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추어 메리지
앤 타일러 지음, 민승남 옮김 / 시공사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는 특히 결혼 적령기가 넘어서면 색안경을 쓰고 그 사람을 대하기 시작한다. 무슨 문제가 있어서 결혼을 못하는걸까? 왜 남들 다 하는 결혼을 못하는걸까? 부터 시작해서 그 시선이 곱지만은 않은게 사실이다. 하지만, 결혼을 하고 보니 그런 색안경을 쓰고 보는 사람들 시선보다는 결혼전에 마음가짐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저 나이만 차서 결혼은 하였으나, 전혀 결혼할 준비가, 독립할 준비가 안된 사람들을 주변에서 보니, 결혼이라는 것도 어느정도 공부가 필요하고 준비를 한 후에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람중에 한명으로 변하였다. 

 이 책을 읽고도 그런 생각은 더더욱 깊어졌다. 서로 첫인상에 이끌려 그리고 그 서로 다름에 이끌려 결혼은 하였으나, 마이클과 폴린은 둘다 너무 준비를 하지 않고 결혼 한 탓에 두 주인공은 매번 삐꺽 거리게 된다. 한명은 항상 잠잠한 호수같은데, 한명은 감정의 기복이 심한 파도가 심한 바다 같으니 매일매일이 어찌 순탄하랴 그리고 두사람은 그런 상대방을 이해하지 못하고 이혼까지 하고 만다. 그만큼 너무 자신의 입장에서만 자신을 피해자라고 본 탓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 대목이었다. 

 결혼생활은 두사람의 문제만이 아니다. 결혼을 해서 아이를 낳으면 그 아이들까지 고스란히 결혼생활에서 고려해야할 부분이다. 아이들을 어떻게 키울것인지, 아이들의 거울로서 부모는 어찌 행동을 해야하는지도 준비가 필요한 것이다. 책속의 주인공들처럼 그저 자신의 모습을 끝까지 유지하는 모습을 아이들에게 보여준다면, 큰딸 린디처럼 가출청소년의 아이가 없으라는 법은 없다. 린디의 입장에서 본다면 부모님들은 자신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기 보다는 부모님 두사람의 감정에 더 치우쳤고, 특히 폴린의 감정기복심함에 견디지 못했으리라. 이뿐인가? 셋째딸이자 막내는 끝까지 결혼을 하지 않고 독신으로 살며 일에 푹 빠진다. 어쩌면 부모님들의 결혼생활을 보고 결혼에 대한 좋지 않은 기억때문일지도 모를일이다.  

 책을 읽으면서 과연 나는 결혼생활을 함에 있어서 나와 다른 사람이랑 살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는가를 되돌아 보게 되었다. 무조건 내 스타일을 고집하는 것은 아니였는지 하는 반성도 하게 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자녀가 생겼을때 과연 어떤 모습으로 아이들에게 부모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까? 라는 고민도 하게 되었다. 인생에 연습이 없는 것처럼 결혼생활도 우리는 처음 해보는 것이기에 완벽하게 우리가 어렸을때 꿈꾸듯이 그렇게 행복하게 할 수 는 없다. 하지만, 그 다름을 인정하고 결혼이라는 제도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좀 터득하고 시작한다면 좀 수월해 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