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는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는다 - 서른 살 빈털터리 대학원생을 메이지대 교수로 만든 공부법 25
사이토 다카시 지음, 김효진 옮김 / 걷는나무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는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는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든 그렇지 않은 사람이든 이 말에 공감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듯하다. 그만큼 독서의 중요성은 모두가 다 알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두가 독서를 좋아하고 꾸준히 하는 것은 아니다. 왜 그럴까. 그 이유는 각 개인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독서에 흥미를 갖지 못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을 사람들에게 독서의 필요성을 강요하는 책은 아니다. 그렇다고 독서를 원하는 사람들만을 위한 책도 아니다. 저자 자신이 독서를 통해 삶의 변화를 경험했고 그를 통해 왜 독서가 우리의 인생에서 중요한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사실 이 책을 접하기 전까지는 저자를 알지 못 했다. 하지만, 책을 읽기 전 저자의 소개를 읽어봤더니 일본 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꽤 유명한 도쿄대 교수라고 한다. 그런 그가 피력하는 독서의 중요성 먼가 달라도 다르겠구나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어떤 위대한 가르침이 담겨 있을 듯 책 제목부터가 이목을 끌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저자인 다카시 교수가 말하는 포인트는 사실 우리가 그동안 알지 못 했던 독서에 대한 비법을 알려주는 것은 아니다. 한 번쯤 생각해봤고 들어봤음직한 내용들이다. 결국, 중요한 것은 독서에 대한 자기 스스로의 마음가짐이 아닐까 싶다.


책을 읽고 이렇게 책에 대한 후기도 남기는 나도 사실은 몇 년 전만 해도 독서와는 거리가 멀었던 사람 중 한 명이다. 중고등학교 시절 한때는 소설책에 빠졌던 기억도 있지만 성인이 되고 나서부터는 책과 거리가 멀어졌던 것 같다. 그런데 어떻게 해서 이렇게 책을 좋아하게 되었고 책 읽기가 습관이 되었을까. 생각해보면 참 우연한 계기였다. 때마침 하던 프로젝트가 종결이 되었고 시간이 평소보다 많이 남게 되었던 그때같이 일하는 동료분께서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를 추천해준 게 계기가 되었다. 너무 재미있다는 얘기에 읽기 시작했고 시간도 많고 이왕 책 읽기, 독서를 시작했으니 1년에 50권 읽기를 목표로 삼게 되었다. 그 후 그냥 시간이 날 때마다 책을 읽었다. 출퇴근을 하는 도중에, 회사에서 일을 하는 도중 잠깐 쉬는 시간에, 잠들기 전에 그렇게 책을 읽었던 게 어느새 독서하는 습관이 된듯하다.


평소 독서를 꾸준히 하지 않는 사람들이 새삼 책을 읽으려고 할 때 가장 두려워하는 점이 있다면 바로 어떤 책으로 시작해야 될까라는 점이다. 목표를 세웠으니 거창하진 않더라도 나한테 도움이 되는 책을 읽고 싶은데 적당한 책을 고르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중도에 포기를 하게 될까 시작부터 우려하는 점도 이유 중 하나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자. 독서란 내 취향에 맞춰 내가 좋아하는 책을 읽는 것이다. 그게 소설책이든, 전공서적이든, 하는 일에 도움이 되는 책이든, 만화책이든, 잡지책이든 중요하지 않다. 첫걸음이 중요한 것 같다. 책을 읽는 것에 재미를 붙일 수 있는 그런 책이 가장 좋다는 것이다. 그 후엔 자신도 모르게 어떤 종류의 책을 읽어야 할지 선택하는 능력이 길러진다.


'독서는 나를 성장하게 하고 어떤 삶의 위기에도 넘어지지 않게 붙잡아 주는 가장 강력한 도구다'라고 저자는 말한다. 이 시대를 대표하는 정치인, 기업인, 지식인 등 그런 사람들을 살펴보면 그들의 삶에 독서가 빠진 적은 결코 없었다. 그들의 지금의 위치를 만든 건 그들이 갖고 있던 책 읽는 습관이었다. 현재에 머물지 않고 미래를 향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필수조건 그것은 바로 독서다. 그런 의미에서 다카시 교수의 <독서는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는다> 이 책은 독서를 왜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되는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일깨워준 고마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