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인의 해석
제드 러벤펠드 지음, 박현주 옮김 / 비채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 살인의 해석
얼마나 멋진 제목인지, 표지부터 눈에 띄었다.
게다가 프로이트와 융의 만남, 두 심리학의 거장, 스승과 제자가 만나 살인사건을 해결한다!
두께는 꽤 두껍지만 그만한 시간을 들여 읽을만한 책일 듯 싶었다.
당시로는 희귀했던 프로이트의 뜻을 이어 심리치료를 하던 주인공 미국인 청년은 프로이트와 융 일행이 미국의 대학에서 무사히 강의를 마칠 때까지 함께 시간을 보낸다. 그런데 한 고급맨션에서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SM 살인이 일어나고, 프로이트의 특기인 심리분석으로 범인을 알아내려는 추리가 시작된다.
| 넌 나의 리비도를 자극해
그런데 불행히도 프로이트와 융에 대한 지식이라고는 일반 상식에서 살짝 아래 수준이었던 내게는 이 소설의 매력이 원래의 1/10도 다가오지 않았다. 어떡하면 좋을까 ㅠㅠ
프로이트와 융에 대해 잘 알아왔던 독자들은 책 곳곳에서 그들의 주요 철학을 엿볼 수 있었으며 실제 있었던 에피소드나 가설들을 섞어 색다른 즐거움을 준다고 하던데, 죄송해요 전 프로이트가 융의 스승이었다는 것밖에 몰라요. 그리고 모든 자식들은 아버지 혹은 어머니에게 욕정을 느낀다 정도? 이래서야 리비도니 꿈의 해석이니 나와도 멍할수밖에. 게다가 앉아서 얘기만 들어도 사건을 해결하는 에르큘 포와로처럼 뛰어난 논리와 추리가 반짝이지도 않고, 왓슨과 여기저기 뛰어다니는 홈즈처럼 신나는 모험도 없으니 도무지 읽으면서 신이 나질 않았다.
|그래도 건질 게 있었다면...
지금은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지는 정신/심리분석학이 그 당시에 가져왔던 충격과 혼란을 느낄 수 있었다. 마치 점쟁이의 신묘한 술수처럼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있고, 어떤 이는 프로이트의 이론에 대해 '자기 부모에게 욕정을 느낀다는 패륜적인 설'이라고 조롱하기도 한다. (나 역시, 실은 프로이트에 대해 그런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그런 부분을 감안한다고 해도, 프로이트가 마치 셜록홈즈처럼 작은 단서를 기반으로 낯선 사람의 치부를 폭로하는 내용은 조금 앞서나간 느낌이었다.
|기억에 남는 구절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순간을 살아야 한다. 단지 순간을 위해서만 살아야 한다. 그렇지만 의미를, 꿈과 비밀과 인생에 대한 의미를 얻고 싶다면 아무리 어둡더라도 과거를 돌아볼 줄 알아야 하며, 아무리 불확실하더러도 미래를 위해 살아야 한다. 그리하여 자연은 행복과 의미를 우리 앞에 대롱대롱 흔들어대며 둘 중 하나만을 선택하라고 다그친다.
P.10
헤겔이 말했듯이, 사람의 욕망은 언제나 다른사람의 욕망을 갈망하는 데서 시작된다.
P.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