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세까지의 아이들의 무상교육과 관련하여 전체 어린이집들은 현재 대기가 무지하게 많다. 우리동네는 그냥 가정형 어린이집만 대기가 거의 70~80명순이다. 고로, 이 어린이집에서 잘리면 갈곳이 없다라는것...

 얼마전에 어린이집 원장선생님한테 부름을 받았다.(난 벌써부터 선생님들한테 불려다녀야 하는건가?) 아들이 이상하게 어린이집에 적응을 못한다고...선생님이 힘들어하신다고... 한번더 노력을 해보겠지만, 그때도 적응을 못하면 개별적으로 봐주시는분을 알아보시는게 좋겠다고... 처음듣고는 무척 죄송스러운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가만 생각해보니 너무 이상한거였다. 어린이집 들어간게 3월초 2주동안은 1시나 2시까지 있고 한 2주 다니다가 감기가 너무 심해 다시 일주일 쉬고 다시 다니고 그래서 본격적으로 나간건 3주 남짓...3주동안 적응못하는애도 있지 않나? 다른엄마들 말 들어보면 6개월 걸리는 애도 있다는데, 그럼 그 어린이집은 모지?라는 생각부터 시작해서 별의별 생각이 다 들었다.

 주위에 조언을 구해보니 다양한 답변이 돌아왔다. 어린이집이 배가 불러서 그렇다부터 시작해서 선생님한테 뭔가 먹을거라도 안겨라. 아니꼽지만 아기 맡기면 어쩔수가 없다.. 요즘에 다른 어린이집 들어가기는 더 어렵다더라 모 대충 이런정도...

 맞다, 다른 어린이집 들어가기 너무 힘들더라... 여기도 작년 9월부터 대기 타서 들어왔다. 그때는 무상이라는 발표나기 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리 없었다. 그러고 나서 알았다. 어린이집을 부모가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요샌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을 선택한다라는 것을...

 솔직히, 맞벌이 하는 집의 아이들은 일찍 와서 늦게 데리고 가야 한다. 나야 회사가 정말 가깝기에 8시부터 6시까지 하지만 8시에 가보면 그때부터 와있는 애들도 있고 6시에 가면 그애들이 고대로 그시간에도 있다. 고로, 그 아이들은 맞벌이 가정의 아이들이라는것... 선생님들 입장에서는 달가울리 없다. 대기가 차고넘치는 판국에 보통 아이들처럼 10시쯤 등원해서 4시쯤 하원하는 애들을 받고 싶은 것이다.

 나는 그래도 복받은 편에 속한 편이다. 어떤 동네는 어린이집들이 담함비슷한걸 해서 모든 애들이 9시쯤 등원해서 4시나 5시에 하원하라고 한다고 한다. 그럼 맞벌이 하는 사람을은 어떻게 해야하냐? 그 비는 시간을 위해서 사람 고용하거나 주변의 친인척들 도움 받는단다. 정말 이게 무슨 조화인가? 무상이면 모하나? 돈은 이중으로 들어가는거지...

 그냥 차라리 유상으로 바뀌었음 좋겠다. 정말 필요한사람이 이용할 수 있도록... 모 정말 양심적으로 운영하는 어린이집들도 많을 것이다. 다 그렇다면 어디 애 낳겠는가? 아닌 곳 이야기 들으면서 나의 아이는 그런곳 걸리겠지 하면서 낳는 것이지...

 정말 요즘엔 일하기도 힘들고, 애 키우기도 힘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