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책들의 도시 1
발터 뫼르스 지음, 두행숙 옮김 / 들녘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책을 볼때의 느낌은 뜨아~였다. 그냥 사람들을 소재로 쓴 평범한 소재인줄 알았는데, 왠걸~ 이건 주인공이 공룡이었다. 나는 더더욱 현실과 거리가 먼 환타지 소설은 즐겨 읽는 편이 아니기에 이런이런~ 책 잘못골랐구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거 두권 짜린데... 쩝~ 이런 생각을 가지고 한장한장 넘겨가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책 무척 흥미로웠다. 그리고 난 이 도시가 너무 부러웠다.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첫번째로 부흐링족들... 이들은 밥을 안먹고 살아도 배가 부르다고 한다. 책을 읽으면 배가 부르다는것... 무엇을 먹지 않아도 책만 읽어도 포만감을 느낀다니.. 좋은 책을 한꺼번에 너무 많이 읽으면 살이쪄 고생할수도 있기에 하루에 적당히 읽어야 한다고 우는 소리를 하곤 하지만, 정말 멋진 일 아닌가? 아무것도 안먹어도 다만 책만 읽으면 살아가는데 지장이 없다니.. 정말 부러웠다. 어렸을때부터 그저 알약 한개만 먹으면 배가 불렀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나로서는 이렇게 좋은 일이~였다. (모 지금은 어느정도 먹는 즐거움을 알아 여행을 가도 거기 모 먹으러 가자고 할 정도지만)

두번째로 기억에 남는건 책을 너무 잘쓰는 작가를 지하세계로 추방함으로 인해서 더 많은 책을 출판하게  만드는 스마이크~ 혹시 우리도 지금 이런 세상에 살고 있는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도 들었다. 책을 너무 잘쓰는 작가가 있으면 그저 그렇게 쓰거나 못쓰는 작가들의 책은 외면당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소수의 작가들이 쓰는 책만을 출판하게 되므로 출판사의 수입은 줄어들수 밖에..  이 대목을 읽으면서 아하~ 하는 생각과 무릎을 치면서 읽었다.

이책은 어떻게 보면 환타지같이 느껴질수도 있으나 책의 뒷표지에도 나와있듯이 우리의 세계와 접목하여 보면 우리의 출판현황등을 볼수 있지 않을까 싶다. 때로는 황당한 내용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인듯 싶다. 나도 오름의 경지에 이르렀을때 책을 쓴 작가들의 책을 두여달에 걸쳐 읽었으면 하는 생각도 해본다. 그렇게 빠져서 책만 읽는다는것 넘 멋진일일것 같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런 세상을 꿈꿔보고 싶다면 한번 읽어보는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중간중간에 공포스런 분위기도 나기에 찬바람이 솔솔 부는 곳에서 긴장하면서 읽으면 그 책읽는 즐거움이 더해지지 않을까도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