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의 도전 - 한국 사회 일상의 성정치학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학교를 제외한 중,고등학교는 여학교를 나왔기에 학창시절에는 남녀차별이라는 것을 뼈저리게 체험할 수가 없었다. 대학교때는 남녀비율이 50%정도인 학과를 나왔지만, 그때에도 실력으로 평가받고 비슷한 처지에 공부를 한터라 그때에도 그러한 인식을 느낄수가 없었다. 그러나,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남녀차별이란것을 실감 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나 가부장적인 인식을 뚜렷히 가지고 있는 사람하곤, 일조차도 같이 하기 힘들었다. 그 사람에게는 여자는 그저 써포트 해주는 역할을 하기만 바라니까... 그리고, 그런 사람들은 자신이 남성우월자임을 부끄러움 없이 대놓고 말하기도 한다. (술기운에 한말이긴 하지만)

 이런저런 경험으로 선택한 책이었다. 과연 어떤 도전을 해야한다는 것일까? 라는 시작에서부터 이런책을 그런 사람들한테 읽게 하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 하는 궁금증에서 손에 잡고 읽은 책이었다. 그리고,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나 자신 조차도 그동안 가부장적인 인식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딸만 있는 집에서 자랐고, 학창시절에도 그다지 여성으로서 차별을 못받는다라고 생각했던 내가 책을 읽으면서 충격을 받은것이 사실이다. 나 자신 조차도 그렇게 싫어했던 사람들과 같은 생각의 잣대로 다른 사람을 평가하고 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백인의 비장애의 남성기준으로 그동안 세계가 돌아가고 있고, 앞으로 계속 그럴 것이라는 생각을 하니 문득 소름이 끼치기도 했다. 이책은 어쩌면 그러한 인식에 대해서, 고정관념에 대한 도전이라고 할수 있겠다. 그동안 옳다고 여겼던 일들이, 당연하다고 여겼던 일들이 조금 생각을 바꿔보면 틀려질수도 있다는 생각, 또는 비주류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인터넷등을 보면 페미니스트들은 할일이 없어서, 혹은 너무 여성중심적이여서 괜한걸로 사람들을 현혹시킨다는 글들을 자주 볼 수 있다. 그런 사람들이 이 글들을 읽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설마, 이런 글을 읽고도 똑같은 말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우리나라에서 당당히 본인이 페미니스트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몇명이나 될까? 그만큼 여성들의 목소리는 작은게 당연했고, 목소리가 작으니 양보하는게 당연하다고 여겼던 시절이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계속 가부장적인 인식이 사회에 만연하다보면 인구감소는 더더욱 심해지고, 결혼은 점점 기피의 대상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아직도, 책을 읽으면서 이해가 되지 않은 부분들이 많이 있었다. 그만큼 내 자신도 가부장적인 인식에 익숙해져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책 한권으로는 어림 없겠지만, 이러한 책이 많이 나와주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