 가즈키의 소설 ‘플라이, 대디, 플라이’ 또한 영화 개봉후 베스트셀러 대열에 합류한 책이다. 이젠 꼭 원작소설이 아니더라도 영화나 TV드라마가 히트하면 그 대본이 자연스럽게 책으로 엮여 나오는 시대다. 또 그 내용과 상관 없이 극중 드라마 주인공이 좋아하는 책이 느닷없이 베스트셀러로 등극하기도 한다.

영상을 좋아하는 세대가 늘어나다보니 영상산업이 출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또 국민 독서량이 자꾸 떨어지는 형편에 이렇게라도 책과의 거리를 좁히는 것은 다행스럽기도 하다.

한데 가끔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를 볼 때 마음 한 쪽에 혼란스러움이 교차한다. 헤밍웨이의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읽은 뒤 이를 원작으로 한 샘 우드 감독의 영화를 보면서 받았던, 마치 간 안된 국을 먹던 느낌이 종종 반복되기 때문이다.

곰곰히 생각해보니 이는 상상력의 문제인 것 같다. 게리 쿠퍼와 잉그리드 버그만이 열연을 펼쳤음에도, 책을 읽으며 상상했던 수많은 풍경과 감정은 영화의 몇 장면으로 고정돼 버린 것이다. 이는 사실 맥풀리는 일이었다. 앞서 얘기한 ‘오만과 편견’이나 조디 포스터가 열연한 ‘양들의 침묵’, 허먼 멜빌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백경’ 등 많은 영화들이 영화로선 호평을 받았음에도 원작이 제공했던 상상력과 재미에는 대부분 미치지 못했다.

사실 두 시간 남짓한 시간에 모든 내용을 담아야 하는 현실적 한계가 있음을 안다. 그럼에도 우려되는 것은 영화를 보고나서 원작소설을 처음 읽는 이들이 느껴야 할 상상력의 가로막힘이다. 영화를 보며 한번 뇌리에 각인된 장면들은 책을 읽으며 펼쳐질 수많은 상상의 장면(영화를 보지 않았다면) 들을 원천봉쇄할 것이 아닌가. 책 판매가 그 책을 읽는 독자의 상상력을 가로막는 영화로부터 도움을 받는 것은 역설적이다. 그럼에도 영상이 문자를 압도하는 현대사회에서, 그나마 영상이 책을 읽게 도와주는 현상을 고맙게만 여겨야 하는지. 그저 혼란스럽기만 하다.

임창용기자 sdragon@seoul.co.kr 서울신문 2006-05-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