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토 히로부미 안중근을 쏘다
김성민 글, 이태진.조동성 글 / IWELL(아이웰)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2009년 올해, 안중근 의사의 100주념이라며 언론에서도 대거 보도하는가 하면, 100주년을 기념한 도서들도 출간되었다. 나 또한 다시 한 번 안중근 의사의 위인전을 읽었었고, 그 후에 다시금 만난 책이 바로 <이토히로부미, 안중근을 쏘다>이다. <이토히로부미, 안중근을 쏘다>는 제목에서부터 뭔가 이상한 기운이 느껴지는 책이었다. 참으로 이상하지 않은가? 언뜻 보면 뭔가 역설하는 의미가 숨겨있는 것도 같고, 또 어찌보면 제목에서 의미하는 뉘앙스를 좀 체 파악하기 힘들기도 한 책이었다. 그렇게 읽어 내려간 손바닥 만한 크기의 앙증맞은 책에서 강렬한 여운을 남긴채 나는 책을 덮었다.
이 책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자면 역사의 재조명, 안중근 사상가의 재조명, 그리고 그의 가족들을 재조명 한 책이다.
첫 장 저자들의 소개글만으로도 더 이상의 추천글이 무색할 정도로 시선을 사로 잡았다.
이태진(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 고종의 자력근대화 노력 등을 연구하던 중 의사가 아닌 사상가 안중근을 발견하고 그의 진면목을 알리기 위해 글을 썼다.
조동성(서울대 경영대학 교수)
조마리아(안중근의 모)의 후손, 일가이기에 들을 수 있었던 비극적 역사로부터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기억할 것인가 고민하며 글을 썼다.
김성민
알려지지 않았던 충격적 역사의 비감을 느끼며 두 스승의 글에 살을 붙였다.
지금에 와서 되돌아 생각해보면 안중근의 남은 가족들이 몰살 당하지 않고 살아온 것이 신기할 정도다. 내가 생각하는 그 때의 일본의 모습이라면 충분히 그러할 수 있었을 텐데..... 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요즘에야 국가유공자라는 제도 아래 규정한 가족의 보상이 있지만, 100년전 대한민국의 나라가 존재가 무색한 시기에 무슨 국가적 보상이 따랐겠으며 또한 보상을 바랐겠는가? 비참한 남겨진 가족들의 모습이 생각해보면 당연한 결과이리라!!
안중근 의사의 남겨진 가족들의 삶의 모습을 알게 된 것은 이 책을 통해서가 처음이며, 전부이다. 앞에서 표현한 대로 역사의 재조명, 그리고 안중근 사상가의 재조명, 그리고 그의 가족들의 재조명의 표현은 이 책을 읽게 되면 자연스레 느끼게 될 것이다. 나는 잘못된 역사는 반드시 바로 잡을 필요가 있으며, 또한 잘못된 역사를 깨끗히 인정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최근들어 읽은 책 중에서 유난히 일본의 과거와 관련한 이야기들이 많았다.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이 이야기한다. 일본은 반드시 독일처럼 과거청산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굳이 일본에게 과거청산을 묻지 않더라도 우리 역사를 바로잡는 일 또한 너무도 중요한 일이다. 그렇기에 역사바로잡기에 앞장 선 이 책의 저자들에게 감사의 마음, 격려의 말들을 전하고 싶다. 또한, 마지막에 저자들이 밝힌대로 이 책을 책장 한 켠에 꽂아두는 대신 다른이에게 선물하여 역사바로 잡기에 조금이나마 일조하고 싶은 마음이다.
사실 저자는 안중근 의사는 사상가이지 의사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나 역시 공감하였지만, 우리가 현재 너무도 당연시 사용하고 있는 안중근 의사란 명칭을 불쑥 이 책을 읽지 않은 이들 앞에 안중근 사상가라는 표현으로 바꾸어 쓰기란 쉽지 않았음을 밝힌다. 이 책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이야기들이 함께 하는 책이다. 제대로 역사를 아는 것은 중요한 일이기에 우리 나라 국민이라면 모두가 읽어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