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사랑일까 - 개정판
알랭 드 보통 지음, 공경희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1월
평점 :
이 책이 맨처음에 나왔을때, 원서로 읽어보자하고 빨간 원서로 된 책을 샀었다. 처음의 내용이 너무 지루해서, 몇페이지 못넘기고 던져버리다가 이번에 그래, 한글로 읽자 하고 다시 샀던 책이다. 보통책을 몇권 읽어봤지만, 반은 실패하고 반은 괜찮게 읽었던터고, 원서도 그다지 재미없어서, 또는 이해를 못해서 던져버렸기에 그닥 기대를 안하고 본게 사실이었다.
허나, 이책 나의 이런 생각을 완전히 뒤집어 주었다. 원래 앞 내용은 그냥저냥하는 내용으로 약간 지루한듯 했지만,(앨리스가 독신이었을때) 사랑을 시작하고 나서부터는 완전히 빠져들게 되었다. 작가가 남자인데, 어떻게 이렇게 여자의 심리를 잘 알수 있을까? 라는 생각에서부터 나중엔 이 사람 바람둥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혼자 했었다. 아마 그만큼, 사람의 마음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우리가 흔히 사랑에 빠지게 되면, 이남자가 나한테 꼭 맞는것 같고, 다른사람보단 그 사람이 더 편한듯 느껴지는것 같고, 서로 많이 닮은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그런 생각이 더해짐에 따라 사랑은 점점 무르익고 깊어져가는게 아닐까 싶다. 그래서 혹시, 사랑을 하는중에 이 책을 읽는다면 그래, 이남자가 나랑 이렇다니까 나한테 맞는게 확실해 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나도 대충 그런생각을 했던것 같다) 하지만, 사랑이 끝나고 읽는다면 아! 그래서 그사람이 나랑 안맞았던거야. 그사람은 내 짝이 아닌게지 하면서 읽게 될것 같다(내 경우는 지난 사랑을 생각하면서 이렇게 생각했었다.) 짚신도 짝이 있듯이, 자신의 성격을 잘 이끌어 줄 수 있는사람, 자신을 솔직하게 드러내도록 해주는 사람과 진정 사랑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할수 있겠다 싶다.
보통의 책을 읽으면서 말이 참 어렵다라는 생각을 할때도 있었는데, 이처럼 쉽게 소설을 읽었지만, 왠지 나도 모르게 좋은 비소설을 읽은것 같은 기분이 들게 만드는건 보통만의 매력이 아닌가 싶다. 쉬운책을 읽어 다른 보통의 책을 사게 되고, 그러다 또 좌절하다가 쉬운책을 만나게 되고, 이런순환이 보통과 나와의 인연이 아닌가 싶다. 그가 언제까지 글을 쓸진 모르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