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집 - 예 교수의 먹고 사는 즐거움
예종석 지음, 임주리 그림 / 소모(SOMO)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단순히 맛집 소개에 관한 책을 찾는 이들에게 [밥집]은 그닥 호기심을 충족시킬만한 책은 아닐 듯 하다. 하지만, 단순히 맛집에 그치는 책보다  [밥집]에는 '밥집'만의 특별함이 있다. 나는 이 책 [밥집]에서 '예교수' 불려지는 예종석 교수에 대해서는 사실 아는 바가 없이 그저 순수한 독자의 입장에서 [밥집]을 읽게 되었다. 지금은 한양대학교 학장으로 소개되어진 그의 이력에선 사뭇 [밥집]이라는 책과는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았는데 저자소개를 자세히 읽다보면 또, 본문을 찬찬히 읽어내려가다 보면 예교수가 풀어내는 음식에 관한 이야기에 푹 빠져들게 된다. 



[제1장. 제 때 만나야 맛있다 ]....
음식은 생활의 일부이다.
일상의 밥 먹는 일을 예술의 경지로까지 승화시켜 불편을 자초할 필요는 없다. 
그저 철마다 나는 신선한 식재로 정성을 다해 만든 음식을 합리적인 가격에 즐길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감동은 충분하다. 그런 식당들을 추천하고자 한다. 

나는 여행의 보는 즐거움 만큼이나 먹는 즐거움에 기대하고 감동하는 일인인지라 음식에 관한 책, 맛집에 관한 책을 즐겨 읽는 편이다. 또한 제철음식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맛있게 먹을 수 있으면 그 감동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예교수의 말에 극히 공감하는 일인이기도 하다. 음식을 접할 때 그 맛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음식에 대한 유래나 정보를 정확히 알고 있다면 아는 즐거움이 배가 됨을 느끼게 된다. 그런면에서 [밥집]은 그야말로 금상첨화와 같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에 대해 의아하면서도 대단함을 느낀 부분 역시 그러한 부분이었는데 경영학을 전공하고 그 전공을 살려 직업을 가지고 있는 저자가 풀어낸 음식이야기라 하기엔 그 깊이나 지식이 상당하다는 생각에 절로 감동하게 된다. 저자의 음식에 대한 내공에 다들 공감해 보시길... 

음식에 대한 저자만의 철학이 1장, 2장, 3장의 카테고리 안에 자연스레 묻어나는데, [밥집]을 읽으면서 내가 느낀 저자의 음식에 대한 철학은 1장에서는 제철음식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만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2장 음식의 자격편에서는 맛의 일관성, 3장에서는 오래된 집, 오래된 맛 편으로 소개하는데 이 역시 제철음식과 맛의 일관성과 연관되는 주제이기도 하다. 






또한, 예교수는 부산에서 출생하고 서울로 이주하는 삶을 살기도 하였지만, 젊은 시절 미국생활로 인하여 서양음식을 가까이 하게 되고, 이후에도 여러차례 외국생활을 하면서 그야말로 다양한 음식문화를 즐기게 되면서 음식에 대해 보는 눈, 골고루 맛보는 경험의 기회가 다양했음은 음식에 있어서 그만의 특별한 혜택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때문에 길지는 않지만 일본, 인도, 이탈리안 음식 혹은 와인에 관한 그만의 이야기도 들을 수 있고, 뉴욕에서 만난  12 셰프의 경영마인드 이야기로 부록으로 살짜기 만날 수 있다.

[밥집]은 서두에 밝혔듯 단순한 맛집 이야기가 아니라 예교수만의 방식으로 풀어내는 '음식에세이'의 셩격과 음식을 보다 깊고 넓은 시야로 바라보는 매력이 느껴지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