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H > 시놉check list

 

시나리오는 크게 발단부, 전개부, 위기(클라이막스), 결말로 나눌 수 있다.

가파른 산을 올라가듯 시나리오에는 클라이막스가 있다.

힘겹게 가파른 산의 꼭대기, 그 클라이막스를 올라서면 이제는 내리막길-결말-이다.

하나의 시나리오는 하나의 산꼭대기-클라이막스-를 올라섰다 내려가는 여정이지만..

단지, 하나의 큰 위기, 클라이막스로는 왠지 심심하다.

 

발단에도 작은 산등성이를 등정하는 것과 같은 클라이막스가 있어야 하고,

전개부에는 4개 정도의 산등성이를 오르다 내리면서 산꼭대기에 다다를 수 있어야 한다.

클라이막스에 올라서면.. 이제 드라마는 다 끝나거나 마찬가지..

-시청자들은 이제 더이상 관심이 없다-

결말은 두,세씬으로 정리해주거나

이야기만 잘 짜여졌다면 클라이막스에서 얘기가 끝나도 된다...^^

 

앗.. 이제부터 본격적인 체크포인트!!

 

발단부>

1. 첫씬의 이미지는 어떤가?

*강렬한 가? 궁금증을 유발하는가?

2. 주인공의 목표를 제시하는가?

3. 어떤 사람/배경 때문에 목표가 생겼나?

4. 사건이 있는 가-발단부라도 부딪힘, 갈등 필요!!

 

전개부> 작은 전개/클라이막스4

1. 주인공의 제 1착수행동은 무엇인가?

2. 주인공을 방해하는 요소는 무엇인가?(환경/사람)

3. 주인공은 2.에 대해 어떻게 행동하는가?

4. 시퀸스에서 클라이막스는 무엇인가?

5. 주인공은 결국 어떻게 하나?

 

클라이막스> 그야말로 point!!!!

1. 클라이막스에서 누가 무엇을 하는가?

2. 주인공은 무엇(누구)과 대립하는가?

3. 주인공과 직접 대립하는 것은 무엇인가?

4. 전체적으로 어떤 이미지인가? *드라마의 전체이미지를 먼저 정해야 한다!!

5. 최대의 세일즈포인트, 내세울 만한 것이 있는가? (영상?, 대사?, 상황?)

6. 클라이막스 중 클라이막스는?

7. 이 클라이막스는 무엇이 계기가 돼서 일어나는가?

8. 클라이막스에 돌입하기 직전, 다이빙보드의 대사!!, 체크!

9. 클라이막스의 결말, 체크!

10. 작가의 의도/ 말하고자하는 것은 무엇인가?

 

결말>

1. 라스트씬의 이미지, 체크!

2. 누가 무엇을 하는가?

*이미지, 한씬만 있어도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蕭寥月夜思何事(소요월야사하사)
달밝은 밤에 그대는 누굴 생각 하세요?

寢宵轉輾夢似樣(침소전전몽사양)
잠이 들면 그대는 무슨 꿈 꾸시나요?

問君有時錄忘言(문군유시녹망언)
붓을 들면 때로는 내 얘기도 쓰시나요?

此世緣分果信良(차세연분과신량)
나를 만나 행복 했나요? 나의 사랑을 믿나요?

悠悠憶君疑未盡(유유억군의미진)
그대 생각 하다보면 모든게 궁금해요.

日日念我幾許量(일일염아기허량)
하루중에서 내 생각 얼만큼 많이 하나요?

忙中要顧煩或喜(망중요고번혹희)
바쁠때 나를 돌아보라 하면 괴롭나요? 반갑나요?

喧喧如雀情如常(훤훤여작정여상)
참새처럼 떠들어도 여전히 정겨운가요?

悠悠憶君疑未盡(유유억군의미진)
그대 생각 하다보면 모든게 궁금해요.

日日念我幾許量(일일염아기허량)
하루중에서 내 생각 얼만큼 많이 하나요?

忙中要顧煩或喜(망중요고번혹희)
바쁠때 나를 돌아보라 하면 괴롭나요? 반갑나요?

喧喧如雀情如常(훤훤여작정여상)
참새처럼 떠들어도 여전히 정겨운가요?

 

 

  *직 역* 
簫蓼月夜思何事 ㅡ소슬한 달밤이면 무슨 생각 하오신지
寢宵轉轉夢似樣 ㅡ뒤척이는 잠자리는 꿈인듯 생시인듯 
問君有時錄妾言 ㅡ님이시여 때로는 제가 드린 말도 적어보시는지
此世緣分果信良 ㅡ이승에서 맺은 연분 믿어도 좋을지요
悠悠憶君疑未盡 ㅡ멀리 계신 님 생각, 끝없어도 
日日念我幾許量 ㅡ하루 하루 이 몸을 그리워는 
忙中要顧煩惑喜 ㅡ바쁜 중 돌이켜 생각함이라 괴로움일까 즐거움일까
喧喧如雀情如常 ㅡ참새처럼 지저귀어도 제게 향하신 정은 여전하온지요 
 
**가끔 꿈속에서 황진이를 만난다는 국어선생님,이 문득 생각난다.요즘도 만나시는지..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르테노페(Parthenope)】


[그리스] 사이렌중 하나.



【파보니우스(Favonius)】


[그리스, 로마] 제피르 참조.



【파온(Phaon)】


[그리스, 로마] 시인 사포가 사랑했다. 아프로디테를 레스보스에서 키오스까지 날라주었는데, 그 댓가로 젊음과 아름다움을 받았다고 한다.



【파우나(Fauna)】


[로마] 들판의 여신. 보나 데아(Bona Dea)라고도 함. 마이아 참조.



【파이드라】


[그리스] 테세우스의 아내.



【파이안(Paean)】


[그리스, 로마] ① 신들의 의사. 처음에는 아폴로에게 주어졌다가 나중에 아이스쿨라피우스에게


주어짐. ② 추수감사나 승전을 기리는 노래. 대개 치료자로서의 아폴로신에게 바쳐졌다.



【판도라(Pandora)】


[그리스] 뜻은 "온갖 재주를 갖추다". 최초의 여성. 에피메테우스(Epimetheus)의 아내.



【판드로소스(Pandrosus)】


[그리스] 첫 케크롭스의 딸. 헤르세 참조.



【판타소스(Phantasus)】


[그리스, 로마] 잠의 신, 힙노스의 아들. 무생물에 관한 꿈을 꾸게 만든다.



【팔라스(Palas)】


[그리스] 지혜, 정의의 여신. 아테나(Athena)의 다른 이름.



【팔라스(Pallas)】


[그리스, 로마] ① 거인 ② 아테나



【페가수스(Pegasus)】


[그리스] 날개가 달린 말. 키메라를 죽이기 위해 벨레로폰(Belerophon)은 지혜의 여신 아테네로부터 황금의 말고삐를 건네받아 페가수스를 길들이는 데 성공했다. 덕분에 벨레로폰은 키메라를 힘들이지 않고 죽일 수 있었다고 한다. 페가수스는 보통 신경질이 많고 난폭하여 매우 길들이기 힘들다. 그러나 이 황금 고삐를 사용하면 페가수스를 얌전하게 만들 수 있다. 그 후 벨레로폰은 신들의 마음에 들 것이라고 생각하고 페가수스를 타고 하늘로 올라가려고 했다. 그러나 이를 보고 노한 제우스가 페가수스의 엉덩이를 등에로 찔렀기 때문에 그는 땅에 떨어지고 말았다. 벨레로폰은 발이 부러지고 눈이 멀어 남은 여생을 홀로 외롭게 마쳤다고 한다. 페가수스의 몸 크기는 보통의 말과 비슷하며 단지 날개가 달렸을 뿐이다.



【페넬로페(Penelope)】


[그리스] 이타카(Ithaca)의 왕, 오디세우스(Odysseus)의 아내. (오디세우스 참조) 그는 그녀의 아버지 이카리우스(Icarius)가 개최하여 그녀의 구혼자들이 참가한 달리기경주를 통해 그녀를 얻었다. 오디쎄우스가 트로이(Troy, Ilium) 전쟁에 참가하면 20년간 돌아올 수 없을 것이라는 예언이 있었다. 페넬로페와 그의 아들 텔레마쿠스(Telemachus)는 그를 기다렸다. 이타카 왕위의 승계는 모계승계였다. 오디세우스가 죽었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많은 구혼자들이 페넬로페와 결혼하기 위해 궁전에 들어와 머물렀다. 그녀는 그녀의 시아버지, 라이르테스(Laertes)의 옷을 자 짜기전에는 누구와도 결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녀는 밤만 되면 낮에 짰던 실을 풀었다. 호메로스(Homer)에 따르면 이 계획이 오디세우스가 돌아와 구혼자들을 다 죽일 때까지 통했다고 한다.



【페레(Pherae)】


[그리스, 로마] 알케스티와 아드메투스의 고향.



【페르딕스(Perdix)】


[그리스] 다이달로스의 조카이자 제자. 톱과 콤파스를 발명했다. 다이달로스가 그의 재능을 시기해 살해했다. 메네르바가 그를 가엽게 여겨 메추라기로 만들었다.



【페르세우스(Perseus)】


[그리스, 로마] 아바스의 증손.



【페르세포네(Persephone)】


[그리스] 아도니스를 사랑. 데메테르의 딸. 피리토우스가 유괴를 시도. 하데스의 아내.



【페리보에아】


[그리스] 코린트의 왕비. 폴리보스의 아내.



【페이토(Peitho)】


[그리스] 설득의 여신.



【펠라스고스(Pelasgus)】


[그리스, 로마] 강의 신 이나쿠스의 손자. 그리스인중 펠라스기파의 조상.



【펠리아스(Pelias)】


[그리스, 로마] 포세이돈과 티로의 아들.



【포르투나(Fortuna)】


[로마] 행운의 여신.



【포르피리온(Porphyrion)】


[그리스, 로마] 거인



【포보스(Phobos)】


[그리스, 로마] 뜻은 "공포". 아레스의 조수.



【포세이돈(Poseidon)】


[그리스] 뜻은 "마실 것을 주는 사람". 바다의 신. 제우스(Zeus)의 형제이자 신중에서 2인자. 아내는 암피트리테. 황소는 그의 동물. 그의 황금마차가 지나면 폭풍우가 가라앉았다.



【포스포르(Phosphor)】


[그리스] 루키페르에 해당하는 그리스신.



【포이나(Poena)】


[그리스] 처벌의 여신. 네메시스의 조수.



【포이베(Phoebe)】


[그리스, 로마] 아르테미스의 이름.



【포이베(Phoebe)】


[그리스] 뜻은 "빛나는 여자". 달의 여신. 가이아(Gaia)의 자식. 어린이, 사냥꾼의 신. 아르테미스(Artemis)의 다른 이름.



【포이보스(Phoebus)】


[그리스, 로마] 아폴로의 이름. 뜻은 "찬란한, 빛나는". 영어로는 피버스.



【포이아스(Poeas)】


[그리스, 로마] 필록테테스의 아버지. 소포클레스에 따르면 필록테테스가 아니라 포이아스가 헤라클레스를 화장했다고 한다.



【폴룩스(Pollux)】


[로마] 헬렌의 동생. 아르고호의 승선.



【폴리도로스(Polydorus)】


[그리스, 로마] ① 랍다쿠스의 아버지, 카드무스의 아들. ② 프리암의 아들.



【폴리보스】


[그리스] 코린트의 왕페리보에아의 남편.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그리스] 뜻은 "먼저 생각하는 사람". 제우스(Zeus)의 편을 든 거인족. 인류에게 불을 전해주고 에피메테우스에게 판도라를 주의하라고 경고를 한 죄로 카프카즈 산에 묶여 독수리에게 간을 쪼이는 벌을 받는다. 나중에 헤라클레스가 그를 구해준다.



【프로세르피네(Proserpine)】


[그리스] 페르세포네의 다른 이름.



【프로크루쓰테쓰(Procrustes)】


[그리스] 의심스런 취향을 가진 신화적인 그리스의 신사. 아티카(Attica)(코린트(Corinth)의 이쓰트무쓰(Isthmus)로 가는 도상에 있었다고 함)의 어느 곳에 그의 성채가 있었다. 그는 두 개의 침대를 갖고 있었는데, 하나는 보통 사람보다 짧고 하나는 너무 길었다. 여행자를 그의 소굴로 끌어들인 다음, 희생자를 제압하여 가장 길이가 안맞는 침대에 던졌다. 희생자가 긴 침대보다 짧으면 늘여서 침대에 맞추고, 짧은 침대에 비해 너무 길면 맞을 때까지 신체를 잘라냈다. 테쎄우쓰(Theseus)가 그의 수법대로 그를 죽였다.



【프시케(Psyche)】


[그리스] 뜻은 "정신(精神), 나비". 쿠피드(Cupid)의 연인.



【프시코폼포스(Psychopompus)】


[그리스] 헤르메스의 이름



【플로라(Flora)】


[로마] 꽃의 여신.



【플루토(Pluto)】


[그리스, 로마] 하데스 참조.



【플루투스(Plutus)】


[로마] 로마인들이 비유적으로 플루토와 혼동하여 사용한 인물.



【피그말리온(Pygmalion)】


[그리스, 로마] ① ② 디도의 사악한 동생. 티레의 왕.



【피라】


[그리스] 대홍수에 살아남은 사람. 데우칼리온(Deuchalion)의 아내.



【피에리데스(Pierides)】


[그리스, 로마] 무사이. 테살리아에 있는 그녀들의 출생지, 피에리아에서 나온 이름.



【피테우스(Pittheus)】


[그리스, 로마] 트로이젠의 왕. 테세우스의 외할아버지.



【피톤(Python)】


[그리스] 아폴론이 죽인 거대한 뱀. 파르나소스산의 동굴에서 살았다.



【필레몬(Philemon)】


[그리스] 대홍수에살아남은 프리기아(Prigia) 사람.



【필로노에】


[그리스] 벨로로폰의 아내. 이오바테스의 딸.



【하이데스(Haides)】


[그리스] 뜻은 "눈이 멀다". 명계(冥界)의 신. 제우스(Zeus)의 형제.



【하이몬(Haemon)】


[그리스, 로마] 안티고네와 약혼한 크레온의 아들.



【하피(Harpy)】


[그리스] '트로이 전쟁'의 트로이측의 영웅 아이네이어스(Aeneas)의 모험에 등장. 그리스군에게 패한 아이네이어스는 새로운 땅을 찾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데, 그 도중에 하피가 사는 섬에 들르게 되었다. 이 섬에는 과거의 잔혹한 소행 때문에 제우스가 장님으로 만든 왕이 살고 있었다. 그 왕을 더욱 괴롭히기 위해 보낸 것이 하피였다고 한다. 상반신은 여성, 하반신은 독수리(대형)인 하피는 매우 불결하다고 한다. 공격할 때는 독수리의 다리로 바위를 집어 올려 상공에서 떨어뜨리거나 손에 들고 있는 조잡한 무기(뼈, 단검)나 독수리의 발톱 등으로 습격한다. 아이네이어스와 마주쳤을 때도 식사 준비를 막 끝낸 아이네이어스의 식탁에 느닷없이 상공에서 기습하였다.



【헤라(Hera)】


[그리스] 제우스의 아내이자 누이. 뜻은 "보호자". 신부, 산모, 유모의 여신. 거인족, 바다와 테티스가 양육했다. 암소와 공작은 그녀의 동물이다. 제우스가 농락한 수 많은 여인들과 그 아이들을 가혹하게 처벌한다. 트로이 전쟁은 원래 양측의 무승부로 끝날 전쟁이었으나 그녀가 파리스에 당한 모욕을 갚기 위해 강하게 개입하여 그리스의 승리로 끝난다. 아르고스(Argos)에 신전이 있다. 아레스, 헤베, 헤파이토스의 어머니. 스킬라와 카리브디스 사이를 항해하는 아르고 호의 승무원들을 도왔다.



【하데스(Hades)】


[그리스] 명계의 신이자 재물의 신. 제우스의 형제이자 신중에서 3인자. 아내는 페르세포네. 죽음을 다스리기 때문에 타타토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쓰면 보이지 않는 모자(혹은 핼멧)를 갖고 있다.



【헤라클레스(Herakles)】


[그리스, 로마] 라틴어는 헤르쿨레스(Hercules), 영어로는 허큘리스(Hercules). 제우스(Zeus)의 아들이었지만 죽을 수 밖에 없는 운명을 타고 났다. 탁월한 힘·곤경에서의 불굴의 의지와 끈기가 그를 모든 시대에 불멸하도록 만들었다. 독이 발라진 옷을 입고 그가 죽은 후에 제우스는 그를 불사신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그의 인간적 속성이 그를 매력적인 숭배의 대상으로 만든 것이 분명하다. 그는 지중해의 끝에서 다른 끝까지 여행했다. 그를 숭배하는 것은 전적으로 남성이었고, 전통적인 남성미의 화신으로 생각되었다. 로마에서 그는 상업, 특히 올리브 기름 소매상의 신이었다. 몇몇은 자신들이 그의 후손이라고 생각했다. 미트리다테스(Mithridates)와 로마의 안토니우스 집안(Antonii)에서 그렇게 생각했다.



【헤라클레스의 기둥(Pillars of Hercules)】


[그리스, 로마] 대서양과 지중해의 좁은 관문. 이곳에 거대한 바위 돌출부가 2개 있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스페인쪽의 바위는 칼페(Calpe) (현재의 지브롤터(Gibraltar)), 아프리카쪽의 바위는 아비두스(Abydus)라고 불렀다.



【헤르메스(Hermes)】


[그리스] 전령의 신. 뜻은 "기둥, 남근(男根)". 상업, 교역의 신, 도둑들의 수호신. 신들의 전령(傳令).



【헤르미오네(Hermione)】


[그리스] 헬렌과 메넬라오스의 딸. 아킬레스의 아들 네오프톨레무스와 결혼했다가 이레스테스와 결혼.



【헤르세(Herse)】


[그리스] 용족 케크롭스의 세 딸중 하나. 판드로소스와 아글라우로스의 자매.



【헤베(Hebe)】


[그리스, 로마] 젊음의 여신. 제우스와 헤라의 딸. 신들의 컵을 보관했다. 헤라클레스와 결혼했다.



【헤스티아(Hestia)】


[그리스] 뜻은 "가정". 가정의 수호신.



【헤스페르(Hesper)】


[그리스] 저녁별.



【헤스페리데스(Hesperides)】


[그리스] 아틀라스의 딸. 황금사과나무를 지켰다.



【헤시오네(Hesione)】


[그리스] ① 트로이왕, 라오메돈의 딸. 헤라클레스가 바다괴물로부터 구해줌. ② 바다의 요정. 프로메테우스의 아내.



【헤카베(Hecabe)】


[그리스, 로마] 헤쿠바의 변형. 프리암의 아내.



【헤카테(Hecate)】


[그리스] 밤의 여신.



【헤카톤키레스(Hecatonchires)】


[그리스] 백 개의 손을 가진 세 마리 괴물. 브리아레우스, 코투스, 기게스.



【헤쿠바(Hecuba)】


[그리스, 로마] 트로이 왕 프리암의 아내.



【헤파이스토스(Hephaestus)】


[그리스] 불의 신이자 대장간의 신. 뜻은 "낮을 빛내는 사람". 이글라이아와 아프로디테의 남편. 에우로파에게 바구니를 만들어 주었다.



【헬레스폰트(Hellespont)】


[그리스] 에게해와 흑해를 잇는 좁은 해협에서 그리스 쪽.



【헬렌(Hellen)】


[그리스, 로마] 피라와 데우칼리온의 아들. 그리스인들의 조상.



【헬리오스(Helios)】


[그리스] 뜻은 "태양". 태양신.



【히게아(Hygea)】


[그리스] 건강의 여신. 일설에는 아이스쿨라피우스의 딸이라고 한다.



【히기아(Hygia)】


[그리스] 히게아 참조.



【히드라(Hydra)】


[그리스] 뱀이라기 보다는 용에 가까운 용로서 머리가 9개나 된다고 한다. 히드라는 그리스신화에 2번이나 등장한다. 한 번은 안드로메다(Andromeda)가 히드라의 제물이 되었을 때, 또 한 번은 헤라클레스의 12가지 난행(難行)의 두번째 시기이다. 이 때 헤라클레스는 히드라의 머리를 곤봉으로 계속 내리쳐서 떨어뜨렸지만, 첫번째 머리를 죽이면 두번째 머리가 다시 나오는 식으로 끝이 없었다. 그래서 일일이 다 태웠지만 9번째 머리는 죽지 않았다. 이에 헤라클레스는 마지막으로 불사(不死)의 머리를 바위 밑에 묻어 버렸다고 한다. 헤라클레스는 쓰러진 히드라의 몸에서 독을 취했다고 한다.



【히페리온(Hipherion)】


[그리스] 뜻은 "높이 나는 자". 태양신. 가이아(Gaia)의 아들.



【히페리온(Hyperion)】


[그리스] 태양, 달, 새벽의 아버지. 거인족.



【히포다미아(Hippodamia)】


[그리스] 펠로프스의 아내.



【히포타데스(Hippotades)】


[그리스] 히포테스의 아들. 바람의 왕 아이올루스라고 전해진다.



【히폴리투스】


[그리스] 테세우스의 아들.



【히폴리투스(Hippolytus)】


[그리스] 테세우스의 아들. 아이스쿨라피우스가 되살렸다.



【히프누스(Hypnus)】


[그리스] 잠의 신. 히프누스의 세 아들이 모르페우스, 이켈루스, 판타소스이다. 로마의 솜누스.



【힐라라(Hilara)】


[그리스] ① 아폴로의 딸. ② [로마] 카스토르와 폴룩스 이야기에서 레우키푸스의 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토르(Castor)】


[그리스, 로마] 헬렌과 오누이.



【카쿠스(Cacus)】


[그리스, 로마] 헤라클레스(Hercules)로부터 게리온(Geryon)의 가축을 훔친 거인. 꼬리를 뒤로 당겨 자신의 동굴로 끌어갔기 때문에 헤라클레스가 발자국을 추적할 수 없었다. 결국은 탄로가 나서 죽임을 당했다.



【칼리오페(Calliope)】


[그리스] 뮤사이(Muse)의 한 명. 오르페우스(Orfeus)의 어머니.



【케레스(Ceres)】


[그리스] 데메테르(Demeter) 참조



【케르베로스(Cerberos)】


[그리스] 명계를 지키는 개. 영웅 헤라클레스는 12가지 난행(難行)의 마지막에 하데스가 지배하는 저승세계의 입구를 지키는 케르베로스를 지상으로 데려왔다. 그 모습은 기본적으로 개와 같지만, 3개의 머리를 가지고 있고 목 주위에서 무수한 뱀이 달려 있으며 뱀의 꼬리를 하고 있다.



【케르코페스(Cercopes)】


[그리스, 로마] 헤라클레스(Hercules)의 무기를 훔친 놈(Gnome)



【케스투스(Cestus)】


[그리스, 로마] 아프로디테(Aphrodite)의 거들.



【케피소스(Cephissus)】


[그리스] 델피에 있는 강이름.



【켄타우로스(Centaur)】


[그리스] 반어인(半漁人), 우주인 및 중간 종족이 이 켄타우로스이다. 상반신은 인간, 하반신은 말이라는 균형있는 모습. 켄타우로스의 출생에 관해서는 몇 가지 이야기가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이야기는 테사리아의 왕 이크시온과 제우스가 유노의 모습과 닮게 만든, 구름과의 사이에서 난 아이라는 것이다. 의학, 수렵 등에 능통하며, 아킬레우스와 이아손을 제자로 거느리고 있던 케이론은 그 우수함과 공정함을 인정받아 사후에 성좌(星座)가 되었다. 이것이 사수좌(射手座)이다.



【켄티마누스(Centimanus)】


[로마] 헤카톤키레스 참조.



【켈레우스(Celeus)】


[그리스, 로마] 데메테르(Demeter)가 켈레우스에게 성스런 의식을 가르쳤다.



【코라(Kora)】


[그리스] 페르세포네의 이름.



【코레】


[그리스] 데메테르의 딸. 페르세포네(Persepone)의 다른 이름.



【코린트(Corinth)】


[그리스, 로마] 이전에 에피레(Ephyre).



【쿠피드(Cupid)】


[로마] 이아손(Jason)이 메데아(Medea)를 사랑하도록 만들었다. 디도(Dido)가 아에네아스(Aeneas)를 사랑하도록 만들었다. 영어로 큐피드.



【퀴리누스(Quirinus)】


[로마] 로물루스 참조.



【크노수스(Cnossus)】


[그리스, 로마] 미노스의 도시. 크레타(Crete)의 수도.



【크로노스(Cronos)】


[그리스] 천신(天神), 주신(主神). 우라노스와 가이아(Gaia)의 자식. 레아와의 사이에서 제우스, 플루토, 포세이돈, 헤라, 데메테르, 헤스티아를 낳았다. 자신의 아들이 왕위를 차지할 것이라는 말을 듣고 자식들을 다 삼겼으나 제우스가 레아의 도움으로 그를 죽인다. 제우스가 그의 고환을 잘라 바다에 던졌을 때 그곳에서 아프로디테가 생겨났다고 한다. 로마에서는 사투르누스(Saturnus). 영어로 새턴.



【크로노스(Kronus)】


[그리스] 크로노스(Cronus) 참조.



【크리사오르(Chrysaor)】


[그리스, 로마] 메두사(Medusa)의 피속에서 태어난 말.



【크리소테미스(Chrysothemis)】


[그리스, 로마] 아가멤논(Agamemnon)의 딸.



【클리템네스트라(Clytemnestra)】


[그리스, 로마] 아가멤논의 아내. 레다(Leda)와 틴다레우스(Tyndareus)의 딸. 카산드라(Cassandra)를 살해하고 남편 아게멤논도 살해했다.



【키노수레(Cynosure)】


[그리스, 로마] 작은 곰자리의 꼬리부분.



【키니라스(Cinyras)】


[그리스, 로마] 아도니스(Adonis)의 아버지.



【키론(Chiron)】


[그리스, 로마] 아에스쿨라피우스(Aesculapius)를 양육. 프로메테우스를 위해 죽었다.



【키메라(Chimera)】


[그리스] 영어로는 키마이라. 키메라의 모습에 대해서는 2가지 설이 있다. 몸의 앞 부분은 사자, 가운데는 염소, 뒷 부분은 큰 뱀, 혹은 용이라는 설과 염소, 사자, 용의 3가지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사자의 상반신, 용의 날개, 염소의 하반신을 가졌다는 설이 있다. 류키아 거리를 휘젓고 다니는 것을 그라우코스의 자식 벨레로폰(Belerophon)이 하늘을 날아다니는 말 페가수스(Pegasus)의 도움을 받아 퇴치시켰다는 이야기로 잘 알려져 있다.



【킨티아(Cynthia)】


[그리스] 아르테미스의 별칭. 그녀가 델로스의 킨토스(Cynthus) 산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이 이름을 얻었다.



【타나토스(Thanatos)】


[그리스] 하데스의 별칭. 뜻은 "죽음"



【타르타루쓰(Tartarus)】


[그리스] 고대의 위험한 세상의 가장 흉악한 죄인들을 처벌하는 명계의 지역. 씨씨푸쓰(Sisyphus)는 영원히 돌을 산위로 굴렸다. 익씨온(Ixion)은 바퀴에 묶인 채 굴러다녔다. 탄탈루쓰(Tantalus)는 음식과 물을 마시기 위해 헛되이 내밀었다. 그러나 이들은 한 두 가지 이유로 신들로부터 영원한 생명을 받았다. 그래서 죽음이라는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벌할 수 없었다. 피타고라쓰(Pythagoras)같은 사람들의 심각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그리스인과 로마인은 불멸의 영혼에 관하여 진정한 관념을 갖지 못했다. 죽음은 주요한 본체가 사라지는 것을 뜻했다. 죽음 뒤에 남는 모든 것은 그림자, 죽은 사람의 마음이 없거나 비실체적인 복제였다. 영혼은 위대한 철학자들에게 화려한 존재, 여성이었다.



【타이나룸(Taenarum)】


[그리스] 혹은 타이나루스. 명계로 통하는 라코니아의 지명.



【타이아로스(Taenarus)】


[그리스] 타이나룸 참조.



【탄탈로스(Tantalos)】


[그리스] 지옥에서 음식을 바로 앞에 두고 굶은 자.



【탈로스(Talos)】


[그리스] 거인의 이름. 탈로스는 헤이파스토스가 크레타섬의 수호를 위해 미노스 왕으로 청동으로 만든 것이라고 한다. 탈로스는 크레타섬을 하루 3차례 순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따라서 배가 섬에 접근하면 탈로스는 가까이 있는 커다란 바위를 들어올려 배를 부숴버린다고 한다. 탈로스는 전신이 청동으로 되어 있으므로 사실상 불사신이지만 약점이 한 가지 있다. 영웅 아킬레스의 건이 유일한 약점인 것처럼 탈로스의 발뒤꿈치는 혈관이 얇은 막으로 덮여 있을 뿐이다. 크레타섬에 배가 다시 접근했을 때 탈로스는 바위를 집어올리려고 했다. 이 때 탈로스는 발뒤꿈치로 뾰족한 바위를 밟게 되어 얇은 막이 찢어졌다. 몸을 구성하고 있던 납이 흘러나옴에 따라 탈로스의 몸은 순식간에 허물어졌다고 한다.



【탈리아(Thalia)】


[그리스] 희극의 무사이.



【테르산데르(Thersander)】


[그리스] 폴리네이케스의 아들. 에피고니중의 하나.



【테미스(Themis)】


[그리스] 정의의 여신. 거인족. 뜻은 "정의"



【테세우스(Theseus)】


[그리스] 그리스의 영웅.



【테세티오스(Thestius)】


[그리스] 칼리돈의 왕. 레다와 알테아의 아버지.



【테아(Thea)】


[그리스] 가끔 달을 부르는 이름.



【테우케르(Teucer)】


[그리스] ① 강의 신이자 트로이 최초의 왕, 스카만데르의 아들. ② 텔라몬의 아들. 대 아약스의 이복형제.



【테티스(Tethys)】


[그리스] 바다(Ocean)의 아내.



【텔라몬(Telamon)】


[그리스] 대(大) 아약스의 아버지.



【텔레포스(Telephus)】


[그리스] 헤라클레스의 아들. 아킬레스로부터 상처를 입는다. 창에 낀 녹으로 치료를 했다.



【템페(Tempe)】


[그리스] 다프네의 아버지 페네우스가 흐르는 테살리아의 계곡.



【트로이젠(Troezen)】


[그리스] 아르골리스에 있는 도시. 테세우스의 출생지.



【트리나크리아(Trinacria)】


[그리스] 시킬리의 이름.



【트리비아(Trivia)】


[그리스] 헤카테의 이름.



【트리토게네아(Tritogenea)】


[그리스] 아테나의 묘비명. 뜻이 불분명.



【트리톤(Triton)】


[그리스] 포세이돈의 자식 트리톤은 부친의 소라고둥을 부는 역할을 지시받아 언제나 포세이돈의 곁에 있었다. 이 트리톤의 소라고둥은 거친 바다를 잠재우는 힘을 가졌다. 트리튼은 상반신은 인간, 하반신은 물고기라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언제나 해마(海馬, Hippocampus)를 타고 있다. 그러나 트리튼은 포세이돈의 궁전에 있는 군소 신이라는 설도 있다. 이 트리튼의 모습도 전술한 트리튼과 같지만, 이것들은 복수이다. 포세이돈과 마찬가지로 삼지창을 무기로 가지고 다닌다.



【티디데스(Tydides)】


[그리스] 티데우스의 아들.



【티르니스(Tirnys)】


[그리스] 에우리스테우스 참조.



【티린스(Tiryns)】


[그리스] 헤라클레스가 교육받은 아르골리스에 있는 도시.



【티에스테스(Thyestes)】


[그리스] 펠롭스의 아들.



【티이아데스(Thyiades)】


[그리스] 바쿠스 추종자들의 이름.



【티케(Tyche)】


[그리스] 행운의 여신. 로마의 포르투나.



【티탄(Titan)】


[그리스] 거인족. 영어로는 타이탄. 크로노스(Cronos)로 대표되는 제우스(Zeus)의 선조신들은 일반적으로 티탄 신족(神族)이라고 불렸다. 이 티탄이 다른 이름인 거인족으로 불린 것에서 '티탄=거인'이라는 의미가 되어 거인을 티탄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티티오스(Tityus)】


[그리스] 아폴로가 살해한 거인.



【티포이오스(Typhoeus)】


[그리스] 티폰의 다른 이름.



【틴다리스(Tyndaris)】


[그리스] 틴다레우스의 딸. 헬렌이나 클리템네스트라를 가리킨다.



【파르케(Parcae)】


[그리스] 운명 참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일레이티이아(Eileithyia)】


[그리스] 일리티이아의 다른 이름. 루키나 참조.



【에키드나(Echidna)】


[그리스, 로마] 반은 사람, 반은 뱀. 케르베루스, 네메아 사자, 히드라의 어머니.



【에페우스(Epeus)】


[그리스, 로마] 목마를 만든 사람.



【에피레(Ephyre)】


[그리스, 로마] 코린트 참조.



【에피메니데스(Epimenides)】


[그리스] 피라의 아버지. 판도라에게 선물을 했다.



【에피메테우스(Epimetheus)】


[그리스] 뜻은 "나중에 생각하는 사람". 프로메테우스의 형제. 거인족. 판도라(Pandora)의 남편.



【엘렉트라(Electra)】


[그리스] 아가멤논의 딸. 필라데스의 아내.



【엘리시움(Elysium)】


[그리스, 로마] 공화정 시절 로마인들은 명계와 죽은 사자의 허상인 그림자(shades)의 존재를 믿었지만 내세를 믿지 않았다. 그러나 그리스인이나 로마인 모두 어떤 사람은 신들이 특별히 인정하여 사후 엘리시움이라는 곳에 살 수 있는 영광을 받는다고 믿었다. 그곳에서 피를 마시면 인간의 감정과 욕망을 다시 경험할 수 있었다.



【예테르(aether)】


[그리스] 신적인 힘으로 덮여있는 대기의 상층부나 신을 둘러싸고 있는 공기. 또한 특히 청명한 하늘을 뜻하기도 했다.



【오디세우스(Odysseus)】


[그리스, 로마] 폴리페무스와 모험. 아이올루스 방문. 아테나가 도움. 칼립소가 감옥이 가둠. 키르케가 풀어줌. 이레부스를 방문. 사이렌으로부터 도망. 아킬레스의 무기를 상속. 이노가 구해줌. 트로이전에 참전. 나우시카가 구해줌. 스킬라와 카리브디스를 통과. 페넬로페의 구혼자들을 살해. 이타카로 귀환. 태양의 복수. 테이레시아스의 상담. 제우스가 구해줌.



【오디세우스(Odysseus)】


[그리스] 라틴어로 울리세스(Ulysses). 전설시대에 이타카(Ithaca)의 왕. 그는 호메로스(Homer)의 일리아드(Iliad)의 주요 인물중 한 명이며, 호메로스의 오디세이(Odyssey)의 주인공이다. 천성적으로 다재다능하고 영리하며 속임수에 능했다. (속임수는 고대인에게 나쁘게만 생각되지 않았다.) 그는 또한 위대한 전사이기도 했다. 자신의 활은 아무도 구부려 시위를 걸 수 없을 정도로 강했다. 신체적으로는 붉은 머리, 왼손잡이, 회색 눈동자, 앉아 있는 것이 서있는 것 보다 커 보일 정도로 짧은 다리의 소유자였다. 트로이(Troy, Ilium)에서 10년간 싸우고 살아남았으며, 전쟁이 끝나자 트로이의 프리암(Priam) 왕의 아내 헤카베(Hekabe, Hecuba)를 전리품으로 삼아 고향으로 향했다. 그러나 그는 그녀의 우는 소리에 지쳐 곧 그녀를 팽개쳤다. 그후 지중해 곳곳을 누비며 10년간 놀라운 모험을 하게 된다. 10년이 지나 (20년간 집을 떠나 있었다) 그는 이타카로 돌아온다. 그의 아내 페넬로페(Penelope)와 아들 텔레마쿠스(Telemachus), 개 아르구스(Argus)는 충직하게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가 한 첫 일은 활에 시위를 걸어 일련의 도끼구멍을 통과시키는 것이었다. 그 다음 그는 그의 강력한 무기를 아내의 끈질긴 구혼자들에게 겨누어 모두 죽였다. 그후 그는 페넬로페와 정착하여 행복하게 살았다.



【오레스테스(Orestes)】


[그리스, 로마] 아가멤논의 아들.



【오르쿠스(Orcus)】


[로마] 플루토의 별칭. 뜻은 "죽음"



【오르티아(Orthia)】


[그리스, 로마] 아르테미스의 이름.



【오르페우스(Orfeus)】


[그리스] 유명한 음악가. 에우리디케(Euridice)의 남편.



【오일레우스(Oileus)】


[그리스, 로마] 소 아약스의 아버지.



【오키르호이(Ocyrrhoe)】


[그리스, 로마] 아이스쿨라피우스의 딸.



【오트리스(Othrys)】


[그리스] 테살리아에 있는 산. 티탄들이 신들에 대항하여 싸울 때 본거지.



【오피온】


[그리스] 거대한 물뱀. 에우리노메와 결합하여 만물을 낳음.



【오피온(Ophion)】


[그리스, 로마] 거대한 뱀. 에우리노메 참조.



【올림포스(Olympos)】


[그리스] ① 신들이 사는 곳. 산이나 하늘은 아니다. 계절의 여신들이 지키는 구름의 문을 통과해야 했다. 바람, 눈, 비가 없다. 이곳에서 신들은 암브로시아와 넥타르를 마시고 아폴로가 라이어를 연주하는 것을 들었다. ② 테살리아에 있는 산.



【올림피아(Olympia)】


[그리스] 올림푸스산(Mount Olympus)과는 전혀 다른, 제우스의 유명한 성지. 이 올림피아는 펠로폰네소스반도 서쪽의 엘리스(Elis)에 있었다.



【우라노스(Ouranos)】


[그리스] 뜻은 "아버지, 하늘". 하늘신.



【우라노스(Uranus)】


[그리스] 크로노스의 아버지.



【운명(Fate)】


[그리스] 운명을 관장하는 요정. 제우스도 그녀를 어쩔 수 없었다. 모이라 참조.



【울리세스(Ulysses)】


[그리스] 오디세우스(Odysseus). 영어로는 율리시즈.



【유노(Juno)】


[로마] 그리스의 헤라. 아이네아스를 증오. 알키오네를 도움.



【유니콘(Unicorn)】


[그리스] 뿔이 하나 달린 짐승이다. 유니콘에 대한 일반적인 인상은 말의 이마에 뿔이 하나 나 있는 것이지만, 로마의 박물학자 플리니우스(Plinius)의 설에 의하면 "매우 난폭한 동물로, 몸체는 말과 비슷하며 머리는 사슴, 발은 코끼리, 꼬리는 멧돼지, 낮은 신음소리를 내며 검은 뿔 하나가 이마 한가운데에 나와 있다", 게다가 '생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라고 되어 있다. 중세교훈에는 유니콘을 잡으려면 젊은 처녀 한 명을 데리고 가면 된다고 나와 있다. 유니콘은 순진한 처녀를 보면 안심하고 경계를 풀고 접근해 오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유니콘의 옆에 젊은 여자가 함께 있는 그림을 자주 보게 된다.



【유벤투스(Juventus)】


[로마] 청춘의 신.



【유투르나(Juturna)】


[로마] 봄의 여신. 로마광장에 성스러운 연못을 갖고 있었다.



【유피테르(Jupiter)】


[로마] 그리스의 제우스. 아이네아스를 카르타고에서 쫓아냄. 프시케에게 영생을 줌. 프리기아를 방문.



【율루스(Iulus)】


[로마] 아이네이아스의 아들. 아스카니우스라고도 함.



【이노(Ino)】


[그리스] 아타마스의 아내. 오디세우스가 구출해 주었다.



【이다(Ida)】


[그리스] ① 크레타에 있는 산 이름. ② 어린 제우스를 돌본 님프중 하나.



【이도메네우스(Idomeneus)】


[그리스] 트로이전쟁 동안, 크레타인들의 지도자.



【이리스(Iris)】


[그리스] 무지개의 여신. 뜻은 "무지개". 무지개의 여신. 영어로는 아이리스.솜누스가 방문. 하피를 구조.



【이아손(Jason)】


[그리스] 펠리아스의 궁전에 도착. 메데아를 버림. 헤라가 도움. 메데아의 복수. 이테스의 황소를 길들임. 영어로는 제이슨.



【이아쿠스(Iacchus)】


[그리스] 디오니소스의 이름.



【이아페투스(Iapetus)】


[그리스] 바다와 테티스의 아들. 아틀라스의 아버지. 거인족.



【이오니아인(Ionians)】


[그리스] 그리스의 일파. 헬렌의 아들 크수투스로부터 유래했다고 한다.



【이오바테스(Iobates)】


[그리스] 리키아(Licia)의 왕. 필로노에의 아버지. 벨레로폰이 키메라와 싸우도록 파견했다.



【이오카스테】


[그리스] 오이디푸스의 어머니이자 아내. 라이오스의 아내.



【이올코스(Iolcos)】


[그리스] 아르고호가 출범한 테살리아의 마을.



【이카로스】


[그리스] 하늘을 날다 태양에 타죽은 사람. 다이달로스(Daidalos)의 아들.



【이카로스(Icarus)】


[그리스] 다이달로스의 아들. 하늘을 날다 날개가 녹는 바람에 죽었음.



【이카리오스(Icarius)】


[그리스] 페넬로페의 아버지.



【이켈로스(Icelus)】


[그리스] 히프누스의 아들. 새와 짐승에 관한 꿈을 꾸게 만든다.



【이코르(ichor)】


[그리스] 신들의 혈관속을 돌고 있는 액체. 일종의 신성한 피.



【이피게니아(Iphigenia)】


[그리스] 아가멤논의 딸. 아르테미스가 구해줌. 타우리아인들로부터 도망침.



【이피메데아(Iphimedea)】


[그리스] 알로아다이의 어머니.



【익시온(Ixion)】


[그리스] 헤라를 모독한 죄로 영원히 도는 바퀴에 묶여 있는 사람.



【일리오스(Ilios)】


[그리스] 일리온 참조.



【일리온(Ilion)】


[그리스] 트로이의 다른 이름. 트로이의 창건자, 일루스(Ilus)의 도시라는 뜻.



【일리티이아(Ilithyia)】


[그리스] 산파의 여신. 헤라의 딸.



【전쟁(War)】


[그리스] 전쟁의 여신. 에뇨 참조.



【제림니르(Serimnir)】


[북유럽] 발할라의 영웅들에게 영원히 음식을 공급하는 숫퇘지.



【제우스(Zeus)】


[그리스] 뜻은 "찬란한 하늘". 하늘, 번개, 비, 구름을 다스리는 주신(主神). 크로노스와 레아의 아들이며, 헤라의 남편. 야훼처럼 전지전능하지는 않다. 세계를 통치하기 위해 추첨을 하여 제우스는 하늘, 하데스는 명계, 포세이돈은 바다를 다스리게 되었다.



【청춘(Youth)】


[그리스] 젊음의 여신. 헤베 참조.



【카론(Charon)】


[그리스] 지옥세계의 강을 건네주는 사공. 일본식으로 말하면 지옥의 입구에 있는 三途川의 사공이라고 할 수 있다. 카론은 긴 수염을 늘어뜨리고 더러운 옷을 입은 초라한 노인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지옥세계의 강(STYX)을 건네주는 요금이 1오로보스였으므로 옛날 그리스에서는 죽은 자의 입에 1오로보스의 동화(銅貨)를 입에 물리는 관습이 있었다. 카론은 수수한 존재이지만 그리스 신화에는 의외로 자주 등장한다. 지상에 나오기 전에 아내의 모습을 본 오르페우스(Orfeus)가 아내를 다시 보려고 했을 때 이것을 거절한 것이 카론이었다. 또한 푸시케(Psyche)가 아프로디테의 명령을 받아 지옥세계의 페르세포네(지옥세계의 왕 하데스의 왕후)가 있는 곳에 화장품을 받으러 갔을 때에도 카론은 등장한다.



【카리브디스(Charybdis)】


[그리스] 이탈리아와 시칠리아 사이의 해협 또는 헤라클레스기둥(Pillars of Hercules)에 있는 전설적인 소용돌이. 카리브디스는 항상 스킬라(Scylla)와 같이 언급된다. 스킬라는 사나운 개들을 데리고 있는 괴물인데, 카리브디스와 너무 가까운 곳에 살기 때문에 둘 사이를 무사히 항해할 수는 없었다. 우리가 "진퇴양란"이라고 할 때 고대에는 "스킬라와 카리브디스사이에 갇히다"라는 표현을 썼다.



【카베이리(Cabeiri)】


[그리스, 로마] 렘노스(Lemnos) 섬과 관련된 마법적 존재. 그곳에서 그들은 들판의 과일을 지켰다. 헤로도투스(Herodotus)에 따르면 이들은 난쟁이이며 비밀에 싸여있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