틈이 허공이라는 것은 고정된 공간이 아니라는 뜻이오. 틈의 시간은 둥근 원이오. 세상의 질서는 직선의 시간으로 이루어져 있소. 직선의 시간 속에서는 모든 것이 분리됨으로써 존재하오. 나는 너와 분리됨으로써 존재하고, 나비는 사람과 분리됨으로써 존재하오. 삶 역시 죽음과 분리됨으로써 존재하고 있소. 난 오랫동안 틈을 몰랐소. 세상이 틈을 용납하지 않았기 때문이오. 더 많은 업적, 더 많은 이익을 위해 직선으로 치닫는 세상의 눈에 틈이란 쓸모가 없는 공간, 해악의 공간일 뿐이오. 그러나 둥근 시간은 부드러운 융화의 세계이오. 그 속에서는 너와 내가 융합되어 있소. 사람과 나비가 융화되어 있으며,  삶과 죽음이 융화되어 있소.  <깊은 강 中>

 

"나에게 20대는 뭐라고 할까, 절대와 완전에 대한 과대망상적 집착으로 점철된 시절이었다고나 할까. 정신이 가지고 있는 힘의 한계를 몰랐던 시절이었지. 어떤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알고 싶었고, 무엇이나 다 되어보고 싶었고, 온갖 것을 다 사랑하고 싶었으니까. 그러니까 삶의 모습은 언제나 날아오르는 자세였지"

"나에게 30대란 치욕의 시간이었어. 힘의 한계를 깨달을 수 밖에 없는 시간. 온갖 가능성 대신 한 가지 확실한 것을 선택해야 하는 시간, 날아오르는 자세에서 발을 땅에 내려놓아야 하는 시간이 30대라고 생각했으니까...그런 나의 모습을 결코 용서할 수 없었어. 환상은 언제나 강한 법이니까. 환상을 만든 존재보다. 그래서 일기장과 수첩, 비망록을 소각하기 시작했던 거야."    <베니스에서 죽다 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래 전부터 나는  인간은 자신의 의지에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해왔다. 즉, 열정과 확신, 자기 내면의 이념들에 의해서 말이다. 라슬로 코바취를 알게 된 후, 나는 우리를 격려하는 것은 열정이 아니라 바로 열정이라는 관용어이며, 우리의 행동을 추동하는 힘도 순수한 의지가 아니라 의지에 대한 상투어들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상투어들에 대한 경험이 진짜 경험인 것처럼 인식되어 우리가 언어의 보호 아래 둥지를 틀 수 있게 되면, 마침내 가상에 불과한 것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느껴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124p>

 

하지만 좀더 가까이 다가가면 아스베이크가 이 죄없는 찻주전자를 어떻게 일종의 고문도구처럼 변형시켰는지 알게 된다. 주전자의 부리는 활짝 열려있는 주둥이가 아니라 고통스럽게 맞붙어 있는 입술 한 쌍으로 변해 있고, 뚜껑은 두툼한 아교 덩어리로 주전자에 고정되어 있다. 안에 든 내용물을 끄집어낼 수 있는 유일한 구멍은 손잡이 바로 위에 있는, 비틀어진 모양의 조그만 귀때 뿐이다. 얼핏 부드러운 장밋빛 줄무늬처럼 보이는 건 좀더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여러번 반복되고 있는 문장이다.

"걱정하지 마라. 그대. 안으로 들어간 것은 밖으로 나올 수도 있다"  <209p>

 

때때로 저는 세계를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떻게 그 모든 것이 있어야 할 시간에 제자리를 지키며 각자의 필요를 충족시키는지, 그리고 어떻게 각자의 인생이 인간이 소유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인지를 말입니다. 각자의 인생은, 인생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이 만나는 교차점이니까요. 이러한 교차점이 없는 인간은 아무것도 가진 게 없는 인간일 겁니다. 그에게 일어난 모든 사건은 아무것도 말해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어떤 것과도 관련이 없을 테니까요. 그저 가치를 상실한 채 일시적으로 지나가는 사건, 차라리 일어나지 않았다면 더 좋았을, 풀어진 실타래처럼 무의미한 사건에 불과할 뿐입니다. 자기 자신의 인생을 가진 사람만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삶속에서 하나의 역사를 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매 순간의 그 무수한 다양함 속에서도 역사의 일관성을 알아차릴 수 있지요. 그런 인간만이 행복할 수 있습니다. <253~254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