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태자비 납치사건 - 개정판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그야말로 김진명 스타일의 재미있는 이야기다. 

나는 왕도 아니고, 왕의 아들도 아니고, 왕의 손자도 아니고, 왕하고는 아무런 혈연 관계가 없다. 아마 앞으로도 그런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옜 왕조를 흠모하지 않고, 앞으로도 그럴 일은 없을 것 같다.  오히려 그 모든 이들을 미워하는 마음이 내 가슴 한구석에 자리잡고 있는 것 같다. 

역사의 어느 시점에 어떤 사람이 나타나 혼란스러움을 그치고 지도자로 나서게 되면 두가지 가운데 하나가 될 가능성이 있다. 하나는 자신의 능력을 바탕으로 멤버들을 잘 다스리는 분이 되거나, 다른 하나는 능력을 벗어나는 욕심을 갖고 폭력적으로 지배하는 놈이 된다.  

누구나 전자를 원하지만 결국은 후자로 귀결되지 않았던가 생각해 본다. 그래서 왕조는 일어섰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하고, 우리가 살고있는 이 한반도의 왕조-국가들도 그렇게 되어왔다. 

조선이 망하는 순간에 있었던 왕-왕의 처-왕의 자식-왕족 들은 국부-국모-국자-국족이 아니라 그저 그런 인간들이다. 그렇게 생각하면 모든 게 설명되고 괜시리 내 마음의 평정을 잃을 필요가 없겠다. 

문제는 조선이 倭에게 망했다는 것이다. 아주 철저히 능욕을 당하면서... 이것이 나를 답답하게 만든다. 맘에 안드는 조선의 마지막 왕족, 더 내키지 않는 왜-왜놈들이 조상들의 터전을 빼았았다는 사실이. 그리고 후손들은 그 상처 투성인 흔적때문에 한없이 시달리고 있는 것이...

소설 속의 심씨와 김군은 황태자비를 납치해서 무엇을 해결했을까? 倭와 관련된 역사의 질곡이 질기기만 하다... 언제까지 이런 맷힘을 가지고 가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 전달자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20
로이스 로리 지음, 장은수 옮김 / 비룡소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수염을 기르고 싶다. 표지의 할아버지처럼. 물론 이런 저런 반대에 부딛혀서 그러지 못하지만 항상 꿈은 그렇게 꾼다.

표지의 할아버지는 선량하면서도 고뇌에 찬듯한 눈빛을 가지고 있다. 아마 이 책의 분위기를 잘 보여주는 적절한 사진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사람이 태어나면 생로병사의 과정을 겪는다는데, 우리는 흔히 이러한 과정을 [고통]이라고 부른다. 태어나는 고통, 나이를 먹는다는 고통, 몸에 병이 드는 고통, 그리고 마지막 죽음의 고통까지.

우리는 운명적인 고통을 피할 수 없는가? 피할 수 있다면?

주인공이 살아가는 사회-community는 바로 그런 사회다. 인간의 삶이 얼마나 고통스럽길레... 이 사회는 고통 없는 삶을 선택했다. 주인공이 태어나기 전 까마득한 과거에... 물론 선택에는 댓가가 있다. '망각'. 다른 사람들은 모두 '고통'의 기억을 잊고 대신 선택된 한명이 그 사회의 '고통'을 '기억'하게 만들었다...

'돌연변이'로 태어난 주인공은 어느날 '이상한 꿈'을 꾼다. 그리고 표지의 할아버지의 후계자가 되어 '까마득한 과거'의 '고통스런 기억'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선택한다. 아무런 미련없이. 물론 대책도 없이.

나는 주인공 보다는 할아버지를 이해하고 싶다.

초등 고학년에게 권장되나 오히려 어른이 좋아할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arry Potter and the Half-Blood Prince (Harry Potter, Book 6): Volume 6 (Hardcover) Harry Potter 미국판- 하드커버
조앤 K. 롤링 지음 / Scholastic / 200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리포터, 재미있는 책입니다.

영어로 된 책을 읽을라고 하면 먼저 머리가 아프고 부담스럽고 또 시간이 한참 걸릴지 모른다는 부담을 갖지요. 물론 영어로 된 책은 '교과서'말고 특별히 읽은 기억이 없기 때문에 부담이라 함은 '교과서'를 기준으로 합니다.

해리포터는 이러한 부담을 싹 사라지게 합니다. 영어가 어려운 것도 아니고, 문장이 복잡하거나 고도의 문법이 들어가 있는 것도 아닙니다. 그저 쉽게 읽힌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네요. 물론 모든 단어와 문장을 다 이해한다는 뜻은 아니고, 그야말로 사전을 찾지 않아도 대략 상상속의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야말로 '소설' '판타지'로 여기면 되니까요.

해리포터를 독파해서 교과서처럼 읽을 것이 아니라면 영어 원서를 보는 게 훨씬 상상력을 자극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한번 도전해 보세요. 재미있습니다.

단점은, 아마 어린이들과 이야기 할 때 나타날 것 같습니다. 가령 덤블레도어-덤블도, 해그리드-해거트 처럼 등장인물의 이름이 약간씩 '국어'로 된 것과 발음차이가 있을 것 같군요... 시도는 안해봤지만, 영어를 공부할 의향이 있으면 오디오 테입을 들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네요.

그런데, 얼핏 내용은 남지만 벌써 다 잊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이 수군수군 앗, 이렇게 재미있는 과학이 1
샤르탄 포스키트 / 주니어김영사 / 199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재미있군요.  이야기 책처럼 줄거리가 있고, 그 사이에 수학에 관한 상식, 되도록 쉽게 쓴 수학이야기, 등등..  수학을 싫어하고, 익숙하지 않고, 그러나 어디가서 폼을 내고싶어하는 그런 학생들에게 적합한 책이라고 생각된다. 몇가지 수수께끼와 마술을 이용하는 법을 이용하면 될테니까.

이 책은 수학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줄여줄 수 있고 또 약간이나마 수학에 대한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이야기 책이라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차라리 책 제목에서 [수학]이라는 두글자를 빼는게 어떨까 싶다.  수학이라는 두글자 때문에 수학에 접하는 기회를 아예 차버릴지 모르는 독자들을 구제하기 위해서...

어쨋든 이어지는 수학시리즈도 읽어볼 요량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ncb1441 2005-07-24 21: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다면 '이 수군수군' 이라고 부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