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날의 바다
김재희 지음 / 다산책방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간만에 쉬지않고 한권을 독파해 버렸다.
어차피 내일(그러니까 오늘이 되어버린) 도서관에 가야했으므로 최대한 읽어볼까 하는 마음에 비빔면으로 저녁을 뚝딱 해결하고 집어들었던 책이다.

사실 매우 읽고 싶었다, 책 소개를 봤을때 부터. 한국추리문학을 글쎄 그닥 관심도 없었고 허술하다, 너무 무겁다 라는 생각만 해서 그런지 사실 그동안 한국작가의 추리 소설이라고 해도 손이 잘 안갔던건 사실이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니 시선이 조금 바뀔것 같다. 이야기에 흡인력이 있었고, 사실적인 공간묘사에 공감도 되었으며 (물론 그 장소를 가본 사람이라면 더할 나위 없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간의 시각적묘사가 뛰어났다) 캐릭터들도 개성이 있어서 가끔은 웃음짓기도 했다.
그래서 과연 희영의 동생은 무죄였을까 하는 생각을 희영과 함께하며 그렇다면 진범은 누구지? 오영상인가? 아니면 한동민?? 이러면서 아주 흥미롭게 읽었다.
그리고 무언가는 (밝히기 어렵지만) 현재 내 상황과도 많이 공감이 되어서 귓속이 멍해지기도 하고 나를 돌아보기도 하고 이런저런 생각의 연장선상이 되버린..

작가님의 말중
˝특히 피해자 가족 앞에서 감히 아프다고조차 말할 수 없는 가해자 가족들은 그 슬픔을 드러낼 수 없기에 아픔의 무게가 더욱 가중되는 것 같았습니다˝ 라는 구절을 보니 가족 유대공동체인 우리 사회에서 과연 한 개인이자 가족의 구성원의 범죄로 인해 모두가 고통을 받아야 하는게 응당한것인가, 혹은 작품 말미에도 나왔지만 결국 그렇게 만든건 그런 구성원을 방치하고 있던 가족의 잘못도 있지않는가 하는 생각도 들고 안타까워 해야하는것이 맞는지 아니면 같이 공분을 하며 책임을 전가해야 하는것인지 여러가지 생각이 교차한다...

읽을때는 아 현우... 아 혼자서 답 내려놓고 이건 너무 드러나 있지 않나 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게 다 마지막을 위해 설치해둔 장치라는 것을 깨닫고 소오름이...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


뱀발. 그리고 블루투스 키보드를 어서 사도록 합니다. 지름지름 콕콕콕

기분이 묘했다. 거울을 보니 늘 머무르던 불안감, 익숙하지 못함, 불만이 가득했던 눈빛에 다른 기운이 엿보였다. 서늘한 공허감, 그 무엇으로도 채워지지 않는 공허함.
이제야 현우는 진실을 마주한 느낌이었다. 본명 김재동은 먼 곳에 버리고, 다시금 태어나고자 하였다. 그동안 온몸과 정신을 아우르던 불안감에서 벗어날수 있을 것만 같았다. 자신과 남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얻은 것 같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