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리와 나 - 한 초보 부부 그리고 강아지 한 마리의 가족 만들기
존 그로건 지음, 이창희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작년말부터 우리집에 반려견이 한마리 생겼더랬다. 처음엔 아기니까 귀엽고 마냥 신기했더랬다. 그러나, 이아이가 커감에 따라 성격이 나오기 시작했다. 낮에는 항상 혼자 있어야 하는 강아지는 잠을 자는것 같았고, 사람이 있는 밤에는 놀자고 꽁꽁대기 시작했다. 그럼 새벽에 침대에서 반은 자면서 반은 놀면서 그렇게 생활하자니 아침에 몸을 일으키기가 천근만근 이다.
책을 읽으면서 느꼈다. 난 그래도 행복한 사람이구나 싶었다. 우리집에 말리같은 강아지가 온다면 어떠했을까? 하는 아찔함까지 있었다. 집안에 가구란 가구는 남아나는게 없고, 쓰레기통을 뒤지는것도 생활이고, 침을 여기저기 다 흩뿌리고 다니고... 생각만 해도 공황상태가 될것 같다.
어찌보면 말리와 나책속의 부부의 생활이 우리생활이랑 많이 닮아 있었다. 처음 결혼해서 아기보다 강아지를 키우게 된것도, 그 강아지가 참 활동적이라는 것도... 그래서 그런지, 참 공감하면서 책을 읽었다. 그 상황에 나를 이입하면서 읽었던것도 같다. 어른들은 가끔 말한다. 정들기전에 강아지를 다른집에 보내버리라고... 나중에 아기라도 생기면 어찌할것이냐고... 하지만, 벌써 가족이라고 생각이되어진 강아지를 다른 집으로 보낼수 없는 마음은 말리가 그렇게 사고뭉치임에도 다른곳으로 보내거나 다른 방법을 취하지 않은 주인공들과 비슷한 마음이리라.
읽으면서, 강아지 이야기도 무척 재미있고 좋았지만, 결혼을 하고 아기를 낳고 그러면서 일어나는 일들도 세세하게 쓰여져 있다는 것도 나에게는 많은 도움이 되었다. 물론, 책속의 부부들은 회사에 정각에 출근해서 퇴근해야 하는 우리의 입장과는 달리 유동적으로 재택근무도 할수 있고, 말리를 데리고 외근을 할수도 있지만...
마지막 부분의 말리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적인 변화가 생기는 부분에서는 같이 가슴아파할수밖에 없었다. 그렇게 활동적이던 개가 움직이는 것조차 괴로워하는 수준에까지 이른다면 마음이 어떨까? 그저 한마리의 강아지라고 생각하기에는 우리가 얻는 즐거움들이 너무 많기에 반려견을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혹은 반려견과 함께 있는 사람들이라면 즐겁게 공감하면서 읽을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