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른과 마흔 사이 - 30대에 이루지 못하면 평생 후회하는 70가지
오구라 히로시 지음, 박혜령 옮김 / 토네이도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서른과 마흔사이'.. 바로 나를 두고 하는 말 같았다. 그러고보니 내 나이 거짓말처럼 서른과 마흔의 딱 중간이다. 20대에는 나이 앞에 30이라는 숫자를 달기가 참 싫었었다. 뭔가 20대와 30대라는 선이 괜히 엄청날 것만 같았다. 30이라는 적지 않은 나이가 부담스럽기도 했고 두렵기도 했다. 그래서 [서른과 마흔사이]라는 제목에 이끌림이 있었고, 내가 느꼈던 감정들이 대부분의 사람들도 공감되게 느끼나보다 생각되었다.
오히려 30대의 '나'는 20대의 '나'보다 더 열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살아가고 있다. 20대보다 더 지혜로워짐을 느끼고, 30대 역시 젊은 나이고 끊임없이 노력하고 배워야 할 나이임을 막상 30대가 되고 난 후에 깨닫게 되었다. [서른과 마흔 사이]는 다시금 나의 마음가짐을 부채질 해주고 있다. 대부분의 자기계발서를 읽을 때 역시 그러하겠지만 [서른과 마흔 사이]를 읽으면서 역시 책장 곳곳에 '포스트잇' 투성이가 되었다. '좋은 구절', '감명받은 구절', '다시금 되새기고 싶은 구절'들로 마인드를 새롭게 가질 수 있도록 자극해주고 있다.
2장에서 들려주는 이야기 중에서 <아낌없이 주는 나무>의 셸 실버스타인의 다른 작품 중 <잃어버린 조각>이란 동화를 소개하는 내용이 있다. '완벽함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니며, 때로는 완벽함이 모자람보다 못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이야기인데, 나는 가끔은 '빠르게 보다 느리게'란 느림의 미학을 함께 깨닫게 한 이야기였다. <잃어버린 조각>은 [서른과 마흔 사이]를 통해 찾아낸 또 하나의 선물이라 할 수 있다.
<2장 한 번 더 넘어져라 -p.63 중에서>
'안 되면 다시 하면 되고, 모르면 공부하면 된다. 이는 당신이 발전하고 성공해 꿈을 이루는 데 아무 문제도 없다는 뜻이다. 한 번 더 넘어진다고 달라지는 것은 없다. 하지만, 그것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당신은 누구보다 눈부시게 성장할 것임을 기억하라. 그것만으로도 당신의 마음은 아주 가벼워질 것이다.'
<2장. 세상은 숨기지 않는 사람에게 열려있다. p.82중에서>
이제 타인의 평가만 신경 쓰는 우리들의 사고방식을 과감히 바꿔보자. 세상은 숨기지 않는 사람에게 열려 있다. 멋진 모습은 아니지만 멋진 사람이 되자. 부족한 자신을 포함해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드러내는 것은 성숙한 사람이 아니라면 할 수 없는 일이다. 조금씩 그렇게 변한다면 마흔이 되기 전의 당신은 제법 큰 여유로움을 갖게 될 것이다.
<4장. 소중한 것들에 우열은 없다. p.152 중에서>
30대를 제대로 보낸다면 앞으로 맞이하게 될 40대의 인생에서는 더 많은 사람의 취향을 존중해주고 인정하고 공감할 수 있는 넓은 시야를 갖게 될 것이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소중한 가치만큼이나 자신에게도 소중한 것들을 잘 지켜낼 수 있게 될 것이다. 스스로를 소중하게 여기지 않거나 상대방의 가치를 무시한다면 그 누구에게도 소중한 존재가 될 수 없을 것이다. 자신의 꿈과 소중한 가치들을 하찮은 것으로 만들려는 사람들을 가까이 하지 마라. 진정으로 위대한 사람은 당신 역시 소중한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하는 사람이다.
<5장. 큰 소리로 비난하지 마라. p.185 중에서>
얼굴에서 입이 가장 낮은 자리에 위치한 이유는 눈으로 더 많은 것을 보고, 귀로 더 많은 것을 들은 후 말은 제일 마지막에 하라는 의미라고 한다. 혹, 얼굴에서 당신의 입이 가장 위에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문제다.
<6장. nothing의 시체를 높이 쌓지 마라. p.203 중에서>
30대가 되면 성공에 대한 열망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해지는 탓에 실패가 그림자처름 따라다닌다. 그때마다 절망하다 보면 절망에 익숙한 삶을 살고 있다. 30대에는 완벽한 실패를 하지 않는 것이 성공보다 더 중요하다. 완벽한 실패란 다시는 시도하지 않는 제기불능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같은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해선 3할만 친다고 생각하라. 그리고 3할을 위해 바쳐진 7할의 실패를 사랑하라. 그 7할의 실패가 없었다면 결코 3할의 타율을 기록할 수 없었을 테니까 말이다.
<7장. 행운은 분투하는 자의 전유물이다 p.237 중에서>
행운이란 누구에게나 찾아오지 않는다. 행운은 무슨 일이든 열심히 하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뜻밖의 선물이다. 꿈을 찾을 수 없다고 푸념하면서 대충 시간을 때우기보다는, 꿈이 당신을 찾아올 때까지 감동적으로 일을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러면 당신은 깨닫게 될 것이다. 찾아 헤매기보다는 찾아오게끔 만드는 것이 인생을 살아가는 아름다운 지혜라는 사실을 말이다.
[서른에서 마흔 사이]에서 접한 공감의 글들이다. 이 책의 저자가 일본인임을 감안할 때 번역 역시 참으로 매끄럽게 잘 하지 않았나 생각되어졌다. 굳이 이 책에서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한 번쯤은 위의 말들을 들어봤음직 할 것이다. 나 또한 다른 자기계발서에서, 때론 어디선가 누구에게선가 들은 듯한 익숙한 글귀들이 대부분이지만 공감을 이끄는 매력이 느껴지는 책이었다. 그러서인지 책을 읽으면서 선물하고픈 지인들의 얼굴을 한 명 한 명 떠올리는 경험을 하게 한 책이다. 길지 않으면서도 되도록 쉬운 문장으로 흡입력있게 독자에게 파고드는 매력을 느껴보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