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시의 하루
홍남권 지음 / 파코디자인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1,500년 동안 잠자던 안시를 새로이 깨웠다. [안시의 하루]를 통해 역사서 속에서 만나왔던 '안시성'을 무대로 고구려 속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그다지도 익숙하던 평강공주며 계백이며 설인귀를 만날 수 있다. 하지만, 내가 상상해오던 이미지와는 평강공주도, 계백도 설인귀도 모두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온다. [안시의 하루]의 의미를 살펴보면 이미 표지 서두에서 '하루'가 우리 고구려의 말로 봄임을 밝히고 있다.

[안시의 하루]에서 가장 강렬했던 내용을 꼽자면 계백과 양만춘의 등장과 이들의 관계였다. 양만춘은 [안시의 하루]에서 가장 획기적으로 다가오는 인물로 우리가 알고 있던 남자가 아닌 여자로 등장한다는 사실과 계백과의 러브스토리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이렇듯 [안시의 하루]의 시작은 역사소설로 접했으나 어느 순간부터  나도 모르게 자연스레 계백과 양만춘의 러브스토리에 주목하고 있었다. 물론, [안시의 하루]는 말 그대로 소설이고 꾸며진 허구라는 사실은 진작에 잊지 않아야 하테지만 그래도 나도 모르게 이 독특한 설정에 매료되어 빠져들었다. 

안시성의 성주가 평강공주였다는 사실은 물론, 평강공주가 안시성의 성주가 된 과정도 재미나다. 당나라 태종 이세민이 고구려를 침공하는 내용과 안시성을 지킨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주배경으로 하여 이야기가 진행된다. 계백이 백제의 왕자라는 신분으로 등장하고, 당나라에 맞서 안시성을 지킨 양만춘 장군은 평강공주의 손녀이자 안시성의 성주로 등장한다, 바보 온달의 신분 역시 귀족으로 등장한다. 연개소문의 동생 연정토에 대해서도 비교적 많은 분량으로 등장하여 책의 재미를 더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